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로즈 베이비
클레르 카스티용 지음, 김민정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 그랬다. 소설이란 사람들이 불편해하는 진실을 담는 그릇이라고, 

이 순간 우리가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을 때, 

가령 가족들과 함께 바닷가에가서 여름휴가를 즐기고 있는 순간에, 

여자친구와 단란하게 저녁 식사를 하고 있는 순간에, 

그 옆에 찾아와 지금 이 순간 몇 만명의 사람들이 기아에 시달리다 죽어가고 있다는 것을, 

일상성과 억압에 못이겨 스스로 목숨을 끊고 있다는 것을 상기 시켜 주는 사람이 있다. 

그게 바로 카스티용의 소설이다. 

때문에 우리는 그녀의 소설을 읽으면 불편할 수밖에 없다. 

행복하다고 생각했던 자신의 삶이 사실은 안정의 메카니즘에 빠진 것이며, 타성에 젖어 자신을 잊어 버린 것이라는 것을 일깨워 주기 때문이다. 

이 소설에서 카스티용은, 우리의 일반적인 착각들, 모성, 혹은 그 반대로 아이의 부모에 대한 사랑까지도 어떤 순간, 인간의 본질에 의해 부정당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고속도로에서 차 밖으로 아들을 던지는 엄마는 이렇게 말한다. 그러니까 내가 한 명 뿐이라고 했잖아요. 잔혹한 장면이지만, 어쩌면 사실아닌가? 아이는 부모에게 때로는 귀찮은 존재일 수고 있다. 그게 좋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런 극단적인 상황과 장면들을 통해 우리에게 파문을 던지는 것이다. 

나는 이 불편한 진실을 마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것과 마주할 용기를 가졌을 때, 우리는 더 나아갈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 어떻게 쓸 것인가 - 보통 사람을 위대한 작가로 만드는 소설 창작의 비밀
프랜신 프로즈 지음, 윤병우 옮김 / 민음사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너무도 당연한 것들을 이야기 하고 있다.   

소설을 쓰는 방법은, 많은 독서와, 많은 생각, 많은 습작 이 세가지 밖에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해 준다. 그러나, 이 너무도 당연하기만 한 이야기를 

결코 부정할 수 없게, 세목을 들어 말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마음에 든다.  

카버 소설의 한 문장, 맨스필드 소설의 한 순간, 

체호프 적인 인식, 카프카적인 세계, 존 치버의 일상을 표현하는 법,  

이런 식으로 작가는 개개의 작품과 작품의 부분들을 인용하면서 

이 부분이 소설 전체에서 어떤 작ㅇ을 하는지를 알려준다.  

물론 이책은 몇 가지 단점이 있긴 하다.  

그것은 저자가 미국인이다 보니, 미국의 소설들을 많이 예로 들었다는 점,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국내에는 번역조차 되지 않은 작품들도 예로 많이 언급된다. 그러나 그런 공간적 언어적 차이를 고려해도 충분히 얻을 것이 많다.  

작가는 체호프를 최고의 작가로 뽑았다. 나는 그 점에 동의 한다. 그러나 문학에 있어 최고는 한 사람만 있는 것은 아니다. 1등만 기억되는 세상이라고 하지만, 문학, 적어도 소설에는 1등이 없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작가가 모두 자기 세계를 구축하고 있고, 그 세계에서 1등이다.  

소설을 과연 배우거나 가르칠 수 있는지에 대한 고찰로 시작해서, 인물과, 묘사, 구성, 다양한 작법과 기법들의 세부 항목을 소개해 나가고, 결국 마지막엔 가장 훌륭한 스승은 위대한 선배들의 작품임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켜주는 방식, 어쩌면 너무도 당연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욱 부정할 수 없다.  

잘 읽는 사람이 잘 쓴다. 이 책은 소설을 잘 읽기 위한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소설을 어떻게 쓸 것인가를 잘 말해준다. 이 책을 읽기 위해선, 몇 가지 고전들-가령 레이몬드 카버나, 안톤 체홉, 캐서린 맨스필드, 존 치버, 카프카, 까뮈등-을 읽어야 한다. 그러나 읽지 않았다해도 좋다. 우리는 소설을 읽는, 그리고 쓰는 자세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다.  

친구와 후배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