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 대문 : 사서 편 - 인생에서 꼭 마주치는 질문들에 대한 동양고전의 답 고전의 대궐 짓기 프로젝트 1
박재희 지음 / 김영사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서삼경의 정수를 모아 현대적 해석을 통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입문서로 손색이 없습니다. 인생에 대한 깊은 성찰을 필요로 할 때 읽어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후설의 현상학
단 자하비 지음, 박지영 옮김 / 한길사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을 공부하면서도 어렵다고 외면했던 현상학을 후설의 사상을 통해 간결하면서도 명쾌하게 잘 정리할 수 있도록 쓴 입문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전의 대문 : 사서 편 - 인생에서 꼭 마주치는 질문들에 대한 동양고전의 답 고전의 대궐 짓기 프로젝트 1
박재희 지음 / 김영사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이가 들어갈수록 고전과 친해져야겠다는 생각이 절로 듭니다. 세상살이가 녹록치 않다는 진실 앞에서 매번 무너지기 보다는 내면을 단단하게 만드는 과정이 필요한 법이기 때문입니다. 이 책은 고전중의 고전을 모아 시리즈로 만든 책인것 같아서 반갑네요. 동양고전을 통해 얻은 지혜로 모두가 잊고 있던 가치를 찾기를 기대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의 맛 - 셰프가 편애한 현대미술 크리에이티브
최지영 지음 / 홍시 / 2016년 12월
평점 :
품절


대다수의 사람은 먹을 줄 안다. 요리는 기술을 요할지언정, 먹는 것은 어렵지 않다. 입에 맞는 것을 먹으면 즐겁다. 현대미술도 그럴 수 있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알려주는 책이다.미술에 관심은 있지만 어떻게 시작해야할 지 모르는 분들에게 좋은 정보가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반양장) - 지금 우리를 위한 새로운 경제학 교과서
장하준 지음, 김희정 옮김 / 부키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장하준의 책은 거의 예외없이 베스트셀러에 오르지만 그만큼 말들도 많다. 경제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정치와 연관지어 이야기한다. 경제가 우리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되었고 확장되면 다시 정치와 연결된다. 그동안 그가 펴낸 책들은 전부 현실에서 벌어지는 경제현상에 대해 이면을 파헤치고 대안을 제시하다보니 전부 정치적인 색깔로 덧입혀졌다.

 

이 책은 일반인들이 경제학을 '사용'할 수 있는 데 도움이 되도록 만든 책이다. 경제학을 사용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경제학을 이해한다고 했을 때는 비전문가 입장에서 전문가들이 하는 말을 알아듣는다는 이야기이다. 문제는 여기서 발생한다.

 

주류경제학의 온갖 이상한 가정(인간은 합리적이라는 둥, 시장은 완전경쟁이라는 둥, 심지어 수학적 모델로 설명이 안 되는 것은 경제학이 아니라는 최근의 무식한 용감함까지..)에 대해 근본적으로 의심해봐야 한다. 미국에서 학위 받은, 경제학자라는 사람들의 단골 레퍼토리가 그것이다. 실제 경제주체들인 우리들은 여기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저자는 경제학은 스스로 사용하는 도구가 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사고와 판단의 틀로서 다양한 경제학 이론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숫자들에 익숙해지게 하며 앞서 말한 온갖 이상한 가정들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시한다.경제학을 정치경제학으로 되돌려놓는, 무엇보다도 대중적인 작업이며 저자 스스로 말했듯 평이하지만 가장 급진적인 저작이다. 주류경제학자들의 입장에서는 무척 불편할지도 모른다.


이 책이 담고 있는 것은 사실 방대하다. 경제학의 의미에서 시작해 자본주의의 역사를 훑어, 다양한 경제학파들을 소개하고 비교한 후 경제학 속으로 들어와서는 생산과 금융, 불평등과 빈곤, 일과 실업, 경제학 속의 정부의 의미와 역할, 세계화까지 두루 논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모든 내용이 이 한 권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게 오히려 믿어지지 않는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이 책의 목적이 경제학을 설명하고 가르치려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중심을 이어 하나의 시각으로 끝맺으려는 시도가 가장 중요하기에 온갖 용어와 복잡한 이론들에 대한 설명이 없이도 많은 것을 담을 수 있던 거다. 덕분에 생긴 이점이 하나 더 있는데, '딱딱하지 않다'는 거다. 본문 곳곳에서 저자의 유머 감각이 엿보이는 부분들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것이 또 하나의 즐거움이 된다. '비아냥거리지 않으면서 비판하기'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