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제 불능 - 인간과 기계의 미래 생태계
케빈 켈리 지음, 이충호.임지원 옮김, 이인식 감수 / 김영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케빈 켈리, 이충호 & 임지원 역, 『통제 불능』, 김영사 2015


 

 케빈 켈리는 훌륭한 작가다. 과학기술 분야와 관련해서도 굉장히 통찰력 있는 사람으로 꼽힌다. 영미권에서 이 분야로 제일 유명한 잡지인 <와이어드>지의 창립 멤버이자 편집장이기도 하다. 듣기로는 영향력이 어마어마한 잡지라고 한다. 더불어 기술 낙관론자이기도 하다. 


 이 책에 대해서는 장점보다 단점을 먼저 말하고 싶다. 이게 장점일지 단점일지는 독자에 따라 물론 다르다. 지금 나는 '단점이 될 수도 있는 요소'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이 번역은 2015년에 되었는데, 쓰인지는 20년이 되어 간다. 원판 copyright가 1994이니 25년 된 관점인 셈이다. 따라서 보다 최근의 정보나 관점을 얻고 싶은 사람은 저자의 (보다) 최근 책인 『인에비터블』이나 『기술의 충격』(『what technology wants』) 같은 책들을 읽는 것을 추천한다.


 물론 이것이 단점이 될 소지가 있으나, 오히려 장점으로 읽힐 수가 있다. 최근의 많은 연구들의 방향은 켈리가 책에서 예측하는 것과 정확히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과감한 예측을 담은 책은 시간이 지난 후에 그 예측이 실제로 들어맞았는지, 만약 들어맞았다면 그것이 예측자가 주장한 이유에서 들어맞았는지 아니면 단순한 운인지, 혹은 들어맞지 않았다면 어떤 상황을 과소평가하거나 과대평가한 것인지 따져보면서 읽는 일도 즐거운 일이다.


 이를 따져보기 위해서 일단 책의 핵심 주장을 가볍게 짚고 지나가자. '가볍게'라고 말한 이유는 책이 (표현을 많이 순화해서) 굉장히 두껍기 때문이다. 참고문헌을 합한다면 거의 950페이지 정도 되는 책이다. 이를 제외한다고 해도 800 페이지가 넘는 책이니, 손이 썩 잘 가는 책만은 아니다. 그러나 두껍고 긴 논증에 비해서 핵심 주장은 간단하다. 한 줄로 요약하자면 이렇다. 기술의 방향성은 '기계의 생물화와 생물의 기계화'이며, 이는 같은 원리에 의해 제약된다. 이를 칭하기 위해 사용하는 그의 독특한 개념이 '비비시스템'(vivisystem)이다. 


 듣자마자 직관적으로 이해가 가는 대목은 아니다. 이 점을 이해시키기 위해 켈리는 매우 긴 장과 수많은 사례들을 들어 이 점이 실제로 가능하고, 참임을 논증하려 한다. 핵심은 생물이 가진 분산처리와 하부의 자율지능(직접적 통제로부터 거리가 있다는 의미에서)이 로봇과 같은 기계를 설계하는 데에 적절한 방식이며, 지금까지 걷는 로봇과 같이 실제로 행위하는 '행위자' 로봇을 완성도 있게 만드는 것이 그렇게나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 그것이 '중앙 통제'의 방식이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근육의 움직임과 같은 행위는 우리가 생각하기에 엄청나게 간단한 팔을 들어올리는 동작과 같은 것도, 수많은 조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복잡한 행위자는, 그 자신의 행위를 모두 지켜보고 결정하는 '중앙 처리자'의 명령을 통해서 설계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해선 안 된다. 오히려 중앙 통제의 포기와 자율적 반응 설계가 더욱 적절한 방식이다.


 이 말 또한 이해가 가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이 분야에 대해 별로 관심이 없던 사람은 더욱 그렇다. 당장 우리는 의식을 가지고 우리의 행위를 '통제'한 채로 살아가지 않는가?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현대 인지과학에 따르면 우리가 '의식적으로' 인식하는 행위는 전체 행위의 1% 미만이라고 한다. 실제로 '통제'한다고 생각되는 행위는 더욱 적다. 우리 또한 당연히 대부분의 경우에서 자율설계 구조가 작동한다. 당장 이 글을 보면서 숨을 쉬고 있음을, 혓바닥 위치를, 눈을 감고 뜨고 있음을 의식해보라. (사과드린다.) 잠시간 매우 불편한 상황이 연속될 것이다. 그것이 바로 얼마나 의식의 개입 없이 처리하는 행위가 많은지를 시사해준다.


 켈리의 본래 주장으로 다시금 돌아와보자. 그러하다면 실제로 현재 로봇 연구들은 켈리의 방식, 즉 켈리가 그렇게 될 것이라고 예측한 방식을 따르고 있는가? 이에 대해서는 복잡한 문헌들보다 하나의 실제 영상이 나을 듯하다. jtbc에는 <차이나는 클라스>라는 방송 프로그램이 있다. 별로 좋아하지는 않지만 72회 mit 로봇연구소 김상배 교수의 설명 중 '스티키봇' 등을 참조하라. 생물의 근육이나 행동구조를 모방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로봇은 실제로 진행되고 있는 연구들이다. 


 물론 켈리는 굉장히 긴 방향에서, 장기적으로 도발적인 예측들이나 주장들을 편다. 그러면서도 기술낙관론적 시각을 견지한다. 그의 시각에 동의하건 동의하지 않건 모두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책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