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판문점 - 분단의 상징에서 평화의 상징으로 아이스토리빌 34
이규희 지음, 이현정 그림 / 밝은미래 / 2018년 7월
평점 :
품절


 

 

 

6.25 한국전쟁이 지나고 벌써 70여 년이 지나고 판문점만이 남과 북을 이어 주는 유일한 통로로
이제는 분단의 상징에서 평화의 상징이 된 판문점에 대해서
그야말로 '산증인' 판문점 자신의 이야기로 우리의 과거가 얽힌 이야기를 풀어주고 있어요.
겉표지의 안경 낀 두 남자의 정체는 누가봐도 문재인대통령과 김정은위원장이란걸 알겠죠.

판문점이 생겨난 배경부터 우리의 아픈 과거의 흐름속에서 미래를 여는 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겠어요.

 

 

 

판문점의 원래 이름은 '널문리'라고 하는데, 부근에 널문다리가 있어서 '널문리'라고 지었다는 설과
널빤지로 만든 문이 많은 마을이라서 널문리라고 붙였다고 해요.

하지만 널문리라는 이름이 더 많이 알려진 건 임진왜란 때, 왜군을 피해 백성을 버리고 도망가는 선조가
배도 없이 강을 건너야한 마당인지라 마을 사람들이 다급히 널빤지 대문으로 다리를 만들었다고 해요.
선조는 눈물을 흘리며 널빤지 다리를 건너 개성으로 갔고 이 마을은 '널문리'라고 불리기 시작했다네요.


휴전회담 때 널문리는 중국어 표기가 어려워 한문으로 ;판문점;이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널문리'를 '판문'으로, '주막'을 가게라는 뜻의 한자어 '점'으로 바꾼 거라네요.

이렇게 판문점이 탄생되기까지 일화를 알려주고 있어요,.

회담장으로 쓰여지고 길어지면서 그곳에 살던 마을 사람들도 정든 집을 떠나야했겠죠.
결국 우리가 원하지도 않았던 휴전이 되고 말았으니 안타까워요.
남과 북으로 가르는 군사분계선이 그어져 '휴전선'이 되었던거죠.
이제 다시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남과 북을 오갈 수 없는 남북 각각 2킬로미터 비무장지대(DMZ)를 만들고
판문점을 옮겨 공동경비구역이란 뜻의 'JSA'라 불립니다.
유일하게 철조망 없이 서로 얼굴을 바라볼 수 있는 곳이지만,
영화 속 장면처럼 웃음기 없는 긴장감을 늘 안고 있는 장소인거져.

 

 

 

분단 이후 최초, 일본  국제 빙상 경기가 열릴 때 북한의 한필화 선수와 서울에 있는 헤어진 오빠 한필성와의
전화하는 장면을 티비를 통해 보았던 당시에도 너무 울컥했던 장면이 떠오르네요.
그리고 적십자회담이 있었고,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이 김일성주석을 만나고 북한의 박성철 제2부수상이 서울방문해 방정희대통령을 만나는 것은 쉬운일은 아니었어요.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을 서울과 평양에서 동시 발표해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 통일의 3대 원칙을 이야기하기도 했죠.
바램과 달리 실망과 분노로 이어졌지요.

미루나무 도끼만행이후 남북한 포로들이 지나갔던 '돌아오지 않는 다리' 남쪽에 푸른 말뚝이 세워졌어요.
'72시간 다리'가 생기고 더욱 냉랭하게 되어버렸네요.
실향민들의 애통함이 있던 이산가족상봉, 남북 단일팀 '핑퐁외교'는 정말 감격스러웠던 순간이었죠.
'코리아'라는 영화로도 만들어져 아이와 함께 보며 이야기했던 것이 생각나네요.

 

 

 

 

 

정주영회장의 소 떼 방북은 어려운 북한 사람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했어요.

 

한달도 안 되어 금강산 관광이 가능해졌지요.
그 때 저희 아버님도 북한에 다녀오셔서 기념품을 사오시기도 하셨었죠.^^

김대중대통령의 '햇볕정책'으로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평양에서 만나 <6.15 남북공동선언>을 발표하고
15년 만에 제1차 이산가족 상봉은 2015년 20차 이산가족 상봉까지 계속 이어졌어요.
노무현 대통령이 취임하고도 북한을 방문 <10.4 남북정상공동선언문>을 발표했어요.
안타깝게 북한군의 총격으로 <금강산 관광>과 <개성 관광>은 전면 중단이 되었죠.
그렇지만 <개성공단>이 활발히 운영되어지고 우리나라 '초코파이'가 그렇게 인기리라는 건
'이만갑'을 통해서도 확인해 볼 수 있었죠.
<천안함 침몰 사건>, 북한의 거듭된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세계평화를 위협하는 행동으로
개성공단은 철수했어요.

과거의 이야기를 하나씩 정리해가며 안타깝고 분통터지는 일들이 쌓여
끊임없는 불안할 수 밖에 없었던 시간들이네요.

 

 

 

 

 

북한의 핵무기 개발당시만 해도 설망 전쟁이 또 일어날까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죠.

지난 봄이었던 4월 27일,
보고도 믿기지 않는 장면을 온국민이 그리고 전세계가 지켜본 역사적인 순간을 우린 압니다.
남과 북, 두 정상의 만남의 감격은 마치 꿈을 꾸는 듯했고,
아이들과 뉴스를 통해 남북정상회담 <판문점 선언>으로
멀게만 느껴지던 통일이 온 거같은 기분이었어요.
내 생전에도 이런 역사적이고 감격적인 날이 일어나는구나!
앞서 '평창 동계올림픽' 에선 한반도기를 흔들며 단일팀으로 참가했고 북한 예술단에 대한 답으로 남한 예술단이 북에 방문 해
공연을 펼치고 이런 노력들이 화해와 평화를 이루어낼 수 있는 거 같아요.
물론 앞으로의 풀어야 할 과제들이 많이 남아있지만요.
조금있으면 이루어질 남북 이산가족상봉도 기다려지네요.

 

이야기의 끝_평화를 꿈꾸며
판문점 선언에서 약속한 각자 확성기가 곧바로 떼어졌어요.
당장 실행할 수 있는 것은 조금씩 달라지고 있고 더 달라질거예요.

판문점은 다짐합니다.
'나는 아직 분단의 상징이야. 하지만 난 통일이 될 때까지
평화를 위한 대화의 창구가 될 테야. 그리고 내가 분단의 상징이 아니라
평화의 상징으로 불릴 날이 올 때까지 꿋꿋하게 기다릴 거야. 반드시 그 날은 올 테니까.'

.

.

 

뒷편에는 앞에서 이야기해 주었던 분단의 역사와 평화를 향한 노력에 대해
다시한번 사진과 자료로 정리를 해주고 있답니다.

내이름은판문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