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소란 - 박연준 산문집
박연준 지음 / 난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연준 시인의 산문집을 만났다. 소설가의 산문집, 에세이스트의 산문집, 카피라이터의 산문집과는 다른 시인의 산문집. 모든 꼭지가 시가 밀려오는 방식으로 오는 것 같았다. 책에서 시는 몸이 하는 일이라고 한다. 쓰는 일도 읽는 일도. 시인님은 육체를 통해 영혼이 깨어났고, 그래서 아직도 시는 육체적인 것, 몸으로 하는 것이라고 믿는다(64쪽)고 했다. 그리고 좋은 시를 읽을 때면 이상한 일이 벌어진다고, 좋은 시들은 몸이 일하게 만든다(131쪽)고도 했다. 그런 방식으로 이 산문집도 읽힌다. 고모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면(「고모 방」) 젊은 고모의 외로움과 아름다움에, 늙은 고모에 대한 아쉬움과 아름다움에 내 몸이 먼저 반응한다. 할머니, 아빠, 바보 이반, 클레멘타인, 슬픔에 대해서 쓴 글들도 몸이 먼저 느낀다. 찌르르 하고 찡 하면서 몸이 알면, 그 다음 머리가 아는 식으로 이 책을 읽어갔다. 그렇게 읽는 동안 내 몸과 마음에 많은 흔적들을 성실하게 남겨준 책이다.


시간을 ‘보내는 것‘이 삶이라면 될 수 있는 한 ‘잘 대접해서‘ 보내주고 싶다. - P81

손해 보는 사람들, 좀 느린 사람들, 에둘러 가는 사람들, 도무지 부자가 되지 못하는 사람들, 마음이 약해 세상에 잘 속는 사람들, 사랑할 때 순정한 사람들, 꼼수를 부리지 못하는 사람들, 속은 줄 알아도 허허 웃거나 고개를 숙이고 울 뿐 뭘 못하는 사람들... 우리는 이들을 정말 사랑하지? 사랑 안 하고 못 배기지? ... 약자라는 말도 불쾌해. 우리는 그냥 우리식대로 ‘바보 이반‘이라고 부르자. 세상에는 바보 이반들이 꽤 있고, 그들이 있어 아직 죽을 만큼 나쁘지 않은 거겠지. - P94

하지만 너무 사랑해서 우리는 서로의 마음을 자주 할퀴어놓고는 돌아서서 운다. 이건 정말 진부한 얘기다. 하지만 사는 것은 대체로 진부하다. - P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는 일곱 살 때 안 힘들었어요?
정용준 지음, 고지연 그림 / 난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가족들과 별로 친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사실 친해지고 싶은 마음도 딱히 있지 않다. 사실 그냥 별로 생각을 하고 싶지 않았다. 생각하면 나쁜 기억들이 먼저 떠오르는데, 나에게 잘해주는 가족들에 대한 내 마음은 좋아야만 할 것 같으니까.


동화 <아빠는 일곱 살 때 안 힘들었어요?> 속 엄마가 작은 소리로 ‘어휴, 힘들어. 괜히 낳았나봐’라고 했던 것을 기억하는 주인공 나나처럼. ‘누굴 닮아서 그렇게 가시 돋혔니, 그러다 넌 평생 주위 사람들 상처나 주고 살 거야’라고 질책하던 엄마의 말이 아직도 나에게 저주처럼 살아있다. 그래서 가족에 대해서 웬만하면 생각하지 않는 사람이 됐다.


그렇지만 그런 내가 만족스럽진 않았나 보다. 이 이야기가 끝날 때 울어버린 걸 보면 말이다. 힘든 기억을 지우려고 가족을 지우면, 가족이 주었던 그리고 앞으로 줄 좋은 일들도 함께 사라지겠구나.


마음에 외면하는 기억이 있다는 걸 알지만, 용기는 나지 않고 차라리 끝까지 모르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주고 싶은 책이다. 힘들지 않고 다정하고 아름답게 그 기억까지 데려가 줄 것이다.


<책갈피>
1. 나나는 용감한 사람이다. 해결사이고, 사랑이 많다. 그래서 힘들기도 하다.

- “아빠는 걱정되지도 않아? 밤마다 라라가 무서워서 울잖아. 당연히 도와줘야지.” (p.54)

- “그건 모르겠어요. 더는 사랑하지 않거나 다른 동물이 키우고 싶었나봐요. 그래서 코알라에게 사랑한다고 열 번도 넘게 말해줬어요.” (p.68)

- “아빠. 그런데 아름답다는 건 뭐에요?”
“아름다운 건 아빠예요.” (p.71)



2. 어른이 되면 정말 괜찮아질까?

- “아빠, 이제는 정말 괜찮아졌어요?”
“응. 괜찮아.”
“그런데 왜 아빠는 그렇게 얼굴이 슬퍼 보여요?”
(p.28)

- “어쩌다 생각이 나려고 하면 팽이를 깎았단다. 그러면 생각이 사라지고 눈물도 안 나고 잠도 잘 잘 수 있었거든.(...) 그래서 아빠는 팽이를 깎는 사람이 된 거야.”
(p.112)



3. 힘든 기억은 좋은 기억과 함께한다.

- 나쁜 기억을 갖고 있으면 힘들어요. 답답하고 가슴이 콕콕 아프고 눈물도 나고...... 그런데요. 그 기억은 좋은 기어고 함께 섞여 있어요. 그래서 힘들다가도 행복하고 눈물이 나다가도 웃음이 나와요. 난 정말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p.28)

- 행복하기도 하고 슬퍼 보이기도 했어요. 하지만 좋아 보였어요. (p.1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