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아무것도 하기 싫을 때 볼 책.
- 마오더슝


앞으로 잘 부탁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월에 구입한 책 5권을 간략하게 소개합니다.
최면심리수업, 밀턴 에릭슨에게 NLP를 묻다 (정귀수)
움직임의 힘 (캘린 맥고니걸)
너를 영어1등급으로 만들어주마, 1년만 더 해볼게요. (서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모욕쿠스 vs 호구의 역사
두 권 다 욕과 관련된 책이에요.
재밌게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달 전에 올렸던 영상을 삭제하고 수정해서 다시 올리게 됐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 연어안도현 지음문학동네 1996-03-01장바구니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복의 성자
아룬다티 로이 지음, 민승남 옮김 / 문학동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조금이라도 빨리 읽고 싶어서 전자책을 구입해서 읽었다.

인도의 역사에 무지해서 내용을 이해하는데 버거운 부분이 많았다.

 

저자의 문체가 참 재밌었다.

그녀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보다 머리 하나만큼은 더 커서 그녀를 따라가는 건 어렵지 않았다.’, ‘바르티야 박사는 너무 말라서 거의 이차원의 존재로 보였다.’

 

아프타브는 남자의 성기와 여자의 성기를 둘 다 가진 채 태어났다. 부모는 아프타브의 여자성기를 봉합했고 아들로 키웠다. 그러나 아프다브는 자신의 굵직하고 강한 남자 목소리가 혐오스러웠고, 자신의 성적 쾌감이 남자의 방식(몽정)으로 표현되는 것에 수치심을 느꼈다. 그래서 아프타브는 안줌이라는 이름을 얻어 여자의 삶을 새롭게 살게 된다. 그리고 자신처럼 사회에서 소외받은 사람들을 받아준다. 그곳에서 안줌은 자이나브라는 아기도 기르고 다양한 친구들을 사귄다. 책은 시점이 자주 바뀌었다. 중간에 비플랍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전개되는데, 틸로 이야기가 나온다. 틸로는 매력적인 여자로 비플랍, 무사, 나가가 좋아하는 사람이다. 틸로는 무사를 좋아했지만 나가와 결혼하고, 무사의 아이를 가지게 되었지만 임신중절수술을 하게 된다. 전쟁으로 인해 고문과 궁핍한 환경, 죽음에 대한 묘사가 많았다. 그리고 버려진 아기, 미스제빈2세를 안줌과 틸로, 여러 친구들이 기르게 된다.

책 제목의 지복처럼 행복한 나날만 계속되지 않았다. 오히려 불행과 불완전함을 견뎌내어 행복을 만들어가는 내용이었다.

나는 매트릭스의 빨간약처럼 날 충격 받게 하고 아픈 진실을 알려주는 책을 좋아한다. 그런데 이 책은 그 약을 넘어서 삼키지 못하고 목에 걸린 약 같았다. 읽을수록 마음이 아팠다. 트렌스젠더에 대해 이렇게까지 생각해본 적이 없다. 막연하게 사회적 성에 여자는 이러해야한다, 남자는 이러해야한다. 라는 편견이 없어진다면 트렌스젠더도 없어지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 보니 내 생각은 무지하고 얕은 생각이었다.

자신의 변성기가 지난 목소리가 혐오스럽고 자신의 성적쾌감이 자신이 원하지 않는 생물학적 성의 방식으로 표현되는데 그 고통을 겪는 사람에게 넌 생물학적 성에 맞게 살아야 한다고 누가 말할 수 있을까?

남자의 성기와 여자의 성기를 둘 다 가지고 태어난 안줌에게 넌 여자야. 넌 남자야. 라고 누가 말할 수 있을까. 자신에 대한 건 스스로만이 대답할 수 있는 것 같다.

그동안 트렌스젠더에 대해 많이 오해했던 것 같다. 책을 읽으면서 미안했다.

나랑 다르다는 이유로 감히 틀리다고 말하려고 했다.

그 마음에 앞으로도 닿기 힘들겠지만, 나의 부분적인경험과 간접적인 경험으로 그 다름을 공감 하고 싶어졌다. 이 책은 여자로 태어나 겪는 상처도 있었다. 아내가 말을 안 들으면 뺨을 몇 대 때리라는 표현, 흑인여자라는 이유로 창녀라는 말을 들어야 하고, 숱한 강간과 고문. 자신의 목숨을 위해 결혼을 해야 하는 상황 등 이 책은 차별에 관한 이야기로 가득했다.

