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로하, 나의 엄마들 (양장)
이금이 지음 / 창비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직 앳된 얼굴의 세 여성이 부푼 꿈을 안고 포와(하와이)에 첫발을 내디뎠다. 조국을 떠나 머나먼 이국땅을 밟는 모험을 감행하게 만든 건 중매쟁이가 건넨 사진 한 장이었다. 포와행 배에 올라타기 전, 세 사람은 기념사진을 남겼다. 세월과 함께 빛바랜 사진은 백여 년이 흐른 뒤 이금이 작가에 의해 다시 선명해졌다. 그렇게 되살아난 세 여성이 우리를 찾아왔다. 알로하, 나의 엄마들의 송화, 홍주, 그리고 버들이다.


때는 1917년 어진말. 버들은 어머니와 두 동생과 함께 살고 있다. 아버지와 오빠는 일본에 대항하다 목숨을 잃었다. 삯바느질로 근근이 생계를 이어가던 버들에게 기회가 찾아온다. “포와로 시집가지 않을랍니꺼?” 방물장수가 던진 한마디에 버들은 가슴이 뛴다. 낙원으로 묘사되는 포와를 마다할 이유가 없었다. 버들이 사진 신부로 포와에 간다는 소식이 퍼지자 버들에게 동지가 생긴다. 결혼하자마자 과부가 된 친구 홍주와 부모 없는 무당의 손녀라는 이유로 온갖 설움을 한 몸에 받고 있던 송화다. 더 나은 삶을 살리라는 희망에 운명을 걸고 세 사람은 포와에 도착한다. 하지만 기회의 땅은 배에서 내리기 무섭게 현실이 된다. 현지인의 냉대, 가혹한 노동, 독립운동을 둘러싼 갈등, 그로 인한 이별……. 세 사람이 맞닥뜨린 포와의 현실이 눈앞에 생생히 펼쳐지며 한시도 책을 손에서 놓지 못하게 만든다.


한국인의 하와이 이주 역사는 여러 매체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고국산천에 대한 애정을 뒤로하고 타국에 삶의 터전을 일구어낸 이주 1세대. 사탕수수 농장 앞에 모여 고단한 얼굴로 어색하게 웃고 있는 그들의 단체 사진을 우리는 쉽게 접한다. 그 애환의 단편을 보여주는 현장에, 여성은 없다. 하지만 남성과 함께 고된 길을 개척해 나간 여성이 분명히 있었다.


알로하, 나의 엄마들은 역사에서 밀려난 여성들을 조명한다. 그중에서도 사진 신부로 고국을 떠난 여성을 주인공으로 내세운다. 도피가 아닌 돌파를 위해 사진 신부들은 스스로 포와행 표를 잡았다. 비록 모든 게 물설고 낯선 땅은 눈물이 마를 틈도 주지 않고 척박한 현실로 이들을 몰아세웠을지언정, 이들은 역경에 굴하지 않고 기필코 살아내겠다 다짐했다. 한인 사회의 일원으로서, 독립운동을 위해 떠난 남편의 부재를 대신하는 가장으로서, 더 나아가 조국의 독립에 직접 힘을 보태는 투사로서 누구보다도 강인한 생명력을 보인 여성들이 그곳에 있었노라고 작가는 버들, 홍주, 송화를 빌려 이야기한다.


알로하, 나의 엄마들은 하와이 이주 1세대만을 그리지 않는다. 후반부는 버들의 딸 의 시선으로 옮겨가 전개하며 세대를 교체한다. 갑작스럽게 화자가 바뀌며 진행되는 아쉬움이 상쇄되는 이유다. 버들, 홍주, 송화가 마주한 벽은 또 다른 형태로 다음 세대를 가로막지만 버들의 딸은 셋의 정신을 이어받아 벽을 허물고 굳건히 자신의 길을 걸어갈 것이다.


하와이 이주로부터 100. 격동의 파도가 지나간 현재는 어떨까. 모든 여성은 여전히 마음속에 자신만의 포와를 그리며 살아가고 있으리라. 시시각각 우리의 존재를 지우려 덮쳐오는 파도에 때로는 좌절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버들과 홍주와 송화가 그러했듯 우리 모두 끝내 멋지게 파도를 넘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올라탄 파도의 물보라 위로 피어나는 무지개를 보며, 또 우리의 다음 세대는 파도와 부딪치고, 파도를 넘어서고, 파도를 즐길 힘을 키울 것이다. 그들을 위해 끊임없이 밀어닥치는 파도에 지지 않았던 여성들의 이야기를 기억해야만 한다. 동틀 무렵 카네이션밭에서 이야기를 나누는 버들과 펄의 모습을 끝으로 작가는 펜을 내려놓았다. 그녀가 복원한 빛바랜 사진이 다시 먼지 덮인 역사가 될지 선명하게 유지될지는 이제 우리 손에 달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