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안 사회 - 제국과 식민지의 번안이 만든 근대의 제도, 일상, 문화
백욱인 지음 / 휴머니스트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번안의 제국을 거쳐 식민지 조선에 들어온 번안물과 1960년대 산업화 시대의 번안물에서 조선의 얼굴을 만나다!



번안 사회라는 제목은 내게 낯설었다. '번안'이라는 단어 자체를 처음 들어봤기 때문이엇다. 네이버 단어사전에서 뜻을 찾아보았다. 


번안[명사]

원작의 내용이나 줄거리는 그대로 두고 풍속, 인명, 지명 따위를 시대나 풍토에 맞게 바꾸어 고침

 

이 책은 일제강점기가 근대의 제도, 일상, 문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설명하는 역사책이다. 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난 우리에게는 여전히 그 시절의 상처가 남아있다는 것을 잘 알려주는 책이었다. 우리에게 친숙한 돈가스가 일본식 서양 요리를 번안한 사실은 큰 충격이었다. 심지어 일본과는 전혀 관계 없을 거라고 생각했던 성경과 찬송가, 기독교와 교회도 제국의 번안과 연관시킬 수 있는 단어였다. 읽으면서 내가 그동안 역사에 무지했다는 생각을 할 수 있었고, 몇 번이고 소름이 돋았다. 잘 몰랐던 역사를 알 수 있던 좋은 기회였다. 


책을 펼치면 '번안의 시대를 힘겹게 살아내신 어머니를 생각하며...'라는 구절이 써져 있다. 참 슬픈 구절이라고 생각했다. 


 우리는 왜 '번안 사회'에 대해서 알아야 할까? 

번안이라는 행위 속에는 다분히 일제 강점기의 식민성이 담겨 있다. 하지만 한국 사회는 그 식민성을 모른채 번안물을 무분별하게 수용해왔다. 이는 분명히 잘못된 일이다. 꽤 많은 세월이 지난 지금도 번안물은 우리 사회에서 일제강점기의 잔재로 남아있다. 식민 지배의 흔적을 전통으로 잘못 생각해서 복구하는 일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그동안 우리가 저질러왔던 실수에 대해 더 잘 알고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인상 깊었던 문장>

해방 후 일제는 온갖 일본식 양풍의 산물을 이 땅에 남기고 돌아갔다. 곧이어 미군이 진주한 남한에서는 일제의 양풍과 새롭게 들어오는 미국풍이 공존했다. 이 땅에는 사회제도에서부터 의식주, 문화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에서 식민지 번안풍과 새로운 미국풍, 전통의 잔존물이 공존했다.
왜곡된 근대, 진행 중인 근대 그리고 전근대가 뒤섞이면서 혼종 간 싸움이 벌어졌다. 아래로부터 만들어지는 혼종과 위로부터 강제된 혼종, 바깥에서 강요된 혼종과 안에서 주체적으로 만든 혼종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층위에서 혼종이 이루어졌다. ― ‘프롤로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