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Guadium Thumbler -강유원샘의 강의 제목-
1강: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사는 무엇인가, 한국에서 철학사를 읽는 이유
2강: ‘축(軸)의 시대’와 사상사적 전환, ‘대우주(大宇宙)-소우주(小宇宙) 모형’의 의미
3강: 철학/신화/종교/과학, 희랍철학의 원류들과 고유한 형성
4강: 희랍철학의 전개, 자연철학자들, Thoukydides의 의의
5강: 근본범주들, 형이상학: 자체(kath’auto)에 대한 사유, 상대적 nomos와 절대적 nomos
6강: Sokrates: 방법론, 적극적 주장, Platon과의 구별
7강: Sokrates의 성취와 한계, Platon의 계승, Idea론[形相論]
8강: Platon의 ‘동굴의 비유’: 고개돌림(periagōgē), 오름(anabasis), 내려가기(katabainein),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통치자’와 실정성(Positivität)
9강: Platon의 ‘좋음’의 형이상학: 좋음(agathon), 내 것(oikeion), 불멸(athanathon)
‘eros의 사다리’
10강: Sokrates와 Alkibiades(«향연», 212c-222b)
11강: Aristoteles의 형상내재론(形相內在論), 학문의 분류: 이론학, 실천학, 제작학
12강: Aristoteles의 운동(kinesis)개념: dynamis(뒤나미스, 잠재태)
entelecheia, energeia(엔텔레케이아, 에네르게이아, 현실태)
13강: nous철학의 종언, Epikouros의 철학: tetrapharmakon, Lucretius의 철학시(哲學詩)
Stoa철학: Marcus Aurelius의 «명상록», 18세기 이신론(理神論)
14강: 세계(Welt)/ 세계상(Weltbild)/ 세계관(Weltanschauung), 인도의 종교들: 힌두교, 자이나교
15강: 인도불교, 중국 사상의 기본개념, 중국의 종교들: 유교, 도교, 불교
16강: 조로아스터교, 유대교, 초기 기독교, 이슬람교
17강: 철학.사상의 보편화, 서양과 중국 존재론의 근본구도
18강: Gottesnähe(신의 임재臨在), 헬레니즘적 기독교, Paul의 성취, gaudium et spes
19강: 기독교의 사회철학적 의의, 새로운 문화적 정체성의 성립 문제, 필론(Philon)의 시도
20강: 학문적 크레딧(scientific credit)과 호칭, Plotinos의 철학: 존재의 대연쇄, 유출, 영혼의 역할
21강: 삼위일체와 신화(神化, theosis, deification), 헬레니즘 기독교의 가톨릭으로의 전개,
Augustinus의 기본 사상
22강: «고백록confessiones»의 구조와 성격
23강: «고백록confessiones» 읽기
24강: 안셀무스, 아벨라르두스, 베르나르두스
25강: 토마스 아퀴나스, 보편개념실재론의 의의,
사상사에서의 방법론적 전환: 한 사례로서의 소크라테스(Phaidōn읽기)
26강: 송명이학(宋明理學)의 성립 배경: 유교의 체제교학화(體制敎學化), 삼교일치론(三敎一致論)
27강: 사대부(士大夫)와 남송도학운동(南宋道學運動), 주희(朱熹)와 사서(四書),
체제교학으로서의 주자학(朱子學)
28강: 송명이학의 형이상학(性卽理, 天命之謂性), 조선 성리학의 전개, 전승된 정신사적 유산
29강: 스콜라 철학 후기, Scotus, Ockham, Nikolaus von Kues
30강: Nikolaus von Kues: docta ignorantia(무지의 지), Deus absconditus[지성적 신비주의],
identitas oppositorum(대립의 일치),
르네상스 시대의 사상가들: Machiavelli, Luther, Bacon, Hobbes
31강: 르네상스 시대의 혼재성 또는 다종성. Machiavelli의 새로운 정치학, Luther의 내면성,
More의 유토피아
32강: Bacon: 철학개념의 재정의와 학문방법론의 전환에 의한 적정사회 건립
Hobbes: 유물론적 이론체계와 규범현실주의의 실천철학
33강: 근대철학 개관: Descartes, Spinoza, Locke, Newton
/ Hume / Rousseau / Kant / Fichte, Schelling, Hegel / Marx / Nietzsche /
자연과 자유, 유한자와 무한자
34강: Descartes의 방법론적 혁신과 주관성(cogito ergo sum)의 철학,
Locke의 경험적 대상인식론, 인간의 뇌와 정신의 형성
35강: Spinoza의 방법론-형이상학-윤리학, Newton의 수학적 원리에 따른 자연철학
36강: Hume: 인과율 분석의 의의,
Rousseau: ‘소유권 기반 사회’에서 ‘일반의지 기반 사회’로의 전환
37강: Kant: 계몽철학의 완성자로서의 Kant, 인식이론
38강: Kant의 실천철학, 목적론과 사변철학으로의 端初(단초)
39강: Hegel 철학의 형성과정, Hegel의 Front, 철학의 목표로서의 ‘삶의 통일(Einheit des Lebes)’
40강: Hegel의 형이상학: 유한자와 무한자의 통일, 무한자의 입장으로 올라섬;
철학사 공부 이후의 공부, 선생에게 이쁨받는 학생되는 법
======================================================================================
철학이라는 이름 안에서 무엇을 읽을 수 있겠는가?
자연학,형이상학(the one and many problem=일과 다의 문제), 실천학
; 
교재 : 세상의 모든 철학
기존의 철학사에서 다루지 않은 영역(동양적 가르침, 종교사상등)을 다룸으로써
일반적인 서양철학의 개념을(P-A로 이어지고 종교는 기독교만을 다루는 것) 해제시켜 좀더
넓고 포괄적인 의미의 지성의 역사까지 아우르며 공부하기 위한 책 선정, 사상사적 철학사
강의1




