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 개정판
김훈 지음, 문봉선 그림 / 학고재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한산성당시의 상황은 우리 민족에게 아픈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왜 책으로 쓰고, 영화로 만들고, 또 사람들은 그 작품들을 좋아하는 것일까? 흔히 역사는 우리가 지나온 길이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알려준다고 한다. 우리는 역사를 통해 얻은 깨달음으로 현재를 살아가고 미래를 계획한다. 역사소설, 역사를 다룬 영화 등 개인의 각색이 들어간 작품이라 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이 겪지 못한 경험과 그에 대한 교훈을 얻게 된다면 역사적 의미가 있는 작품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책 남한산성을 읽으며 그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길 수 있었다.

 

  ‘남한산성은 청이 조선에 쳐들어오면서 남한산성 안으로 피신한 인조와 그의 신하들, 백성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치열하고 큰 전투가 일어나지는 않지만 조용하게 흘러가는 시간조차도 숨 막히는 대치상황을 그려낸다. 최명길은 화친으로 청에 답하고자 하고 김상헌은 조선과 왕조의 신념을 지키자고 한다. 최명길은 청에게 보내는 국서를 임금이 밟고 나아가야 할 길이라 하고 김상헌은 국서를 보내지 아니하고 근본에 기대어 길을 찾자고 한다. 청이 남한산성을 옥죄고 있는 와중에 둘 사이의 논쟁 외에도 남한산성 안의 이들은 왕에게 모든 것을 아뢰며 예법, 품계, 질서 등만을 따지고 있는 다. 그러다 결국 그들이 버티고 견뎌내며 고심한 날들이 무색하게 칸의 홍이포에 무너진 외벽과 군인들의 어긋난 민심으로 무너진 내벽에 임금은 출성을 하게 된다. 임금이 칸에 치욕스런 절을 하고 세자와 포로를 청으로 보냈지만 남한산성의 노인들은 봄나물을 캐고 사람들은 봄 농사를 시작했으며 남한산성 안에는 봄이 오고 있었다.


  최명길과 김상헌의 논쟁 사이 누가 옳았다고 단정 지을 순 없다. 화친으로 일이 잘 풀렸으면 최명길의 주장이 옳았을 것이고 청을 습격해 승리했다면 김상헌의 주장이 옳았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미래가 어떻게 흘러갈지 모르기 때문에 누군가의 주장이 옳다고 쉽게 말할 수가 없다. 더군다나 나라의 패망이 걸려있는 문제이기에 누구하나 쉽게 결정할 수가 없는 문제였다. 그러나 그 당시 임금과 사대부들의 사사로운 논쟁들은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이었을까? 임금의 백성을 위한 마음은 그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 묻어난다. 하지만 그 무엇 하나 백성을 결정적으로 구한 결정이나 나라를 살린 결정이 없었다. 문신들은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고 오랜 세월 동안 정치를 해왔다고 하나 조선의 병사들이 청병의 총알에 쓰러져 나갈 때 그저 말로만 훈수를 뒀다. 이 모든 장면들을 현재에 비추어 보자면 그다지 보기 힘든 장면들은 아닐 거란 생각이 든다. 역사는 과거에 일어났던 일에서 깨달음을 얻고 나아가야 할 길을 알려준다. 하지만 우리는 역사에서 얻은 깨달음으로 현재를 살아가고 있을까? 많은 의문이 들었다. ‘남한산성을 읽으며 다시 한 번 느끼게 된 이 감정을 되새기며 나부터 내 말에 책임을 가지고 어제를 반성하며 살아가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책을 읽기 전 먼저 봤던 영화 남한산성은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역사를 기반으로 한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오랜 여운이 남아 몇 번이고 반복해서 봤던 영화이다. 그래서 책 남한산성을 읽을 때 많은 기대를 가지고 첫 장을 넘겼다. 김훈 작가의 표현은 생생하고 다채로웠다. 간혹 어려운 단어가 있을지언정 어렵지 않게 그 뜻을 유추해 낼 수 있었다. 바쁜 학기 와중에 간간히 시간을 내서 읽었던 남한산성은 의무감에 읽었음에도 지루하지 않게 읽었다, 또한 김훈 작가는 교훈과 가르침을 대놓고 드러내지 않는다. 다만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나도 모르게 얻게 되는 무언가와 고심하게 하는 문제가 생긴다. 책을 읽으며 얻게 된 경험을 값진 순간이라 생각하며 글을 마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