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버드 불면증 수업 - 약 없이 푹 잠드는 하버드 의대 6주 수면 프로그램
그렉 D. 제이콥스 지음, 조윤경 옮김 / 예문 / 2019년 7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학교 다닐 때부터 잠을 못자는 것에 대해서 많이 괴로워 했었습니다.
그러나 딱히 병원을 가야하는 거라는 생각을 해본적은 없었습니다.
자라면서 많이 나아지긴 했지만 가끔씩 불을 끄고 잠을 자려고 하면 잠이 드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유난히 긴 시간이 있더라구요. 그걸 불면증이라고 생각해 본적은 없었는데 수면장애의 일종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수면장애에 대해 이 책저책을 읽어보면서 공부하고 있던 중 하버드 불면증 수업' 이라는 책을 알게 되었습니다.

약없이 푹 잠드는 6주 수면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해주고 있는 이책을 읽으면서 저또한 많은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여기서 소개해준 사례들을 보면 잠이 다시 못들지 않을까에 대해 불안해 하는 마음이 잠을 이루는 것을 방해한다고 하는데, 불안한 마음이 불면증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저도 어디가기 전날이라던지 중요한 일이 있는 때에 일찍 못일어 나면 안되는데 하면서 걱정하는 마음떄문에 잠을 오히려 더 못이뤘던 기억이 있어서 수면을 하는 좋은 환경중에 마음에서일어나는 불안의 요소로 없애는 것이 중요한 것이라고 인식할 수 있었습니다.
또, 수면의 환경을 만드는것중에 인상 깊었던 것은 침실은 잠을 자는 용도로만 사용을 하고 다른 것은 되도록 하지 말고 해도 30분 이내로만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저는 잠자리에서 책을 읽기도 하고 여러가지를 하는 편이라 빨리 바꿔야 할 부분은 이것부터 인거 같아요. 그리고 불을 끄고 누웠는데 잠이 오랬동안 오지 않으면 오히려수면에 도움이 되는 책읽기를 하다가 자는 편이 좋다고 합니다. 저는 끝까지 누워있는 편이라서 잠이 오히려 더 안왔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답니다.
그리고 수면일기를 쓰는 것도 유익한 정보가되었는데요. 수면일기를 쓰면서 수면상태가 좋아진 다양한 참가자들의 사례를 보면서 저또한 희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큰 준비 없이 조금씩 바꿔 나가는 것들로 수면의질을 향상시킬수있는 점을알게해준 이책이 너무 좋았고, 저 또한 조금씩 바꿔 나가면서 자도 잔거 같지 않은 저의 수면을 바꿔봐야 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