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 고집쟁이 녀석 - 내 아이와 힘겨루기 끝내기 프로젝트
로버트 J. 매켄지 지음, 이순호 옮김 / 교양인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요 고집쟁이 녀석~~
이 제목을 보는 순간...
'이거 내가 맨날 둘째에게 하는말인데, 이 책은 뭐지?'하며
궁금증이 갑자기 커졌다.
심할 때는 아들에게 "이 꼴통아"란 말까지 했으니,
참 부끄러운 엄마다.울 아들과의 씨름을
짧게 끝내는 방법을 알고 싶어 책을 읽었다.
아직 제대로 아들에게 시도해본 건 없지만,
희망이 생겼다.
아이의 기질, 부모의 지도방법, 부모의 기질 이 세가지가 잘 조화될때
양육이 잘 이뤄진다고 한다. 아이의 기질은 빼고, 우선 두 가지는 엄마인 내가
알 수있고 바꿀 수 있기에 희망을 가지라는 문구가 와 닿았다.
아이는 말과 행동을 통해 배운다는 거 맞는 말이다.
그거 누누히 들었던 말인데도,
책을 읽으면서 다시 한번 내 행동을 돌아보게 되었다.
아이에게 바라는 어떤 행동, 목표가 있다면 그것에 집중해야한다.
원래의 목표는 잊고, 아이와의 감정 싸움 혹은 엄마인 나에게 도전하고 있다는
생각에 휩싸여 아이를 협박하고, 때리는 것은 아이의 고집을 더 키워주고
심지어는 분노의 감정을 키우고
다른 아이와 어른에게까지 그 방식을 그대로 보여준다는 것....
끔찍하지만, 이게 내가 해왔던 방식이라는게 후회되고 부끄럽다.
또 행동없는 잔소리는 갈등만 키운다는 것~
나는 아이에게 친절하게, 그리고 부드럽게 설명하고 당부했으니
내 할일은 다 한거라고 생각했다.
"여러 번 말했는데, 안 했네. 너 혼나야겠다.
벌 받아야지. 매 맞아야지." 이런식으로 그 상황을 정리한 적이 참 많다.
그런데 분명 나의 방식에는 잘못이 있었다.
아이들은 한계를 시험한다는것..
자기가 어디까지 밀어붙여도 되는지.. 정말 해도되는건 무엇인지
질문의 해답을 얻어 나름의 결론을 내린다는 것....
분명하게 아이가 장난감을 정리하고 다른 일을 하기를 바란다면,
똑같은 말을 계속 반복하는 것은 별 소용이 없다.
아이가 장난감을 정리해야한다는 것을 절실히 느끼도록 분명한 한계선을 정한 후,
정리하는 것을 옆에서 지켜보아야 한다.
예전에 나는 그렇지 못했다.
아기를 낳고 얼마전 돌잔치를 치루고 보니, 너무 막내에게만 나의 정성과 사랑을
쏟았다는 생각이든다.
정말 내 아이가 좋은 행동을 하기를 바란다면, 진심을 담아 관심을 갖고 변화해야한다.
엄마인 내가 변해야 아이가 변할 거란걸 다시 한번 느낀다.
애매모호한~해도 되고 안해도 된다는식의 말이나 너 알아서 해란 식의 포기는 더더욱 효과가 없다.
나 스스로 다짐해본다.
이 책을 통해 배운 것들의 일부만이라도 명심하고 노력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