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춘정 문어발 작가정신 일본소설 시리즈 33
다나베 세이코 지음, 서혜영 옮김 / 작가정신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에서는 영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의 원작자로 잘 알려진 다나베 세이코. 대표작 조제와 호랑이와 물고기들을 비롯해 아주 사적인 시간』 『서른 너머 함박눈』 『고독한 밤의 코코아등을 펴냈다. 1928년에 태어나 아쿠타가와상, 여류문학상, 일본문예대상, 요시카와에이지문학상, 기쿠치칸상, 요미우리문학상, 이즈미교카문학상, 이하라사이카쿠상 등을 수상하면서, 대중적인 작가로 자리 매김했다. 특히 인간과 사랑에 대한 특유의 날카로운 통찰과 예리한 유머 감각, 명징하고 담백한 서사로 오랫동안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다나베 세이코의 이번 단편집춘정 문어발역시 작가 특유의 색깔이 진하게 묻어나는 여덟 편의 작품으로 채워져 있다. 오사카와 간사이 지방을 중심으로, 일본의 대표적인 서민 음식에서 느낄 수 있는 인간미와 삶의 의미를 읽어 내는 진지함과 함께, 음식을 통해 여자를 바라보는 남자의 시선을 그리면서도, 그 시선을 블랙코미디로 포착하여 남녀 주인공들을 희화화하는 위트 있는 작품들이다.

 

 

달달한 연애, 달콤한 잠, 따뜻한 음식, 그 중에 제일은 음식이더라

인간의 대표적인 세 가지 욕구인 성욕, 수면욕, 식욕. 인간은 이 세 가지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력을 다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 세 가지 가운데 최근 부각되고 있는 것이 바로 식욕의 충족으로, 음식을 소재로 한 영화, 드라마, 만화 등 다양한 콘텐츠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인간에게 가장 큰 쾌락을 주는 것 가운데 하나가 미각(味覺)을 만족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음식은 식욕을 채워 주면서, 동시에 먹는 행위라는 유희를 제공한다. 맛집 순례는 하나의 문화가 되었고, 식도락은 신선놀음에 가깝다. 음식은 그 지방의 지역색을 드러내 주는 문화의 지표가 되어 인류학적인 가치를 지니게 된다.

음식이 인간의 정서와 긴밀하게 연결되었다는 점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김치 한 조각과 고추장 한 숟갈에 이국에서 느끼는 낯설음이 달래지듯이, 모국과 고향에 대한 향수를 어루만지는 데는 모국어나 사투리 이상으로 음식이 필수다. 따뜻한 요리 하나로 사랑에 빠지기도 하고, 성의 없는 식사 대접에 마음을 잃기도 하는 것이 사람이다.

다나베 세이코는 여덟 편의 작품을 통해 인간의 마음과 음식 사이의 긴밀한 연대를 세밀한 관찰과 감수성으로 탁월하게 풀어낸다. 특히 오사카를 중심으로 한 일본 간사이 지방색이 물씬 느껴지는 음식에 대한 묘사와 그에 얽힌 이야기들이 어우러져, 푹 우려낸 곰탕 한 그릇 같은 진한 물기를 느낄 수 있다. 일본의 대표적인 음식인 오뎅과 우동뿐 아니라, 일식 전문점에서 종종 맛볼 수 있는 오코노미야키와 타코야키에 조금은 생소한 스키야키, 고로 등 먹거리에 대한 흥미로운 통찰이 읽는 재미를 배가시킨다.

 

 

남자, 여자, 그리고 음식의 삼각관계

음식 안에 만드는 사람의 영혼이 배어 있듯이, 사람은 음식을 함께 먹고 즐길 소울메이트를 찾고 싶어 하는 게 당연한 심사일지도 모르겠다. 그래서인지춘정 문어발에 수록된 여덟 편의 소설 속에 다나베 세이코는 공통적으로 맛있는 음식을 찾아다니는 남자 주인공을 등장시킨다. 그들은 아내에게서 그 음식을 얻어먹는 데에 실패했거나, 자신이 좋아하는 특정 음식의 맛을 공감할 여자를 갈망한다. 그러면서 이상적인 그 을 찾아 헤매다, 자신의 입맛에 딱 맞는 식당을 발견하고 그곳에서 안식을 얻는다.

그곳에서의 안식은 일종의 구원이다. 결핍 혹은 욕구불만으로 살아갈 맛을 잃은 남자들에게 모성과 같은 그 음식 맛이 혀를 덮을 때, 그들에게 찾아온 찰나의 순간은 잠시나마 지상의 굴레에서 해방되어 천상의 기쁨을 누리게 한다. 그러한 순간을 주지 못하는 쿨한아내들과의 갈등, 황홀한 음식 맛을 함께 느낄 수 있는 여자들의 또 다른 부덕함, 중년이 되어서도 잊히지 않는 어머니의 손맛 등 여자와 음식은 주인공과 묘한 삼각관계를 형성하고, 음식과 관련하여 여자를 바라보는 주인공들의 시선은 자못 불편하기까지 하다.

