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 줄 생각은 없었어 - 우리가 지나쳐 온 무의식적 편견들
돌리 추그 지음, 홍선영 옮김 / 든 / 2020년 7월
평점 :
절판


 

이책을 읽고 나서 느낀점

이책의 이야기는 미국의 상황이다. 그러나 미국의 상황이 한국의 상황이 아니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을 우리는 알것이다. 더 많이 드러났느냐 적게 드러났느냐의 차이일 뿐이라는 것을 안다. 나는 이책의 저자가 말하고 싶은 이야기에 동의한다. 그러나 젠더의 평등에 대해서는 할말이 머리 속에 많다. 성소수자라고 자신을 커밍아웃 하며 소수자인 그들을 편견의 눈을 바라 보았다. 그런 편견속에서도 자리를 잡고 살아가며 자신들의 정체성을 펼쳐내고 있고. 나는 그들을 향해 여전히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사람인것처럼 생각하고 있다.

지금 우리나라에 다문화라는 말이 자리잡아 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편견을 가진 눈으로 그들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다문화자녀 그들은 소수이고 우리나라의 문화적 시스템안 에서 알게 모르게 편견을 보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나는 고정형 사고방식을 가진 이들을 많이 본다. 절대 흔들리지 않으며 상대방의 상처에는 관심이 없다. 나는이 책에서 이야기한 성장형 사고방식을 배우며 " 자신의 말이나 행동을 기분 나쁘게 받아들인 상대를 비난하려는 것이 아니라 상대를 기분 나쁘게 한 자신을 먼저 탓하는 것이다. "라는 말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았다.

그러나 많은 사회적인 이슈 속에서

내가 만약 그것이 잘못된것이라고 믿는 사람이라면 믿는 사람에 머물러 있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나는 그 믿는 것을 구축하는 사람으로 거듭나는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해야만 한다는 것이 분명하다. 그저 선한 사람이 아니라 더 나은 사람이 되는것이다.

내가 되고자 하는 누구인가?

내가 믿는 나는 공평, 평등. 다양성. 포용을 지지한다. 그러나 그것도 여전히 나의 믿음안에서 라는 것을 말하고 싶다. 어쩌면 아직 고정형사고방식을 고수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것 또한 나의 앞으로 구축하는 사람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일 수도 있겠다.

만약 당신이 이땅의 다양한 소수자들을 위해 선한 사람이 되고 싶다고 한다면 선한 사람으로 멈추지 말고 구축하는 사람으로 성장형 사고방식을 가지고 좀 더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사람이 되려 한다면 상처 줄 생각은 없었어 이책을 읽어보기를 권하고 싶다.권력과 특권을 누리지 못하는 사람들을 지지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