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년째 농담 중인 고가티 할머니
레베카 하디먼 지음, 김지선 옮김 / 북로드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랜드 작가인 메이 부빈 치를 타고난 이야기꾼이라고 언급한 글을 많이 본 적이 있다. 역자 이 말에도 아일랜드인은 이야기꾼이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게 힘든 작업이었다고 고백하는 걸 보면 아일랜드 특유의 이야기 감성이 있는 건 맞나 보다.

독거노인의 삶을 거부하며 살아가고자 하는 83세의 밀리 그가 티와 기숙학교를 철저히 거부하며 자기만의 세계에 몰입해있는 사춘기 에이든 그가 티. 그리고 둘의 사이에서 평범하다고 할 수 없는 밀리의 아들이자, 에이든의 아빠인 캐빈 고가치까지!

3대의 엉뚱하고도, 골치 아픈 이야기들에 자연스레 몰입이 된다.


83세의 밀리고 가티는 도우미 없이, 요양원행도 거부하며 전형적인 독거노인의 삶을 거부한다. 그럼에도 아들과 함께 북적거리는 집에서 함께 살고 싶어 하는 작은 바램이 있다. 그런 밀리는 동네 마트에서의 좀도둑질로 경찰서로 가게 되고, 밀리의 사고 수습을 위해 아들 캐빈은 미국인 가정부 실비아를 집에 들이게 된다. 도우미 실비아의 친절에 밀리는 조금씩 마음을 열게 된다.

캐빈 그가 티는 실직으로 인해 육아를 전담하고, 아내인 그레이스가 경제적 역할을 맡고 있다. 엄마인 밀리의 사고 수습과 극강의 사춘기 병을 앓고 있는 에이든 사이에서 결국 에이든의 기숙학교 직원과의 밀회를 탈출구로 삼는다. 에이든 역시 부모의 무관심 속에 기숙학교로 보내졌다는 생각에 사춘기의 반항은 최고조로 가게 되고, 결국 학교 안의 최고 문제아인 브리짓과 친해지며 결국은 학교 안의 또 다른 문제아로 낙인이 된다.

실비아의 부재 속에서 밀리는 화상을 입게 되어, 캐빈에 의해 요양원으로 보내지게 된다. 요양원, 기숙학교로 보내어 안심할 시간도 없이 밀리의 요양원 탈출과 에이든의 가출, 잠깐의 외도로 내쫓겨진 캐빈까지 가족의 화합은 생각할 수 없는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는다.

사실 밀리는 미국인 가정부 실비아에게 사기를 당한다. 몸도 마음도 약해진 노인들에게 살가운 친절은 아마도 그동안 누리지 못했던 따뜻함이기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걸 한치의 의심 없이 내준다.

아일랜드에서조차도 노인 사기가 책의 중심 이야기로 등장하는 걸 보면 가히 우리나라에서의 일만은 아닌듯하다. 나를 중심으로 한 위와 아래세대! 윗세대의 부모를 어른다는것은 어쩌면 사춘기 자녀 못지않은 일일것이다.

내리사랑이라고 했던가 자녀에게만큼 위로 사랑이 가는지.. 고가티가의 삼대 이야기에 위로가되기도 하고, 혹시라는 단어로 우리집에서도 있을수 있는 이야기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결국 실비아를 잡겠다며, 실비아의 조카 션을 보겠다며 밀리와 에이든은 미국으로 향한다.

노인문제를 10대의꽃이라 할수있는 사춘기소녀와의 동행으로 더 유쾌하게 그렸던게 아닐까?

사심없는 일탈이 그려낸 가족의 화합에 웃음지어진다.

PS. 책표지의 Good Egg라는 단어가 궁금했다.

영어판원서 제목이기도 하다. 'good eggs' 즉 좋은달갈인데 "좋은 달걀은 좋은사람이나 상냥한 사람을 일컫는 친근하고 오래된 방식이다."라는 의미를 담고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83년째 농담 중인 고가티 할머니
레베카 하디먼 지음, 김지선 옮김 / 북로드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인, 사춘기의 삶을 가족과 함꼐 유쾌하게 그렸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기만의 방 (양장) 앤의서재 여성작가 클래식 1
버지니아 울프 지음, 최설희 옮김 / 앤의서재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역시 마치 ‘여성과 픽션‘이라는 강연을 듣고 있는듯 책에 집중한다.

