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의 창으로 본 과학 - 인문학자 10명이 푼 유쾌한 과학 이야기
김용석.공지영.이진경 외 지음 / 한겨레출판 / 200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이란 학문을 공부하면서 인문학은 결코 내가 범접할 수 없는 학문으로 여겨왔다. 사실 내가 지금까지 살면서 처음으로 심각하게 선택을 해야 했던 것이 고등학교 시절에 인문계, 자연계를 선택이었다. 그 정도로 이 두 학문은 나에게 물과 기름같이 결코 공존할 수 없는 학문으로만 여겨져 온 것이 사실이다.


이 책은 실로 엄청난 거리가 있을 줄 알았던 두 학문이 인문학자와 과학자가 한자리에 만나 서로의 견해를 조율해 가면서 섞여가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 시대에 이름난 인문학자 열명이 과학기술의 연구 현장을 직접 찾아가 과학자 열명을 만나 상대방의 학문에 대한 의견과 자기의 생각을 정리한 것이다.


과연 물과 기름이 섞일 수 있단 말인가?  이 두 학문이 서로 반목하고 언제나 상대 학문의 한계성을 지적해 가며 대립해온 것은 어제 오늘만의 일이 아니었다. 이런 상황에서 각각의 학문을 대표하는 두 학자들의 만남은 실로 파격적인 시도가 아닐 수 없었다. 이들이 서로의 학문을 이해하며 이야기 한다는 것이 불가능하고, 자칫 이야기가 겉돌며 어색해 질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지만 결과는 전혀 그렇지 않았다. 실로 물과 기름이 섞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게 된 것이다.


역사학자인 김기봉 선생님이 집필한 『작은 것으로부터 혁명-나노 과학과 미시역사』에서는 역사학의 문제점을 과학적 해석에서 풀어간다. 나노기술 중 bottom-up 이라는 기술은 매우 작은 입자를 마치 블록을 쌓아가면서 큰 형상을 만들어 가는 것으로 이와 같이 역사 해석 또한 작은 이야기들을 발굴하여 재구성함으로써 큰이야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해결책을 찾아간다.


인문학이나 과학의 참된 목적은 인류의 번영에서 기인한 것이다. 고대 과학자들은 거의 다 철학이나 사회학 등의 학문도 같이 해왔다. 이는 이들 학문의 목적이 결코 다르지 않았음을 의미 한다. 사실 인문학의 위기, 과학의 한계성은 종종 언급되어 왔던 내용들이다. 이는 결코 한가지의 학문만으로는 힘들다는 것을 의미 하진 않을까? 과학과 인문학이 완전히 평행가도를 달리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학문에 겹치는 부분이 많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서로의 학문을 보완해가며 그 문제점을 상대방의 학문에서 찾는다면 각자의 학문이 더 풍부하게 되며,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 갈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외국에서는 이런 점을 이미 알고 있었으며 이를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두 학문의 만남을 통해 학문의 본질을 알아가며 학문의 목적이  인류사회라고 하는 큰 틀의 성장과 발전이라는 것에 서로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잘 된 것은 따라 배우는 토대가 마련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라 하겠다.


재료공학이라는 학문을 공부하면서 이런 노력이 이제야 우리 사회에 시도 되었다는 것이 정말로 부끄러울 따름이다. 상호간의 학문을 이해하지 않고 단지 내가 공부하는 것만을 강요하는 우리교육의 실정이 안타깝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제는 단지 과학과 인문학이라는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인문학적 과학, 과학적 인문학이라는 보완된 마인드를 가져야 할 시기이다.


앞으로의 사회는 조화와 화합의 시대가 될 것이다. 이 책은 인문학과 과학을 공부하는 이들 또한 이들의 선택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지식인들 스스로 서로의 전공을 인정하고 학문의 본질을 기억하여 이 서로 다른 두 학문이 서로 겹치는 것이 많다는 것을 알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