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시대의 아리아
신종원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음'이라는 단어를 보면서, 어떤 소리들은 아무도 다룰 수 없다거나, 그 누구라도 만나고 싶지 않은 영역에 있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짧게 훑고 지나가면 이 소설집은 소음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데 시끄럽게 울리던 소리에 적응하고 난 것처럼 몇 번 반복해서 읽으면서 새로운 면모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안에서 소리를 다루고 싶은, 그리고 온전히 자신의 몫 안에서 그 누구보다도 잘 짜여진 음악을 만들고 싶던 사람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었다.


소설집의 제목이 '전자 시대의 아리아'라는 것은 이 소설가의 한국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발표한, 등단작이 곧 대표작임을 이야기하는 것일수도 있다. 해석을 자의적으로 해본다면, 아리아에 무게가 실리는 소설집이라고 생각을 했다. 전자 시대라는 말은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 그 자체를 의미하기 때문에 소모적인 수사라고 생각했다. 


나는 아리아를 중심으로 소설집의 매력을 생각해보기로 했다. 이 소설집에서 이야기를 뱉는 존재, 서술자가 들려주는 목소리를 따라가거나 혹은 묘사된 시선을 통해서 드러나는 것은 하나의 실루엣일 때가 많았다. 그러므로 아리아가 시작되는 하나의 무대 그 자체로서, 이 소설집이 자리한다는 인상을 받았다.


그런 이유로 눈에 확 들어왔던 두 편의 소설이 있었다. '옵티컬 볼레로'와 '보이스 디펜스'였다.


옵티컬 볼레로 Optical Boléro, 광학적인 볼레로 정도로 직역을 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이 소설을 읽는 우리는 카메라가 담고 있는 영상을 차례대로 만난다. 옵티컬 볼레로가 음악을 매개로 시작한다고 보는 것보다는 몇 편의 영상이나 종교적인 상징을 매개로 시작한 소설이라고 생각하지만, 소설을 배열하는 방식은 볼레로가 만들어진 과정과 닮아있었다.


표제작인 전자 시대의 아리아가 있지만, '보이스 디펜스'야 말로 진정 아리아에 가까운 이야기였다. 서술자의 목소리로 가득한 해설서에 가까운 소설을 따라가면 하나의 소리를 만나게 된다. 조금 괴기스럽기도 했다. 어떤 장면에서는 아이러니함도 느낄 수 있었다. 수록된 소설의 전반적인 모습에서 이와 같은 아이러니를 느낄 수 있었지만, 그 분위기조차 몇 번 반복하며 읽으면서, 재미를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소설집에 수록된 소설의 전부는 아니지만, 소설들을 읽으면서 바로크 시대의 음악과 비슷한 느낌이라고 생각했다. 아리아 하면 떠오르는, 오페라라는 음악극의 문을 연 시기이기도 하고, 종교 음악의 중흥기를 누렸던 시기이기 때문에 떠오르게 되었다. 


친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소설집은 아닐지라도, 여러 번 음미하면서 퍼즐을 맞춰가기 시작한다면 읽을수록 새로운 느낌과 마주하는 소설집이었다. 표제작인 '전자 시대의 아리아'를 처음 마주할 때의 설렘보다 그 작품 이외의 다른 소설들을 몇 번씩 훑어보면서 더 깊은 매력을 느낄 수 있었다. 8편으로 묶인 소설집을 읽으면서 소설가 신종원만이 갖고 있는 오리지널리티가 무엇인지 알 수 있었던 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