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아와 이드는 프로이트 이전부터 동양에 있었다 - 서양심리학 vs 동양심리학
진혁일 지음 / 보민출판사 / 2019년 8월
평점 :
절판
컬럼비아 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사업가인 저자는 평소 자신이 가위에 잘 눌렸던 점을 계기로 서양 심리학과 동양 심리학을 비롯해 철학,역사, 예술 등 다양한 학문을 공부하면서 서양 심리학과 동양 심리학의 비슷한 점과 다른점을 찾아 비교 및 세심하게 분석하여 이 책을 출간하였다
프로이트는 대학시절 교양으로 들었던 심리학 수업에서 많이 나왔는데 그때 그 수업을 듣던 추억이 다시금 떠오른다
서양 심리학은 익숙하게 들리지만 사실 동양 심리학은 참으로 낯설게 느껴진다
19세기 말 서양에서 프로이트가 등장하면서 본격적으로 의식과 무의식, 자아와 초자아, 이드와 같은 다양한 개념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동양에서는 수천년 전, 서양의 프로이트가 등장하기 이전부터 이미 이러한 개념들이 존재했다고 한다
프로이트의 꿈은 현실에서 실현하지 못한 잠재된 욕망이 의식과 무의식의 중간지점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꿈 속에서 엉킨 욕망들의 형태를 바꿔가는 것을 '꿈작업'이라 불렀다
꿈작업은 4가지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한다
1.압축: 잠재되어있는 꿈을 짧게
압축시키는 과정
2.전치: 현실에서 허용하지 못하는 억압된 욕망을 철저하게 위장, 왜곡시키는 과정
(프로이트는 '전치' 를 꿈 검열의 가장 강력한 도구라고 역설함)
3.묘사 가능성: 꿈 사고가 이미지를 통해서 재현되는 과정
4.2차 가공: 의식이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최종 가공하는 것
자아와 이드는 무엇인가?
자아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
정신분석학에서는 이드 (id), 초자아와 함께 성격을 구성하는 한 요소로 현실 원리에 따라 이드의 원초적 욕망과 초자아의 양심을 조정한다
이드
인간 정신의 밑바닥에 있는 원시적ㆍ동물적ㆍ본능적 요소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학 용어로쾌락을 추구하는 쾌락 원칙에
지배되며 즉각적인 욕구 충족을 목적으로 한다
저자는 서양 심리학에 관해 이야기를 먼저 한 다음 동양 심리학 중 명리학에서 나오는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명리학에서는 4길신과 4흉신에 대해 나온다
4길신: 정관, 정인, 정재, 식신
4흉신: 편관, 상관, 겁재, 편인
대개의 경우에는 사주팔자가 주로 길신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생화유통이 적절한 경우는 일생이 무탈하지만 반대로 흉신으로 이루어진 사주가 제화되지 않았을 경우, 해당 사주의 명조는 힘들고 고단한 경험을 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가장 관심을 갖고 읽은 부분은 단연코 '사주팔자' 부분이었다
심리학과 사주팔자를 연결해서 설명하는 부분이 참 재미 있었다
제목만 읽어보면 다소 읽기에 어려울 수 있는 심리학 도서 쯤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집중해서 읽어보면 참 재미있는 내용이 많다
특히 나또한 사주팔자에 관심이 많다보니 가장 관심을 갖고 열심히 읽은 부분이기도 하다
제목만 보고 어렵게 생각하지말고 많은 분들이 함께 읽어보기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