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어린 시절이 울고 있다 - 몸에 밴 상처에서 벗어나는 치유의 심리학
다미 샤르프 지음, 서유리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트라우마를 다룬 여러 가지 심리학 도서를 읽어보았지만 이 책은 전혀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트라우마의 원인을 이해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과 트라우마의 존재를 부정하고 현재를 중시하는 아들러 이론은 이미 대중적이어서 잘 알고 있었지만, ‘신체 감정 통합 치료법’을 적용하여 ‘몸’과 ‘관계’ 위주의 치료를 제시하는 다미샤르프의 이론은 낯설기도 하고 신선하게 다가왔다.

아들러의 심리학처럼 트라우마의 존재를 완전히 부정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과거의 일은 내 책임이 아니더라도 현재의 삶을 어떻게 사는지는 나의 책임이라는 견해에서 일맥상통하는 부분도 있었다.

어린 시절의 상처는 우리의 무의식과 몸에 남아 평생을 따라다니게 되는데

이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들을 책 속에서 다양하게 제시해주고 있다.


첫 번째로 중요한 것은 “자기조절능력”이다.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과거의 영향에서 벗어나 자신이 원하는 대로 조절하는 능력으로, 자기효능감과도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야 한다.

몸은 거짓말을 하지 않기 때문에 내 몸에서 느껴지는 감각들을 바라보면 나의 느낌과 감정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신체지각능력이라고 한다.

자신의 몸을 느끼고 그 느낌에 편안해지는 연습을 하고, 자신에게 관대해지자.

내가 원하는 것을 상황에 맞게 표현하고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기 위해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관찰적 자아를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제3자의 시각으로 자신을 관찰할 수 있다면 감정의 노예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사건보다 부정적인 사건을 더 크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는데

좋은 일을 의식적으로 뇌에 새기고 기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기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과거에 벌어진 일에 대한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두 번째로 중요한 것은 “유대관계”이다.

사람은 사회속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존재이며, 관계 속에서 상처를 받기도 하지만 관계 속에서 치유가 일어난다.

따라서 관계를 맺는 능력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타인의 도움과 친절, 호의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의 약점을 잘 드러내는 것이 곧 강함이다.

관계를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상처받을 것을 각오하더라도 믿어보는 용기가 필요하다.

또한 사랑과 성에 마음을 열고 관대해지자. 트라우마로 생긴 수치심을 없애는 가장 좋은 방법은 스킨십이다.

유대관계에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상대방과 나 사이에 건강한 거리를 두고 나만의 경계선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상대에게 ‘아니오’라고 말할 수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트라우마는 사라지지 않고, 쉽게 빠르게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천천히 꾸준히 노력할 때 조금씩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치유는 트라우마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삶에 통합시키는 과정이다.

부정적으로 남은 기억을 지우기 위해서는 벌어진 일에 의미를 부여하고

현재의 삶 속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나가는 새로운 행동을 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