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광장 / 구운몽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1
최인훈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그러다 보니 두 가지 얼굴을 갖추지 않을 수 없다. 그들과 시시덕 거릴 때의 얼굴과, 혼자서 자기로 돌아왔을 때의 얼굴과.' 만약 이 두 얼굴이 일치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분명 행복한 사람일 것이다. 대개는, 방안에서의 자기만의 얼굴을 지키지 못하고, 바깥으로 나오는 순간 대인(對人)모드(?)로 낯을 바꾼다. 나 혼자 존재하는 곳을「밀실」이라고 한다면, '밖에서의 나' 여럿이 있는 공간은「광장」이다. 이 둘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몸을 던진 사람이 있다.

고등학교 시절 언어영역 문제집의 단골 지문 중 하나였던 최인훈의「광장」, 이 소설을 이제서야 읽었다. 지문 옆에 붙어있던 조그만 글자 몇 개, 「이 글의 특징 : 사변적, 관념적」, 이걸 보는 순간 이 작품을 읽고 싶은 마음이 싸~악 가셨고, 적어도 몇 년 동안 그것은 유효했다. 하지만, 그건 틀린 생각이었다. 이 작품은 정말 너무 너무 재밌다! 재미있을 뿐 아니라 감동적이다. 우리나라 소설 읽은 것은 몇 안 되지만, 그 중 최고로 단편은 김승옥의「무진기행」, 장편은 이 소설을 꼽고 싶다. 읽는 내내 흥분과 전율을 느꼈다.-_-;; 아주 아주 오랜만에...

주인공 이명준은 자신만의「밀실」에 안주하지 않고,「광장」으로 나가 둘과의 조화를 꾀하여 보려는 인물이다. 그러나 그의 눈에 비친 남한 사회는 '개인만 있고 국민은 없으며, 밀실만 푸짐하고 광장은 죽은', 그런 곳이다. 해방 후 아버지가 월북했다는 이유만으로 고문을 당하는 그는, 사랑하는 윤애에게서 잠시 위안을 얻지만, 그녀는 그에게 자신을 완전히 내어주지 못하고, 밀실에서 광장으로 통하는 길은 이어지지 못한다. 남한 사회에 환멸을 느낀 명준은 돌연 월북한다.

그러나 이북 또한 그를 만족시켜 주지 못하는데... '자기가 주인공이 아니라 '당'이 주인공이고, '당'만이 흥분하고 도취하며, 자기들은 복창만 하는' 그런 로봇 같은 사회. 밀실은 존재하지도 않고, 광장은 거대하나 사람들은 거대한 힘에 밀려 움직이는 피폐한 살덩이에 불과하다. 북한은 미친 믿음이 무섭고, 남한은 숫제 믿음조차 없는 허망한 곳이다. 북한에서도 그에게 운명처럼 나타난 여인이 있으니, 그 이름은 '은혜'였다. (얼핏 들으면 윤애와 비슷하다-_-) 명준이 광장에서 입고 돌아온 상처는 자신의 모든 것을 내어주는 은혜의 사랑으로 아물어갔다.

그러던 중 6.25 사변이 일어난다. 그 와중에서도 명준과 은혜는 광장으로 나가지 못하고, 동굴로 들어가 둘만의 사랑의 유희를 즐긴다. 그러나 명준의 아기를 밴 은혜는 폭격으로 끝내 사망한다. 포로가 된 이명준. 남과 북에서 모두 자기네 나라로 올 것을 설득하지만, 그는 이 말만 내뱉는다. '중립국'. 중립국 인도로 향하는 타고르호에 몸을 실은 이명준. 하지만, 그가 생각하는 그런 곳이란 중립국 뿐만 아니라, 지상 어느 곳에도 없을 거란 생각에 비창함을 느끼는데... 출발하는 순간부터 배의 마스트에 앉았다 또 날았다 하면서 그를 뒤쫓아 오는 크고 작은 갈매기 두 마리가 신경 쓰인다. 언제나 자기를 쏘아보는 것 같은 그 눈빛이 두려워져 총으로 겨누어 쏘려는 순간, 은혜와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딸이 떠오른다. 그는 이제 돌아가야 한다. 어머니가, 은혜가, 그리고 자신의 딸이 기다리고
있는 넓고 넓은 바다로...

