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조선의 밥상머리 교육 - 500년 조선의 역사를 만든 위대한 교육, 2019년 6월 국립중앙도서관사서추천도서
김미라 지음 / 보아스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살아가는 지금의 사회는 하루가 다르게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4세대 LTE 이동통신이 엊그제 등장한 것 같은데 이제는 인공지능 AI 및 4차 산업혁명이,...

LTE에 익숙할만하니 벌써 또 5세대 이동통신이라니..

우리 사회의 정보화, 도시화, 산업화 등 사회의 급격한 변화는 우리의 가족의 구조와 기능, 관계에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조선의 밥상머리 교육...

제목부터 나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밥 상 머 리

우리에게는 참 익숙한 말이다.

최근 가족의 새로운 인구학적, 구조적 특성은 저 출산과 고령화와 혼인 감소, 이혼의 증가로 가족형태와 가족의 모습에 많은 변화를 주고 있으며 이는 사회·문화·경제적으로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의 바쁘고 바쁜 일상 속에서 가족들과 함께 둘러앉아 밥상을 같이 할 수 있는 것 자체만으로도 참으로 의미 있고 귀하게 여겨지는 요즘이다. 단지 우리 집만은 아닐 것이다.

그래서 더더욱 이 책의 소중함이 두 배 세배로 나에게 적용되었다.

"지금의 우리는 누구를 위해 공부하고 있는가?"

 

두 아이의 워킹맘이기에

이 질문이 너무나 절실히 가슴이 꽂혔다.

 

古之學者爲己(고지학자위기) 今之學者爲人 (금지학자위인)

옛날의 배우는 자는 자기를 위해서 학문했으나, 지금의 배우는 자는 남을 위해서 학문한다.

조선의 밥상머리 교육 P.19

진정한 학문은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것이지 남에게 과시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다. 학문은 타인을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위해서 하는 것이다. 배우고자 하는 의지도, 그 배움에 매진하여 나아가는 것도, 포기하고 멈추는 것도 모두 '자신'에게 달려있음을 공자는 강조하고 있다.

 

 

 

한자에 관심이 많고 좋아하기에

이렇게 나오는 한자들과 풀이가 나에게는 큰 흥미거리이다.

어려운 한자들이 아니기에

술술~ 한장씩 넘기기도 수월했다.

 

 

전통사회의 겸손과 사양을 통해서

타인을 공경하고 배려하는 『동방 예의지국』이라는 말은 이제는 사라지고 있다.

예의범절은 꼰대들의 고리타분한 것이고 전통, 예절은 구시대적이며 불필요한 것이라는 인식이 지금의 우리 아이들의 생각이다.

 

"인성"  "소통"

 

그러기에

더욱더 회자되는

인성 그리고 소통

지금이야말로 전통교육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이 책을 통해 충분한 동기부여를 할 수 있었다.

 

 

어린이 생활예절 교과서 〈사자소학〉

어린이에게 좋은 정서를 길러주는 〈추구〉

어린이 산문 입문서 〈계몽편〉

우리나라 최초의 아동 교과서 〈동몽선습〉

아동교육 지침서 〈소아수지〉

삶의 목표를 세우는 법과 실천을 가르쳤던 교육서 〈격몽요결〉

품격 있는 사람으로 길러주는 인성교육서 〈사소절〉

 

 

지칠 줄 모르는 체력과 그칠 줄 모르는 호기심에

격하게 동적인 두 아들의 엄마이기에

정적이며 차분하게 잡아줄 수 있는 교육에 항상 관심이 많다.

이 책을 통해 알게 된 좋은 정보들이다.

현대판으로 재해석된 책을 찾아보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될듯하다.

 

 

나 자신만의...

다른 사람들과 구분되는 일관되고 지속적인 심리와 행동 양식의 인성은

나의 욕구와 그에 대한 표현을 조절하고 제한하는 나만의 심리, 행동 양식이다.

바쁘게 사는 우리의 일상과 급격히 변화되는 우리 사회에서의 밥상머리 교육이야말로 절실한 때 일 것이다.

조선의 밥상머리 교육!

두 아이의 워킹맘으로 이 책은 나에게 절실하고도 신선한 방법과 정보들을 주었다.

그래서 더더욱 밥상머리의 교육의 중요성 많은 이들에게 알려주고 싶다.

내 아이만 잘 크면 되는 것이 아니다.

내 아이도 우리 옆집 아이도, 우리 아이의 친구들 또한 다 같이 잘 키우기 위해서라도

부모의 현실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이에 준비된 부모와 아이들이 밥상 교육으로 소통한다면

자녀교육, 교육법은 물론이요 우리의 인성은 저절로 되찾아지는 게 아닐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