-
-
독서경영 - 지속성장을 위한 강력한 경쟁력
박희준 외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독서경영>
독서를 통한 지식경영 기업들의 이야기
요즘 대학생들은 취업을 하기 위해 토익, 자격증에 힘을 쏟는다. 이 책은 내년에 취업을 앞둔 나의 선택을 받을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었다. 우리는 누구나 독서의 중요성을 알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교육정책에서 학생들이 창의성과 사고력을 키우주는 독서 교육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부족한 편이다. 책을 읽자는 교육이라는 취지하에 정부는 논술이라는 시험을 적극반영 하지만, 대학입학후 취업이라는 높은 산을 넘기 위해 책은 또 다시 저만치 밀어둔다. 아이러닉한 현재의 우리사회의 독서환경 문제점에 대해 경종을 울리는듯 하다.
이 책에서의 독서경영이란 학습조직과 지식경영이라는 경영의 화두와 함께 함께 최근 우리 사회생활에 있어 본격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경영의 한 트렌드를 말한다.
이 책은 독서경영을 통해 기업의 경영과 조직의 이루는 개개인의 역량을 극대화하고 계발을 위한 방법으로 독서를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독서경영을 넘어 하나의 기업문화로써 정착시키면서 개인과 조직의 경쟁력을 제고는 기업 경영 과정을 보여준다. 뿐만아니라 독서로 통한 지식과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여 지식의 축척을 통한 지식경영을 다양한 시각에서 짚어준다.
독서문화를 조직에 정착시키기 위해 기업체의 노력과 투자, 고군분투하는 기업의 실패와 좌절을 소개하며 시행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과제를 부여하고 있다.
꼭 기업의 발전을 위해서만 독서가 필요한것은 아니다. 개개인의 발전을 위해 스스로 공부하는 기업을 만드는데 더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바탕으로 각 개인의 성장에 따라 그곳에 속해있는 기업은 성장 할 수있다..
위의 개인 성장은 이 책에서 말미에 제시한 인적자원의 '학습조직화'라는 부분과 일맥상통하겠다. 이는 기업경영 하나의 방법론을 제시한다고 생각된다.
학습조직은 조직의 구성원이 스스로 새로운 지식의 창조·획득·공유 등의 활동을 통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자기변신을 할 수 있는 조직을 의미한다. 즉,학습조직은 조직구성원에 의해 지식이 창출되고 이에 기초하여 조직혁신이 이루어지며 조직의 환경적응력과 경쟁력이 증대되어 나가는 조직을 말한다.
빠르게 변하는 현 사회에서 기업을 이끄는 인적자원에 대해 CEO뿐만아니라 각 개인의 자극과 평생학습의 일환인 독서를 중요성을 일깨워줬으며, 기업의 독학기사(讀學記思)의 면모를 제시하고 있다.
우리의 한치 앞의 미래도 예측할 수 없는 사회에서 21세기 비즈니스의 화두는 "핵심역량, 혁신과 변화"라 생각해본다. 이점을 개인적인 입장에서 비춰볼 때 저의 핵심역량은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성격, 끊임없는 지적 탐구자세 갖어야한다.
또한 지식사회로 이행해 가는 미래사회에서 지식근로자만이 미래를 책임질 수 있다는 마음을 가지고 인적네트워크를 통한 지식공유로 오늘보다 나은 미래를 향해 매일 자기계발을 매진하여야 사회 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인재상될 수 있을것이라 생각했다.
내일부터라도 시간이 없다고 바쁘다고 핑계보다는 지하철, 버스에서 짬짬이 책을 읽어보는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