작가는 이 소설을 여섯 번이나 고쳐 썼다. 이 소설에 대한 그의 애착을 확인시켜 주는 대목이다. 좌우 이데올로기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으나.. 작가는 존재하고자 하는 실존의 몸부림, 인간의 영원한 의무인 사랑을 이야기하는 데 더 비중을 두고 있는 듯하다. 무겁지만 재밌는 소설,「광장」... 죽을 때까지 두고두고 읽는, 몇 안 되는 소설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범우문고 62
F.사강 지음 / 범우사 / 199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슬픔이여, 안녕>으로 유명한 프랑스와즈 사강의 소설,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끝에 ? 대신 ...를 붙인 것은 그녀의 주문이라고 한다) 사실 내용은 별로 없다. 39세의 뽈르를 두고 40대의 중년 로제와 25살의 젊은 견습변호사 씨몽이 벌이는 삼각관계 애정싸움이다. 하지만, 뽈르는 절대 행복함을 느끼지 않는다. 그녀가 느끼는 주된 감정은 시종일관 고독과 외로움이다. 뽈르는 로제를 사랑하며 밤마다 그를 기다리지만, 한 여인에게 종속되길 거부하며 방종에 가까운 자유를 추구하는 로제.. 점점 외로움을 느껴가는 그녀에게 젊고 잘생긴 씨몽이 나타나 뜨거운 구애를 시작한다. (14살이나 차이나는 여자에게?-_-;; 아마도 브람스가 14살 연상의 클라라 슈만을 사모했다는 사실에서 힌트를 얻은 듯...)

뽈르도 그에게 점점 사랑을 느끼지만... 고독은 더욱 깊어만 가고, 젊은 씨몽은 절대로 자신의 '주인'이 될 수 없다는 생각에 집착한다. 매지라는 여자와 바람을 피는 로제.. 그런 그를 멀리하며 씨몽과 사랑을 해보려는 뽈르... 하지만, 그녀는 언제나 종속적 사랑을 한 것 같다. 이젠 후회하는 빛이 역력한 로제.. 그런 그가 가여워서, 예전의 로제식의
지배적 사랑이 그리워서, 젊은 씨몽과의 연애를 이끌어가기에 지친 그녀는 마지막에 다시 로제에게 돌아온다... (내 그럴 줄 알았지-_-;;) 하지만, 마지막에 로제는 다시 이렇게 말한다... '미안하오. 사업관계로 저녁을 들고 있소. 좀 늦게 가게 될 거요. 저...' 그녀의 외로움이 또다시 시작되는 것이다...

이 소설의 제목은 씨몽이 뽈르에게 보낸 쪽지에서 유래한다.'여섯 시에 플레이엘홀에서 아주 좋은 음악회가 있습니다.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어제 일에 대해서는 사과 드립니다.' 중년의 로제는 바그너를 좋아했다. '훌륭해. 시끄럽기는 하지만 이것이 음악이야.' 브람스는 젊은 씨몽의 고뇌와 사색을 의미하고, 바그너는 중년 로제의 연륜을 대표한다. 브람스와 바그너, 씨몽과 로제 사이에서 갈등하는 뽈르... (실제로 19세기에 낭만주의 음악의 선두자 바그너와 신고전주의를 표방한 브람스가 서로 라이벌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읽으면 더욱 재밌다)

사실 위의 이유를 제외하고는.. 브람스는 이런 류의 연애소설과 어울리지 않는다. 씨몽과 뽈르가 연주회에서 감상했던 바이올린 콘체르토는 물론이고.. 영화화 됐을 때 배경으로 삽입됐던 교향곡 3번 3악장도 왠지 이 작품과 그다지 어울리지 않는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그나마 이 작품과 어울릴만한 걸 고르라면.. 브람스가 클라라를 생각하며 작곡했다는 현악6중주 제1번 정도가 되지 않을까.. (특히 2악장) 만약 내가 씨몽이었다
면 이런 쪽지를 보냈을텐데... '쇼팽을 좋아하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