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19 : 별과 우주 - 거대한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19
사회평론 과학교육연구소 지음, 김인하 외 그림, 맹승호 감수, 이우일 캐릭터 / 사회평론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 6학년 1학기 지구와 달의 운동을 학습하는데요.

온라인 수업이었던지라,

나중에 보니 엉망으로 공부를 해놓았더라고요.

용선생 과학교실로 복습을 다시 할 수 밖에 없었어요. 교과서보다 쉽게 설명되어 있어서, 학교수업이 없이도 쉽게 개념을 이해할 수 있더라고요.


 

별자리는 지구에서 보이는 별들을 몇 개씩 묶어 이름을 붙이고 주로 방향을 찾을 때 별자리를 사용했다고 해요. 하지만 아이와 함께 별들을 보아도 찾기는 쉽지 않더라고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도 다르기 때문에, 더 찾기 어려운 건가봐요.

별은 스스로 빛을 내는 둥근 모양의 천체로 중심부에서 수소 여러 개가 합쳐져 헬륨으로 변하면서 빛을 내는데요. 태양보다 질량이 훨씬 큰 별은 블랙홀이 되기도 한대요.

우주에서의 거리 단위는 1AU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로, 약 1억 5000만 km

태양계 내에서 사용하는데

시차를 이용해 잰 별까지의 거리를 간단히 나타내기 위해 만든 거리 단위는 파섹이라고 해요.

1파섹 = 약 20만 AU = 약 3.26광년

 

별의 밝기는 별이 내뿜는 빛의 양과 별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데 등급으로 나누어 놓았죠.

별의 등급을 나타내는 숫자는 밝은 별일수록 작아지고, 어두운 별일수록 커진답니다.

밝은 별은 1등급쪽, 어두운 별은 7등급~!


 

밤하늘의 천체들을 관측하기위한 광학 망원경을 발명한 과학자들 갈릴레이, 케플러, 뉴턴이 있었네요.


 

수많은 천체가 한 곳에 모여 있는 것을 은하라고 하는데 우리 태양계가 속한 은하를 우리은하라고 해요.

옆에서 보면 중심부가 볼록한 원반 모양이고 위에서 보면 막대 모양의 중심부를 나선팔이 감고 있는 모양이네요.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현재까지 관측한 빛 중 가장 멀리서 온 것이 약 470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온 것이라고 해요.

그보다 더 클 수 있지만, 관측할 수 없으니 우리가 파악한 우주를 '관측 가능한 우주'라고도 한대요.

그 끝은 모르지만, 우리은하 밖에 또 다른 외부 은하들이 있고 점점 멀어지고 있는 것으로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