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렌드 코리아 2014 -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14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3년 11월
평점 :
이 시대의 트렌드를 알고자 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희망사항일 것이다.
요즘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여러 정보를 알면 어떤 일에서든 모르는 것보다는 훨씬 유리할 것이다. 유행에 뒤처지면 사람들과의 대화에서도 뒤처지게 된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제목만으로 강한 호기심을 자극하는 책이다.
1부에서는 2013년의 소비트렌드를 되돌아보는 내용이다. 사람들 사이의 불만과 불신, 유머코드, 스칸디맘, 나홀로 라운징, 음식에 대한 관심 증가, 시즌의 상실, 디톡스 열풍, 소진 사회, 적절한 불편 등등.
2부에서는 2014년의 소비트렌드를 전망한다. 먼저 2014년의 전반적인 경제, 행정, 기술, 문화, 생활 등의 전망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게 정리해 놓았다. 그리고 2014년의 트렌드를 10개의 키워드롤 정리했다. 스웨그 문화, 몸을 움직이려는 노력, 초니치(틈새의 틈새를 공략), 어른아이 키덜트, 하이브리드 패치워크, 판을 펼쳐라, 해석의 재해석, 예정된 우연, 관음, 직구 화법등이 그것이다.
트렌드라는 것이 대중매체와 미디어의 영향이 클 수밖에 없는 만큼 이 책도 미디어에 나타난 성향을 주로 다루었다. 하지만 다음에 나올 ‘트렌드 2015’에서는 대중의 제보를 통해서 책을 엮을 예정으로 보인다. 요즘 사람들의 의식 수준이 높음을 감안한 기획으로 생각된다.
마지막 장에서 다룬 직구에 대해서 공감형 직구와 비방형 직구 그리고 폭로형 직구로 나누었는데, 다소 위험할 수 있지만, 스트레스를 안고 살기 보다는 표출해야 한다는 자가심리치유의 결과라는 느낌도 든다. 이 시대의 시대적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논리가 아니라 호감이라는 책의 내용처럼 개인의 의식있는 판단과 언행으로 진정한 소통이 이루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
(한우리 북카페 서평단으로 읽게 되었습니다. http://cafe.naver.com/hanurimom 좋은 책 읽을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