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를 다시 읽는다 1 - 한국 근대인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하여
윤해동, 천정환, 허수, 황병주, 이용기, 윤대석 엮음 / 역사비평사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친일이라는 이야기는 아직도 우리사회 내부에서 뜨거운 감자와 같은 존재이다. 그 논란이 끊임없이 되고 있지만 명확한 정의와 인식이 존재하지 않다. 또한 친일을 비롯한 해방 전후의 근대사는 정확한 분석과 이해 없이 막연한 이미지로 인식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 책의 2부에서 다룬 친일에 대한 논의는 한국 근대사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친일의 개념을 새로 인식하여 협력 담론으로 인식할 것을 제기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친일을 식민지 권력에 대한 협력만이 아닌 근대 권력에 대한 협력을 파악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식민지를 우리나라 고유의 경험이 아닌 세계사의 일환으로 판단하고, 친일을 민족이 아닌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해서 이해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이를 통해 친일이라는 협력에 대한 다채로운 연구가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2부에서는 이와 같은 전제를 바탕으로 친일이라는 협력 행위를 다양한 측면을 통해 파악하려 한다.

 

  첫 번째 논문은 윤대석의 「식민지 국민문학론」이다. 이 논문은 ‘내선일체’라는 일본의 논리와 조선인 문학인 사이에 발생하는 차이와 뒤틀림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친일문학자는 일본의 주장을 수용하여 반복되게 말하지만 결론적으로는 일본에 흡수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식민지 시기의 문학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 가능성을 찾고 있다.

 

  두 번째 논문은 권명아의 「여자 스파이단의 신화와 ‘좋은 일본인’되기」이다. 이 논문은 스파이 담론을 통해 ‘좋은 일본인’이라는 정체성을 구축하려 했던 식민지 말기의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스파이 담론을 통해 볼 때 이 당시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가 민족 단위만을 통해 전개 된 것이 아닌 성, 계급, 인종, 세대 등의 경계를 나누는 것을 통해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째로는 이승엽의 「조선인 내선일체론자의 전향과 동화의 논리」라는 논문이다. 이 논문은 조금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첫 번째 논문에서도 볼 수 있는 협력 담론의 균열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 중에서도 「조선인 내선일체론자의 전향과 동화의 논리」는 협력 담론 사이의 균열을 이야기한다. 특히 급진적인 내선일체론을 주장한 녹기연맹의 활동을 통해 이야기한다.

 

  마지막 논문은 홍종욱의 「해방을 전후한 주체 형성의 기도」이다. 여기서는 좌파 지식인의 전향을 주제로 논문을 전개해 나간다. 좌파 지식인의 전향을 일탈 혹은 변절로 파악하던 전통적인 관점이 아닌 이해와 분석을 통해 새롭게 인식하려 하였다.

 

  2부에서는 친일을 개인의 윤리적 차원의 문제로 판단한 것이 아닌 한국의 근현대사를 읽을 수 있는 하나의 측면으로 파악하였다. 친일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식민지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고 넓게 이해하려 한 것이다. 또한 친일이라는 단어가 갖는 부정적 속성에 사로잡히는 것이 아닌 협력 담론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통해 그 시대의 사람들이 갖고 있었던 다양한 사고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식민지와 한국 근대사에 대한 확장된 인식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