책을 읽으면서, 유엔에서 선정한 최고의 시, 아프리카 소녀가 쓴 시가 떠올랐다.

태어날 때 내 피부는 검은색.

자라서도 검은색.

태양 아래 있어도 검은색.

그런데 백인들은 태어날 때는 분홍색.

자라서는 흰색.

태양 아래 있으면 빨간색.

추우면 파란색.

무서울 때는 노란색.

아플 때는 녹색으로 변했다가 죽을 때는 회색으로 변하잖아요.

그런데 백인들은 왜 나를 유색이라 하나요?

 

무엇이든 특이성에만 관심을 두면 이상한 특성만 강조되고 나머지는 이해하려고도 하지 않는 것 같다.

시스젠더는 완전한 존재이고, 트렌스 젠더는 불완전한 존재인가?

남자는 완전한 존재이고, 여자는 불완전한 존재인가?

백인은 완전한 존재이고, 흑인은 불완전한 존재인가?

부자는 완전한 존재이고, 가난한 사람은 불완전한 존재인가?

사실, 모든 사람은 불완전한 존재인데, 서로 나는 완전하고 너는 불완전하다고 싸운다.

그래서 모두 수치심에 휩싸여 솔직해지지 못한다.

 

읽으면서 안줌과 틸로의 불완전함 속에서 꿋꿋하게 행복을 향해 걸어가는 모습이 존경스러웠다.

 

나는 초등학교가 거의 끝나갈 무렵 타 지역으로 전학을 갔다.

내가 전에 살던 곳과 이사 온 곳은 같은 한국인데도 많이 달랐다.

내가 하는 모든 말과 행동에 친구들은 네가 살던 곳이 그 곳이어서 이렇게 말하고 행동하는 거라고 생각했다.

나도 친구들의 모든 말과 행동에 이 곳에서 살아서 이렇게 말하고 행동하는 거라고 생각했다.

처음에는 친구들이 불완전한 존재이고 나는 완전하다고 거만하게 굴었다.

그러다가 내가 여기서 불완전한 존재인 것 같았다. 나는 내 존재가 수치스러웠다.

 

나는 대학에 늦게 들어갔다.

20대 초반이 거의 끝나갈 때 대학에 갔다.

동기들과 나이가 달라서 그로 인해 무리 속에 소속되지 못 할까봐 두려웠다.

20살에 대학에 온 친구들은 완전한 존재이고,

그보다 늦게 대학에 온 나는 불완전한 존재인 것처럼 느껴졌다.

 

나는 2018년부터 자연식물식을 시작했다.

자연식물식은 모든 동물성식품을 먹지 않는 식습관을 말한다.

가족과 친구를 포함해 내가 함께하는 사람들과 다른 음식을 먹는 내게서 이질감이 느껴졌다.

어떻게 보면 겨우 식습관이 다른 것뿐인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할지 막막했다.

나는 왜 항상 소수가 되려고 할까. 다수와 있으면 좀 더 편할 텐데 라는 생각도 들었다.

 

그래도 이런 경험 덕분에 안줌이 사회적으로 소외받은 사람을 끌어안을 수 있었듯이,

나도 불완전한 사람과 소수의 사람들을 공감하는 법을 배웠다.

나만 불완전한 게 아니라 모두가 불완전하고, 나만 소수가 아니라 모두가 소수라는 것을 배웠다.

 

안줌처럼 나도 지복의 성자 같은 사람이 되고 싶다.

나의 불완전함을 받아들이고 다른 사람의 불완전함도 포용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

내가 알고 있는 것을 다 나누고,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더 많이 듣고 공감하고 싶다.

책을 읽을 땐 인도의 역사도 모르고 이름이 긴 인물도 많이 나와서 읽기 힘들었는데,

책을 통해 내가 공감할 수 있는 범위가 한 뼘 커진 것 같아 뿌듯하다.

그래서 사람들이 소설을 읽나보다.

앞으로는 편독하지 말고 소설도 많이 읽어야겠다.

 

지복의 성자,

참 좋은 제목이다.

 

안줌이 걸어 온 길을 나도 걸을 수 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