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찬 회의론자 - 신경과학과 심리학으로 들여다본 희망의 과학
자밀 자키 지음, 정지호 옮김 / 심심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밀 자키 / 희망찬 회의론자

희망찬 회의론자는 냉소주의와 회의주의의 차이를 밝히며, 냉소주의가 우리 삶과 사회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분석한다. 냉소주의는 인간에 대한 신뢰 부족에서 비롯되며, 세상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태도를 강화한다. 연구에 따르면 냉소적인 사람들은 우울증을 겪을 확률이 높고, 음주가 과도하며, 소득 수준이 낮고, 수명도 짧다. 또한, 냉소주의는 직장 문화, 민주주의, 인간관계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신뢰가 약화된 사회를 만든다. 반면, 회의주의는 맹목적인 믿음을 거부하고 증거를 기반으로 판단한다.

희망찬 회의론자 책은 냉소주의를 넘어 변화를 이끌어낸 사례들을 소개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의 신뢰를 회복시켜 위험한 학교를 개선한 교장, 경쟁적인 기업 문화를 협력적으로 바꾼 CEO, 음모론을 신봉하다가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고 변화한 사람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저자는 이러한 사례를 통해 냉소주의가 우리를 속박하는 방식과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희망찬 회의주의를 제안한다. 이는 비판적 사고를 유지하면서도 인간과 사회의 가능성을 열린 마음으로 바라보는 태도로, 희망찬 회의론자는 신뢰를 쌓고, 부정적인 편견을 경계하며,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기 위해 행동한다.

궁극적으로 이 책은 냉소주의를 경계한다. 냉소주의는 사람들을 더 불행하게 만들고 사람들을 무력하게 하지만, 희망찬 회의주의는 실용적인 희망을 통해 개인과 사회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결국,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은 냉소적인 태도가 아니라, 비판적 사고와 열린 마음을 바탕으로 한 신뢰와 희망이다.

희망찬 회의론자는 세상을 대하는 방식 자체를 바꿀 수 있는 중요한 키워드다. 요즘 사회를 보면 냉소주의가 너무나 만연해 있다. 정치, 경제, 인간관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어차피 세상은 바뀌지 않는다.' '믿을 사람 하나 없다.' '이기적인 사람들만 성공한다.' 같은 생각을 쉽게 하게 된다. 특히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에서는 이러한 냉소적인 태도가 빠르게 확산되며, 오히려 현실적이고 똑똑한 태도로 여겨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생각을 하면 할수록 사람들은 점점 더 무력감을 느끼고, 서로 신뢰할 기회조차 잃어버리게 된다.

물론 세상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고, 모든 사람을 무조건 믿을 수도 없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무것도 바꿀 수 없다고 단정 짓는 순간, 우리는 이미 패배한 것과 다름없다. 냉소주의는 결국 자기 자신에게 가장 큰 손해를 준다. 반면, 희망찬 회의론자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되, 그 속에서 가능성을 찾는다. 사람을 무조건 신뢰하지는 않지만, 신뢰할 기회를 찾고, 세상의 문제를 단순히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해결책을 고민하는 더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태도라고 생각한다.

냉소주의는 누구나 쉽게 가질 수 있지만, 희망찬 회의론자는 노력해야만 하기에 이 책을 읽는 것만으로도 그 노력이 충분히 가치 있다고 생각한다.

출판사 '푸른숲' 으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