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를 다시 읽는다 1 - 한국 근대인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하여
윤해동, 천정환, 허수, 황병주, 이용기, 윤대석 엮음 / 역사비평사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는 현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과 직접적인 연관을 맺고 있다. 사람들이 자신의 인생을 살아가는 것 자체가 역사의 한 페이지를 서술해 나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근런데 사람들이 펼쳐나가는 인생이 서로 다르므로 역사를 연구하는 관점 또한 다양하다.  <근대를 다시 읽는다>도 우리 나라의 역사, 더 한정해서 근대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 책이다. 그 중에서도 요즘 친일파 진상규명법 제정으로 인해 큰 이슈가 되었던 친일 문제를 다룬 제 2부 <친일의 논리 - '협력'은 사상이다>를 중점적으로 읽었다.

  제 2부는 총 4개의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논문들은 구체적으로 설정한 주제는 조금씩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협력 담론'에 대한 연구를 중심 내용으로 담고 있다. 협력 담론은 첫째, 식민지를 우리 민족의 고유한 경험이 아니라 세계사의 일환으로 파악하여 '친일'의 특권성을 해체하고 둘째로 '친일'을 식민지 권력에 대한 협력이면서 동시에 근대 권력에 대한 협력으로 확장하는 연구 영역이다. 마지막으로 '친일'이 '민족'에 고정시킨 협력과 저항의 축을 계급, 성, 인종, 문화, 언어 등으로 다양하게 확장하는 연구 영역이다.

  첫 번째로 실린 논문인 <식민지 국민문학론>에서 저자는 '국민문학'의 논의를 통해 협력 담론이 가진 분열을 분석한다. 일본어 글쓰기와 대동아공영권, 내선 일체 담론과 같은 가장 협력적인 담론에서도 분열은 일어났는데, 저자는 '차이'와 '반복'이라는 개념을 통해 그것을 설명하고 있다. 협력 담론을 내세우고 있는 사람들은 크게 두 부류가 있었는데, 하나는 내지인(일본인)과 외지인(조선인) 사이의 차이를 완전히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는 부류이고 다른 하나는 일제에 협력하기는 하지만 최소한도로 협력하여 제재를 피하고 우리 민족의 고유한 것들은 지켜나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분열은 차이를 생산해 내며 '식민지=근대'의 초극이 될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두 번째 논문인 <여자 스파이단의 신화와 '좋은 일본인'되기>에서는 식민지 말기에 이루어졌던 협력 담론이 민족이라는 담론을 매개로 해서만 전개된 것이 아님이 드러난다. '괴상한 중국 미인 스파이'이야기를 만들어서 퍼뜨림으로써 조선인들에게 '좋은 일본인'이라는 정체성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세 번째 논문인 <조선인 내선일체론자의 전향과 동화의 논리>에서 우리는 협력 담론간의 분열을 볼 수 있다. 그 당시 '내선 일체론'의 내부에는 '평행제휴론'과 '동화일체론'이라는 두 흐름이 있었다. 그 둘은 서로 간에 대립하면서 각자 자신의 논리를 공고하게 다져갔다. 이는 첫 번째 논문의 성격과 비슷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 논문인 <해방을 전후한 주체 형성의 기도>에서 저자는 좌파 지식인들의 '전향'을 중심으로 협력 담론을 이해한다. 좌파적 지식인들은 식민지 조선에 사회주의적 경제 체제를 구축하고자 했으나 결국 그것이 실행되기 어려움을 느끼고 전쟁에 협력을 하면서 조선의 독자적 발전을 보장받겠다는 '전시변혁론'을 제기하게 된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시작했을 때까지만 해도 친일과 협력 담론이 크게 다를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하지만 책을 읽고나서 근대사에서 친일을 친일이라 부르지 말고 협력 담론이라 불러야 하는지의 이유를 조금이나마 알게 된 것 같다. '친일'이라는 단어에는 일본에 협력한 사람들을 모두 부정적으로만 보는 생각이 기저에 숨어있다. 그러나 협력 담론에는 일제 강점기 시절을 살아갔던 지식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자신들의 불만을 풀어내려 했는지를 알 수 있다. 협력 담론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접하면서 당시 우리나라 사회를 다양한 관점에서 볼 수 있었고, 해방 이후의 우리나라를 연결지어 볼 수도 있었다. 근대사에 대해 너무 한쪽으로만 생각하지 않았었는지 반성하게 해 주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