숙제 : 나는 이 강의를 왜 듣는가?. A4 반장
강의2
숙제 : 23-30p 내용(축의 시기와 철학의 기원)을 요약정리. A4 한페이지
에토스 세트를 설명, 공자,노자등을 설명(다섯단락 글쓰기 없어도 됨)
강의3

종교와 철학의 차이 : 총체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호소하는 측면이 다르다. 종교의 궁극적인 목적인 죽음에 대한 대답, 마음의 평화, 인간의 구원을 철학은 계속 물어보고 의심하는 것이다.
과학과 철학의 차이 : 18세기 이후 과학은 누적적이고 과거의 성과를 폐기하며 나아가며,철학은 그렇지 않다.
강의4

에토스, 근본범주, 사유모형
강의5




구조적 위기가 근본범주에 대한 생각을 하게 한다
경로의존
강의6



플라톤의 대화편 초기 : 뤼시스,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중기 : 고르기아스, 프로타코라스, 파이돈, 파이드로스, 향연, 국가
후기 : 정치가, 티마이오스, 필레보스, 법률
강의7



강의8
강의9

강의10






강의11

강의12
강의13


강의14
강의15
강의16




강의17



강의18

강의19




강의20






강의21





구조적 텍스트: 신곡 - 고백록 - 정신현상학
강의22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 '하나님의 참다운 사랑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이라는 목적을 전제하고
자신의 삶의 모든 국면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이 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필연적 개기였음을 회고적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서술한 책.
강의23

고백록 1.1.1
Magnus es, domine, et laudabilis valde: magna virtus tua, et sapientiae tuae non est numerus.
철학사적 전환에서의 1급 : 플라톤-아우구스티누스-홉스
강의24






강의25

강의26
강의27
강의28

강의29








강의30





강의31






















강의32







강의33



강의34







강의35







강의36







강의37




강의38




강의39











강의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