바로 이 지점에서 다나베 세이코의 노련한 필치가 드러난다. 음식뿐 아니라 인간의 심리에 있어서도 예리하고 섬세한 시선을 거두지 않는 작가는, 말하기 어려운 혹은 말로 번역되지 않은 미묘한 심리를 포착하여 폭로함으로써, 특유의 사르카즘(비꼼, 풍자)을 절묘하게 발휘해 이중의 희화화에 성공한다. 그 블랙유머를 웃으며 따라가다 보면, 어느 샌가 사람과 삶을 깊숙이 들여다보는 작가의 통찰에 가닿게 되고, 결국은 주인공을 포함한 인간을 끌어안고 토닥이는 작가의 따스한 이해와 포용을 맞닥뜨리게 된다. 그것은 주인공들이 찾아 헤매던 음식에서만이 느낄 수 있는 하나의 인간애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박
이은조 지음 / 작가정신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범한 삶 속에 내재되어 있는 불행의 씨앗,

평범비극으로 바꾸어버리는 냉정하고 정교한 세계

 

이은조 작가에게 불행이란 지극히 현실적인 것처럼 보인다. ‘불행이라는 단어는 사실 여러 단어들과 마찬가지로 서로 관계를 맺으면서도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어떤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별히 작가가 불행이란 단어를 돋보기처럼 크게 확대해놓은 이유는 불행 또한 일상적이라는 것과 불행평범이라는 단어가 같은 선상에 위치하면서도 조화롭고 개별적인 존재라는 것을 말하기 위해서가 아닐까. 그러니까 이 소설은 언어는 존재의 집이라고 했던 하이데거의 말처럼 세상을 언어로 인식하고 감각하는 예민한 촉수의 작가가 불행’, 혹은 비극이라는 단어를 핀셋으로 집어 올려 일상이라는 삶 속에 던져놓고 이것을 확대하고 상상하고 실험하는 하나의 장인 셈이다. 그리고 그 공간은 현실과 아주 맞닿아 있는 익숙하고 평범한 곳이어서 우리가 이 공간을 가상으로 느끼지 못하게 만든다. 불행을 목도하고, 불행을 느끼는 우리의 존재만 있는, 이상하게 친숙하고 이상하게 익숙한 낯선 현실인 것이다. 이는 작가의 뛰어난 서사적 조탁 솜씨와 균형 감각에 있다. 작가가 부려놓은 디테일한 설정과 장치는 소설의 상황을 현실의 축소판처럼 느끼게 만든다. 삶과 소설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작중인물들과 우리들의 삶이 겹쳐지는 것이다.

 

결핍의 또 다른 이름, 불행

작가가 부려놓은 엄정한 방식, 죽음

 

이은조 작가는 단절된 상태에서 파생되는 결핍과 상실로 비극의 공간을 가득 채운다. 등장인물들은 죽음이라는 극단적인 상황으로 내몰리게 되는데 이것은 작가가 부려놓은 엄정하면서도 냉정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무언가를 상실했을 때 비극은 시작된다. 결핍은 불행을 느끼게 만드는 원인이다. 허기진 욕구를 채우려고 할 때 비로소 (전원주택,바람은 알고 있지. 우리나라 한글 나라)’이라는 기계는 작동된다. 그러나 꿈을 이루는 순간에도 불행은 상쇄되지 않고 자꾸만 결핍이라는 구멍이 생겨난다. 또 다른 결핍으로 인해 악순환의 굴레에 빠져들게 되는 것이다. 이 욕망의 순환체계는 절대 메워지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희망을 곧잘 불행과 착각하게 되는 함정에 빠지고 만다. 작가는 극중 인물들을 비극적인 일상에서 더욱 극단적인 상황으로까지 몰고 가는데 소설 속에서 자주 나타나는 죽음은 결핍-불행-욕구-행복으로 이어지는 고리를 끊기 위한 의도적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소설 속에서 죽음 이후와 이전의 삶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불행에 불행이 더해진 것이 죽음이라는 듯 작가는 냉담하고 간결하게 표현할 뿐이다. 그 상황이 너무나 현실적이어서 우리는 다만 이 이상하고 낯선 세계가 놀랍도록 친숙할 따름인 것이다. , 일상, 그리고 현실에서 불행은 그저 같이 존재한다. 작가가 주목하는 것은 삶과 불행의 조화이다. 삶과 희망이 동의어가 아니듯 삶과 불행은 개별적으로, 그러나 동시에 존재한다.

 

각자의 색을 묻어두고 겹치는 색깔로 살아가야 하는 것,

때로는 불쑥 생의 비법을 터득한다.

 

이은조 작가는 불행한 세계를 그릴 때 항상 가족이라는 울타리를 소재로 사용한다. 등장인물들은 하나같이 소통의 부재와 단절로 인해 갈등을 겪고 있고 가족은 해체되어 있다. 특히 여성(수박)은 불임의 몸으로 등장한다. 앞서 가족은 곧 불행의 이유가 된다고 했지만 사실 작가가 펼쳐놓은 언어의 지도를 따라가다 보면 비극적이고 냉정한 세계가 그다지 불행하지만은 않다는 느낌이 든다. 바로 작가의 차가운 비판과 통찰력 뒤에 숨겨진 따뜻한 시선 때문이다. 이것은 존재를 인정하는 가능성의 시선이다. 이런 시선으로 볼 때 여성의 몸은 수박처럼 불모지에서 새로운 생명을 잉태할 수 있는 가능성의 땅으로 공존하게 된다.

독자적으로 존재하면서도 조화를 이루는 세상은 마치 언어와도 같은 세계이다. 불행이 희망이 되는 것이 아니라 그저 나란히 같이 공존하는 삶, 서로의 자리를 지키며 조화롭게 어울려 사는 삶에 대해 작가는 따스한 시선으로 그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