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이로운 꿀벌의 세계 - 초개체 생태학
위르겐 타우츠 지음, 헬가 R. 하일만 사진, 최재천 감수, 유영미 옮김 / 이치사이언스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알고 있었던 ‘꿀벌’이라는 생명체는 단지 조그마한 곤충에 불과 했다. 윙윙거리며 날아다니면서 분주하게 꿀을 모으고, 벌집을 만들며 살아가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그런 곤충 말이다. 그러나 TV속 한 프로그램에서 지구 생태계에서 꿀벌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으며, 우리도 모르는 사이 꿀벌에 매우 의존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과일의 수분을 돕는 것도 꿀벌이며 심지어 우리가 먹는 쇠고기의 질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도 꿀벌이라고 했다. 이렇게 작은 곤충에 대해 신선한 충격을 받은 나는 꿀벌과 관련된 도서를 찾다가 ‘경이로운 꿀벌의 세계’라는 책을 읽게 되었는데, 내용 속 이 한 대목이 무척 인상 깊었다. “꿀벌 군락은 하나의 생물이다. 그것들은 척추 동물이다.“ 동식물들을 단순히 생물학적인 기준으로 구분하는 구조적인 틀에서 벗어나 그들의 기능적인 구조를 기준으로 보는 새로운 관점이었기 때문이다. 첫 대목의 깊은 인상은 나로 하여금 꿀벌에 대한 흥미를 더욱 불러 일으켰다.

세계적인 목수이자 양봉가였던 요하네스 메링은 꿀벌 군락을 쪼갤 수 없는 하나의 살아있는 유기체로 인식한 사람이었다. 여기에 영감을 얻어 위르겐 타우츠는 꾸준한 관찰과 연구 끝에 꿀벌 군락이 척추 동물일 뿐만 아니라,포유류의 특성까지 가지고 있다고 했다. 첫 번째, 포유동물의 암컷은 자손을 양육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젖샘에서 젖을 분비하는데, 꿀벌의 암컷인 일벌도 왕유,즉 로열젤리를 분비한다. 두 번째, 포유동물은 자손에게 위험한 외부 세계와 차단된 자궁이라는 안전한 양육 환경을 제공한다. 꿀벌 역시 벌집이라는 사회적 자궁 속에서 유충을 안전하게 양육한다. 마지막으로, 포유동물의 체온은 36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꿀벌 역시 유충의 온도를 섭씨 35도로 유지한다. 이처럼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의 특성이 꿀벌 군락에 그대로 적용된다는 사실이 매우 놀라웠다. 꿀벌에 대해 놀라웠던 또 다른 점은 꿀벌의 학습 능력과 인지능력이 포유동물과 견주어 보아도 전혀 밀리지 않는다고 한다. 유전적으로 전달된 지식(본능),경험으로 습득하는 지식, 동료와의 의사소통으로 얻은 지식을 총 동원해 꿀 찾는 일에서부터 꽃의 생산물을 수확하는 일에 이르기까지 흔히 꿀벌들의 춤이라고 하는 그들의 고유의 신호를 통해 보다 체계적으로 일을 수행한다.

평소 무시했던 곤충의 우수성을 직접전문 서적을 통해 알아보니, 아무리 작은 생물이라도 이처럼 유용할 수 있구나! 라는 생각이 새삼 들었다. 나도 앞으로 어떠한 것이 작거나 하찮다고 무시하지 않고 꿀벌과 같이 진귀한 내면의 가치를 볼 줄 아는 마음의 눈이 깊은 사람이 되어야겠다고 다시 한 번 다짐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