책속의 수많은 질문들은 여성비평가로서 버지니아울프가 끊임없이 자문했던 것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기만의 방 (양장) 앤의서재 여성작가 클래식 1
버지니아 울프 지음, 최설희 옮김 / 앤의서재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페미니즘비평의 서막을 알렸던걸까? 버지니아울프의 1882~1941년 일생을 생각하면 그녀가 몸으로 부딫혔을 성에 대한 문제를 논한다는것 자체가 불가능했을것이다.

《자기만의 방》은 버지니아 울프가 거턴 대학과 뉴넘 대학에서 진행되었던 강연에 기반한 에세이다.

거침없는 이야기에 더욱더 답답해지기도 하고, 후련해지기도 한다. 강연의 청중의 여성, 남성비중이 궁금해진다.

정여울 작가의 추천사를 보면 버지니아울프에게 글을 읽고 쓸수있다는 것은 곧 차별받고 억압받고 고통받는 삶을 바꿀수 있는 강력한 힘이었다. 또한 정여울작가도 오직 종이와 펜만으로도 세상의 모든 사악함을 맞설수 있는 강력한 힘을 가졌다고 이야기한다.

나역시 마치 '여성과 픽션'이라는 강연을 듣고 있는듯 책에 집중한다.

책속의 수많은 질문들은 여성비평가로서 버지니아울프가 끊임없이 자문했던 것일 것이다.

왜 남자들은 와인을 마시고 여자들은 물을 마시는걸까?

한성별은 부유한데 또 다른 성은 왜 그렇게 가난한 걸까?

가난은 픽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예술작품을 창조하는데 어떤 조건들이 반드시 필요한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위한 강연이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 무소유 - 법정스님 이야기
정찬주 지음 / 열림원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종교적인 색채를 지우고 읽고 싶었을지도 모르겠다.

모태신앙이며 개신교 교인으로 기독교 신앙을 가지고 있으니, 신랑마저도 《소설 무소유》를 읽고있는 내모습에 의아해했으니..~;

얼마전 인스타 이웃님의 피드에 길상사가 올라온적이 있었다. 그래서였을까? 알고있던 이야기중 길상사는 법정스님의 무소유책을 읽고, 감명을 받아 시주해서 1997년 창건한 절이었던게 생각이 나서였을까?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먼저 읽는게 순서인듯 하지만 절판되어 구하기 힘듦에, 왜 미리구입하지 못했을까 하는 아쉬움에 제자가 쓴 스승의 이야기를 읽는것도 남다르지 않을까 싶다.

법정으로부터 무염이라는 법명을 받고, 자연의 섭리대로 살아가는 정찬주 작가가 다시쓰는 법정스님이야기에 조용히 생각을 정리해본다.

무소유라는 단어에 이리도 집중하고 싶었던 순간이 있었을까?

드러나지 않았던 이면들의 모습을 소설속에 담아내면서 법정의 인간적인 모습을 이해하기를 원했다는 작가의 의도가 잘 전달이 된 듯 하다.

24살 고향을 떠나는 순간부터 죽음의 순간까지 법정의 일생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불교, 기독교, 천주교 등 종교에 구애없이 성직자로서 몸담을 수있다는것에 대한 경외감이 마지막장을 덮을때까지 떠나지를 않는다.

스승의 빈자리를 그리워하며, 《소설 무소유》로 법정의 옛그림자를 좇아가는 여정속에서 나역시 세상에서 놓지못하고있는 욕심의 모습이 조금씩 보이는듯했다.

이즈음에서 행복과 소박이라는 가치가 주는 또 다른 의미를 보여주는 듯 하다.

법정은 소로의 일어판 <숲속의 생生>을 보고 한국어판 출간을 권유했다고 한다. 어쩌면 월든호숫가의 소로처럼 자연속에서 홀로사는 삶을 택한게 아닐까? 작가의 무염無染이라는 법명조차 '세상에서 살되 물들지 말라'라는 뜻을 안겨준건 법정의 삶과 사고의 흐름을 보여준다는 생각이 든다.

세상의 깊숙히 살아야하는 현실이지만, 세상이 인정하는 것에 대한 욕심을 조금이나마 내려놔야겠다고 다시한번 마음의 여백을 남기고자 다짐하게 된다.

종교를 떠나 무소유를 실천했던 법정스님의 이야기에 잔잔한 주말을 보낸다.

법정스님의 무소유의 삶을 따라가며 쓴 동일작가의 에세이 《법정스님 무소유, 산에서 만나다》도 곧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