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나의 장자 홍사중의 고전 다시 읽기
홍사중 지음 / 이다미디어 / 2013년 12월
평점 :
절판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 라는 말이 있다. 많은 의미를 가지겠지만, 이 말의 뜻은, 결국 우리가 지금 생각하고 있는 것, 만들어 내고 있는 것, 겪고 있는 문제들은 대부분 예전에도 존재했다는 것이다. 아마 그런 까닭에, 2000년이 훌쩍 넘은 책들이, 우리에게 공감이 되고, 가슴에 와닿는 이유가 아닐까 싶다. 한편으로는, 그러기에, 우리는 열심히 고전을 읽고, 그 속에 숨겨진 의미를 찾아내며, 좀 더 날카롭게 분석을 해야 한다. 한 권의 책이 2000년이 넘도록 전해졌다면, 그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라는 뜻 이다. 2000년 동안 그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 책을 검증하기 위해 자신의 한 평생 노력하였는가. 그런 의미에서 고전은, 결코 한 명이 쓴 책이 아니다. 2000년이 넘는 시간동안, 이 책을 읽은 수 많은 사람들 역시, 함께 쓴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사실 장자는 우리에게 익숙하기도 하고, 낯설기도 하다. 익숙한 이유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조삼모사'나, '나비의 꿈'과 같은 유명한 일화가 우리의 삶 여기 저기서 친숙하게 들려오기 때문이다. 그 내용이 재미있기도 하고, 짧은 일화로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준다. 반면 낯선 이유는, 이런 부분적인 이야기만 잘 알라져 있을 뿐, 정작 장자의 사상을 담은 깊은 이야기나 교훈은 우리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장자를 그저 '허무주의' '무위자연' 정도로만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 이다. 많은 사람들이, 장자를 아주 부분적으로는 알고 있지만, 그 전체를 접하며, 장자의 그 깊은 뜻과 교훈들을 접하지 못한게, 우리들의 현실이다. 나 역시, e-book으로 아무런 해설 없이 간단하게 된 '장자'를 읽어봤고, 최근에는 장자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를 받으신 강신주 박사님의 장자 해석 글을 읽어보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장자가 이토록 깊고 심오한 내용을 담은 책인지는 처음 알게 되었다. 읽어보았다고 자부하던 책이, 무척이나 낯설게 느껴진 것 이다.

 

장자의 대부분의 내용은,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 이야기는 대부분 장자(이 책에서는 장주라고 나오지만, 장자라고 말하겠다)가 지어낸 이야기 이지만, 그 이야기는 하나 하나 마다 깊은 뜻과 심오한 교훈이 숨겨져 있다. 이러한 이야기들 중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것은, 장자의 친구였던 '혜자'와의 얘기이고, 또 하나라면 바로 공자에 대한 강한 비판이다. 옛날 조선시대를 사로잡았던 사상이 '유교' 이고, 그 유교의 뿌리에 바로 공자가 있기에, 이런 공자를 향한 강한 비판은, 아직도 유교 사상의 그 가지가 희미하게 남아 있는 나에게도, 조금 낯설면서도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아마 이런 까닭에, 우리들에게 '논어'는 익숙할 지 몰라도, '장자'는 비교적 낯설게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이야기들이 주는 교훈들은, 대부분 비슷하다. 무위자연을 노래하라. 인위적인 '도덕'이나 '인'을 강조하면서 자신의 본성을 잃지 마라. 곧은 나무가 먼저 잘리기 마련이다. 빈 방일 수록 햇빛이 잘 든다 등. 이런 내용을 가지고 장자는 수십가지의 이야기를 통해 전달하고, 또 전달하고 있다. 이 전체를 아우르는 '도'에 관해서, 내가 과연 얼마나 깨닫고, 해석할 수 있겠냐 만은, 전체적으로 장자가 강조하는 것을 단 한 마디로 요약하자면, '자연에 몸을 맡겨라' 라는 것 이다. 이런 자연과의 조화, 일치를 통해, 세속적인 욕심을 버리고, 인위적인 것을 배척하며 자신의 본성에 충실하라 라는 것 이다. 여기서 좀 더 나아가면, '바람 이야기'를 통해 '나'와 '타자'와의 관계에 대해 그 본질을 강조하기도 했고, '대붕 이야기'를 통해 성인의 삶을 비유적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열심히 일을 하지도 않고, 학업에도 소홀히 하며, 참된 삶을 추구하지도 않는 단계에서, 한 단계 나아간 것은, 바로 학업을 열심히 하고, 현실을 바꾸기 위해 노력하며, 인생의 참된 진리를 추구하고자 현실에 맞서 열심히 노력하는 삶이다. 이것이 바로 공자가 살아간 삶이었고, 추구하고 했던 것이다. 그런데, 장자는 여기서 한단계 더 나아갔다. 자연의 섭리에 몸을 맡기도, '예'나 '인' 따위로 자신의 본성을 구속하지도 않고, 그저 현재를 즐기면서 자연과의 조화, 일치를 추구하는 것. 물론, 과연 이것이 공자의 단계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갔는지, 아니면 그저 첫번째 단계에서, 공자와는 그저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는지에 대해서는, 개인적인 판단일 것 이다. 그럼에도, 나는 이러한 것이 공자 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 삶이라고 보고 싶다. 완벽이라는 것은 얼마나 더 더하느냐가 아니라, 더 이상 뺄 것이 없는 것이란 말이 있는 만큼, 공자는 뭔가를 더하는데에 급했고, 장자는 필요없는 것을 빼는 걸 추구했기에.

 

그냥 하루하루 먹고 사는데 급급한 대부분의 사람들과, 그런 사람들을 바꾸고자 열심히 공부하며 진리를 추구했던 소수의 사람들.이것은 2천년 전이나 지금이나 별로 바뀌지 않은 듯 하다. 그러한 점에서, 그 소수의 사람들 속에서, 참된 진리를 터득하고, 한 단계 더 나아간 장자의 삶은, 우리에게도 많은 의미를 시사해주지 않을까 싶다.

 

이 책은 장자의 모든 내용을 담지 않았다고 한다. 즉, 이 책을 읽었다고 해서 장자를 제대로 읽었다고 할 수 없다는 것 이다. 무엇보다, 고전은 한 두번 읽어서는 그 의미를 결코 완벽히 이해할 수 없다는 점에서, 단 일회성으로 그치면 안될 것 이다. 이 책에서 아쉬운 점이 있다면, 해설의 양을 조금 늘렸으면 하는 것 이었다. 한정된 페이지 내에서, 장자의 많은 내용을 담으려다 보니 해설의 양을 많이 늘릴 수는 없었겠지만, 고전에서 중요한 건 그 내용보다는,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고, 우리의 현실에 투영할 수 있느냐 인 만큼, 고전에 있어서 해설이 차지하는 비중이 무척이나 높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자의 많은 내용 중, 핵심적이고 현대의 우리에게도 적용이 될 수 있는 내용을 고르고 간추려서 정리를 했다는 것은, 우리에겐 아직 낯설게만 느껴지는 '장자'를 좀 더 많은 사람들이, 보다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만들어주었다는 점에서, 이 책은 충분히 가치가 있는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