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을 보다 - 100년 만에 드러난 새 얼굴 다큐북 시리즈 1
황병훈 지음 / 해피스토리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2010년은 어느 때보다도 참 많은 일들이 있었던 것 같다. 2010 벤쿠버 동계올림픽, 2010 남아공 월드컵,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등 굵직한 국제 스포츠 대회가 세 차례나 있었고, 2010 G20 정상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되었고, 오랜만에 남과 북의 이산가족상봉이 이루어졌고, 분단 이후 처음으로 북한이 한국 내 영토를 포격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정신없이 어느덧 2010년의 끝자락에 와 있는 이 시점에서 2010년이 가지고 있는 매우 중요한 의미와 의의를 놓치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일종의 불안감과 두려움 또는 송구함이 아마도 이 책을 펼쳐들게 한 것 같다.

2010년 올해는 1910년 한일강제병합이라는 경술국치 100년이 되는 해이며 동시에 안중근 의사의 순국 100주기가 되는 해이다. 1909년 중국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고 그 이듬해인 1910년 뤼순 감옥에서 서른두 살의 나이로 안중근 의사는 순국하였다. 대한의군의 참모중장이라는 군인 신분으로 적장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것이기에 국제법에 따라 전쟁 포로로서 재판을 받아야 했지만 일본은 안중근 의사를 일반 형사범으로 처리하고 살인죄를 적용하였다. 이는 일본의 치밀한 계산 하에 이루어진 일이다. 안중근 의사가 한 나라의 장군이라는 군인 신분을 무시하는 행위였고, 대한제국을 독립국이 아닌 일본의 속국으로 간주하는 행위였으며 안중근 의사가 행했던 거사의 가치를 떨어트리고 안중근 의사를 단지 살인자로 혹은 테러리스트로 간주하긴 위한 행위였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가 장군의 신분으로서 전쟁 포로로 재판을 받든, 살인자의 신분으로서 일반 형사범으로 재판을 받든 결국 그에게 선고되는 형벌은 사형이다. 차이가 있다면 군인 신분으로 총살형을 당하느냐, 살인자의 신분으로 교수형을 당하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 그렇다면 대체 안중근 의사는 왜 자신의 목숨을 버리면서까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고 그 자리에서 순순히 체포된 것일까.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대한제국의 완전한 자주독립과 일제로부터 핍박 받는 백성들을 위함이고, 둘째는 동양평화에 대한 그의 신념을 세계에 알리기 위함이었다. 대한제국의 독립과 동양평화에 대한 염원에 있어서 이토 히로부미는 저해 및 방해 세력의 수장이었고 이러한 그를 저격한다는 것은 내포하고 있는 상징적 의미가 매우 컸던 것이다.

<안중근을 보다>를 통해 알게 된 안중근 의사에 대한 많은 이야기 중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동양평화론이라는 그의 사상에 관한 부분이었다. 중국과 러시아, 일본의 중요 군사적, 경제적 요충지였던 뤼순 지역을 영세중립지로 만들어 동양평화회의를 조직하고 중국, 일본, 대한제국 세 나라의 청년들로 구성된 평화군을 양성하여 각기 독립국가로서 주권을 가지고 서로 협력하여 서구제국주의의 침략에 공동으로 대처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공동 은행 설립, 공동 화폐의 발행 등을 주장했는데 이는 마치 오늘날 유럽연합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 이러한 사상과 통찰력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은 매우 놀라운 일이다. 너무나 안타까운 것은 그가 옥중에서 ‘동양평화론’을 완성하기 위해 사형일을 미루어 달라고 요청했을 만큼 동양평화론 완성을 위한 집념이 컸지만 안중근 의사의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고-오히려 사형일은 앞당겨졌다-동양평화론은 서술 정도에 그쳤으며 그마저도 일본에 의해 철저히 묻혀 있다가 70년이 지나 발견되었다. 만약 그때 동양평화론이 완성되었다면 어땠을까. 유수의 사상들이 그러하듯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석학들에 의해 연구되고 비판되어지면서 견고해지고 발전하여 오늘날 이 동북아시아 아니 아시아 전체의 평화와 화합을 위한 해법의 단초로써, 근간으로써, 구심점으로써 자리하고 있지는 않았을까.

안중근 의사는 죽기 전 자신의 유해를 하얼빈 공원에 묻었다가 대한제국이 독립했을 때, 유해를 이장해 조국에 묻어달라고 유언했다. 하지만 일본은 안중근 묘역이 독립운동의 메카가 되고 성역이 될 것을 두려워하여 가족들의 요구에 불응한 채 유해를 건네지 않았다. 결국 안중근 의사의 유해 발굴 작업에도 불구하고 그의 유해는 아직 찾지 못한 상태이며 100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조국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하였다. 책 <안중근을 보다>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다름 아닌 안중근을 통한 남과 북의 이해와 화합에 관한 성찰일 것이다. 김일성, 김정일 부자를 신성시하는 북한에서조차 안중근 의사만큼은 위대한 영웅으로, 존경의 대상으로 가르쳐지고 있다. 2006년, 2008년 남과 북은 안중근 의사 공동유해발굴조사단을 발족하여 뤼순에 파견했다. 아직 그의 유해를 발견하지는 못했지만 안중근 의사의 증손자 안도용 씨의 말처럼 증조할아버지의 유해가 조국으로 돌아와 남과 북의 경계선에 묻히게 되는 날, 남한과 북한 모두 서로 마음을 맞춰 같을 곳을 향해 맞절을 하게 될 것이다. 살아서는 한반도의 독립을 위해 죽었고, 죽어서는 점점 그 골이 깊어지는 남과 북의 이해관계와 이념을 뛰어넘을 수 있는 구심점의 역할을 위해, 남과 북의 화합을 위해 여전히 살아 있다. 그의 이름 석자 안중근이 너무나 절실한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기인 2010년이다.

내가 죽음을 받아들임으로써 끝끝내 내 의지와 신념을 살려낼 수 있었던 것은 그 누구도 아닌, 나 자신이 나의 뜻을 굳건히 믿었기 때문이며, 내 스스로가 나의 죽음이 가지는 의미를 알고 있었기 때문에 조금의 흔들림도 없이 사형장 앞에 나아갈 수 있었소. 나를 살리고 나를 죽일 수 있는 자는 이 세상에 오직 나 하나 뿐임을 명심하시오. 그대들 스스로 자신의 뜻을 세우고 이를 확고하게 믿으며 나아가시오. 그대들에게, 그대들의 길이 열릴 것이오. ( 70쪽, 안중근을 보다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