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죽음 없는 육식의 탄생
체이스 퍼디 지음, 윤동준 옮김 / 김영사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기, 즉 육식을 한다는 건 동물의 죽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그 어떤 동물의 죽음 없이도 육식을 먹을 수 있다면?

이 책은 동물에서 소량 세포를 채취 후 인공적인 환경에서 배양 시켜 고기를 만드는 '세포배양육' 또는 '배양육'이라 불리는 식품과 그 산업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한번은 들어봤을 법한 '콩고기'가 대체육으로 알려져 있지만, '세포배양육'은 이것과는 다른 종류다.

또한 '세포배양육'을 개발하는 전세계 스타트업, 과학자, 목축업자, 식품업계 기업가, 투자자 들의 이야기를 담았고, 특히 실리콘밸리의 '저스트'라는 스타트업 기업 중심의
이야기가 전개된다.

'저스트' 창립자이자 CEO인 '조시 테트릭'은 비거니즘을 자본주의에 어떻게 결합할지, 다른 생명체를 죽이지 않고 살아가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지 고민하던 끝에
'저스트'를 설립했다.

식물성 액상 달걀 '저스트 에그'를 비롯해 비건 마요네즈를 성공적으로 개발 및 시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세포 배양육'에 뛰어들었고,

2020년 12월 싱가포르 식품청이 '저스트'의 세포 배양 닭고기 제품을 식품으로 허가하는 결실로 이어졌다.

✶―――――――――――――――――――――――――――✶

그렇다면 '세포 배양육'이 왜 필요할까?
여러가지 이유가 있으나 심각한 기후변화와 인구 증가에 따른 식량 부족이 대표적이다.

산업화 된 기업형 동물농장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14%를 차지하는 엄청난 양이다.

또한 기업형 동물농장에는 동물을 키울 땅과 물이 필요하다. 이뿐만일까? 동물을 먹일 비료 재배를 위한 땅과 물 역시 엄청난 비중을 차지한다.

'동물에게 9칼로리의 사료를 먹여야 사람에게 1칼로리가 돌아온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 우리가 일정 양의 고기를 먹으려면 그 양의 9배를 동물에게 먹여야 한다는 뜻이다.
이 얼마나 비효율적인가?

전 세계 인구는 약 78억 명이나, 약 40년 후에는 약 100억 명 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산한다.
이에 비례해 더욱 많은 식량이 필요한데 현재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어려움이 따른다.

나아가 '세포배양육'은 엄격하게 통제 된 '멸균바이오액'터 안에서 배양되기 때문에 고기가 박테리아에 오염 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한다.

즉, 살모넬라균, 대장균, 노로바이러스 등의 위협이 줄어든다는 뜻이다.

✶―――――――――――――――――――――――――――✶

그렇다면 '세포배양육' 고기 생김새와 맛은 어떨까?
실제로 시식한 사람들의 말에 따르면 기존 재래식 고기 맛과 차이가 없었고 식감, 생김새 역시 마찬가지라고한다.

그럼 '세포배양육'의 가장 큰 걸림돌은 무엇일까?
기술 개발? 식품의 안전성? 이런것들은 후 순위 문제다.

현재 가장 근접하게 접해있는 문제는 기득권 세력의 반대와 제도적인 문제이다. 물론 이러한 상황들은 과거 버터와 마가린처럼 새로운 식품이 도입될 때 매번 나타난다.

그러나 재래식 육류 업계가 원하는 모든 것, 즉 '세포배양육'에 대한 규제 법률과 규정이 실제로 미래 식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까?

아마도 그렇게 되지 않다는 점은 역사가 잘 보여준다. 그리고 소비자는 새로운 기술에 원하고 관심 보이기 때문에 이를 막지 못할 것이다.

✶―――――――――――――――――――――――――――✶

동물을 고통스럽게 만드는 잔혹한 근본 원인을 없앨 식품 시스템이 생긴다고 생각하면 기대가 커진다.
매년 동물 700억 마리 이상이 잡식성인 인간의 식욕을 채우기 위해 고통 속에 죽어가기 때문이다.

만년설이 녹고 해수면이 상승하는 가운데, 지구와 그 위에 사는 인간에게 훨씬 더 이로운 식품 시스템으로 이동할 기회를 이성적으로 외면할 수 있을까?

시간이 갈수록 지구는 다음 세대에게 더 위험한 곳으로 변하고 있다. 토양의 질은 저하되고 농경지는 가뭄과 화재로 황무지가 되고 있다.

'세포배양육' 스타트업 들은 동물 복지부터 기후변화, 식량 문제까지 인류가 해결해야 할 도전에 승부를 걸고 있다.

그들은 어쩌면 멀지 않은 미래에 모든 것을 바꿔 놓을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