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스의 탄생 - 전 세계 관리자들의 고민을 해결한 하버드 경영대 리더십 전략
린다 A. 힐 & 켄트 라인백 지음, 방영호 옮김 / 시드페이퍼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하버드 경영대 교수이자 하버드 리더십 이니셔티브Leadership Initiative의 의장으로 활동 중인 린다 힐이 지난 30년간, 전 세계 관리자들을 컨설팅한 후 완성한 리더십 전략서로, 매우 현실적인 부하관리법을 담고 있다. 피터 드러커와 마이클 포터 등 세계 경영 구루들과 함께 싱커스 리더십 부분 50인에 이름을 올리며 이미 리더십 분야의 대표 연구가로 손꼽히는 린다 힐은 스털링 연구소를 비롯, 여러 조직에서 역시 오랜 기간 리더십 전략을 연구해온 켄트 라인백과 함께 조직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해법을 제시했다.
이 책에서 지칭하는 보스는 CEO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부하직원이 한 명이든 백 명이든 한 조직을 이끄는 관리자라면 그는 곧 조직의 생존을 책임져야 할 '보스'인 것이다. 그렇다면 보스는 어떻게 '탄생'될까? 저자들은 먼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한 가지 예를 통해 관리자가 된다는 것이 단순한 포지션 의 변화가 아니라 끊임없는 학습과 훈련을 통해 찾아가야 하는 긴 여정의 시작이라는 점을 인식시킨다.
이 책은 중대한 일을 맡기 시작한 한 관리자의 사례를 따라가며 그 관리자가 부딪치게 되는 고민들을 함께 들여다보고 다양한 방면으로 해결책을 제시해준다. 만약 당신이 관리자라면 이 책 곳곳에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적절한 조언을 얻게 될 것이다. 또한 곳곳의 다양한 체크리스트를 통해 자신의 관리 스타일을 파악하게 될 것이고 자신의 성향에 적합한 조언을 따르게 될 것이다
<전 세계 관리자들의 고민을 해결한 하버드 경영대 리더십 전략>
왜 많은 관리자들이 자신의 능력을 펼치기도 전에 포기하는 것일까??
이책은 우선 일반 사원이 보기보단 중간관리자급에서 보면 적합한 내용일듯 하다
특히 우리나라 같은경우에선 남성의 우월주의가 아직도 팽배하기때문이기도 하지만
이름을 대봐도 내노라 하는 대기업역시 남성의 관리자가 훨씬더 많은 사실.
또한 같이 입사를 했어도 능력을 따지면서 진급이 될시에도 언제나 남성이 우선인때가 더많다
그 이유는 남성에겐 책임을 져야할 가정도 있으며 높은 직책을 맡을경우 끝까지 회사에 충성을 하는 또는 더 열심히 일하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여성들은 육아와 가정과 일을 병행하기 어렵다라는 편견이 아직도 팽배하기 때문이다
나 역시도 이름대면 알만한 대기업에 근무하고 있지만 위와같은 내용이 더 사실적이다.
물론 사원들도 읽어서 좋은 영향을 받을수 있는 좋은 글이 많다
읽으면서도 끄덕여 지는 내용들 또한 많으면서 공감가는 부분이 많기도 하고 역시나 윗선 관리자들이
이렇게 행동해주면 정말 좋겠다 싶은 글들이 매우 많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 실정에 이책에서 주는 효과과 과연 얼마나 있을지는 모르겠다
이 책처럼 앞으로 관리자들이 되어갈 그래서 보스내지는 중역이 되는 높은 자리에 올라가는 그 사람들이 이책에서 본 내용처럼 초심을 잃지 않고 사원들을 관리하고 또한 조직내에서의 인맥이나
팀웍이나 그리고 미래를 꿈꾸는 행동또한,,,상사는 친구가 될수 없다는 말은 절대적인 동의를 표한다
상사는 어디까지나 상사일뿐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상명하복이란 엄연한 룰이 다른 나라역시도
마찬가지 일테니 저자의 내용을 충분히 알수가 있겠다
고로 젊은 대학생들부터 새내기 사원들과 관리자 그리고 현재 중역의 자리나 사장의 자리에서 최고의 오너인 보스의 자리에 있는 사람들까지도 두루두루 널리 읽혀서 좀더 현실적이고
체계적이면서 서구화적인 회사의 룰이 성립되었으면 좋겠다,,
모 회사를 보면 똑같이 입사한 남여직원중에 지금도 보면 남직원은 과장급 이상의 자리에 있지만 여직원은 아직도 대리나 그 이하의 자리에 있는곳이 수두룩 하니까..
여성들이여,,그대들도 일어나 꿈을꾸고 미래를 생각해보면 어떨까 한다,,,,넓은 저택이 펼쳐진 나의 공간을 꿈꾸듯이...회사에서의 미래를 꿈꾸어 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