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정치에 무관심하면 가장 저질스러운 정치인들에게지배당한다.
플라톤의 말이었다.
플라톤은 2,300여 년 전의 사람이었다. 그러니까 인간 세상에서는 그 기나긴 세월 동안 정치인들은 줄기차게 국민들을속이고 이용해 먹고, 국민들은 정치에 별 관심 없이 그저 지배당해 왔다는 것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의 구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러한 의식은 일상생활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부를 하다가 어느 순간 공부의 양에 압도된다는 생각이 든다면, 구호와 같은 의식적인행동을 통해 부정적인 생각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방법이다. 아이가 공부를하다가 부정적인 단어를 연발한다면 다음과 같은 구호를 외치게 하라.
"나는 공부 이상의 존재다. 나는 이 공부를 지배한다. 나는 공부의 신이다.
이러한 구호를 의식적으로 외치면 어느 순간 물밀듯이 밀려왔던 의구심은사라지고 나는 현재 잘하고 있다는 생각이 머릿속을 지배한다. 이외에도자녀에게 힘을 줄 수 있는 의식적인 행동에는 무엇이 있을지 고민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들과 같이 성공한 사람들은 보통 사람들과 사고방식이 다르다. 성공한사람들은 모든 상황을 뻔뻔할 정도로 자신에게 유리하게 해석한다. 그렇기에다황스러운 상황에 처할지라도 자신의 생각을 부정적인 틀에 가두지 않는다.
자신의 생각을 그 틀에 가두는 순간 그러한 이미지가 잠재의식에 흘러가 잠재의식이 그를 진실이라고 받아들인다는 진리를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자녀에게 성공한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심어주고 싶다면, 생활 속 작은경험들에서 어떤 반응을 하느냐가 중요하다. 예를 들어, 시험을 앞둔 자녀가있다고 가정해보자. 공부를 하던 어느 날, 자녀가 그동안 열심히 필기를 한공책에 음료를 엎었다. 이 때 자녀는 왜 나한테만 이러한 일이 자꾸 일어나는거야‘라고 말한다. 이럴 때, 어떻게 도와주어야 할까? 무조건 ‘시험 전에액땜해서 다행이다‘라고 생각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상황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해석하는 태도를 연습해두어야만 유사한 상황에 다시 한 번 부딪힌다하더라도 부정적인 생각이 들지 않게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평소 자녀들의 부정적 언어와 태도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바로 잡아주어 성공한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익히도록 도와주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1세기 한국에서 10대를 살고 있는 독자 여러분, 여러분이러분의 선배들이 경험하고 있는 상황과는 사뭇 다르겠지만 위기되는 점은 싱클레어 역시 자신 안에서 저절로 우러나오는 것에 따라사는 것이 참 어려웠다고 고백한다는 것입니다. 솔직히 제가 앞에서던진 질문은 여러분뿐만 아니라 부모님과 선생님처럼 ‘인생의 고수’같은 어른들도 쉽게 대답하기 어려워요. 왜냐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밖에서 일어나는 일에 너무 많은 에너지와 관심, 시간을 쏟는 나머지 자신의 내면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살펴볼 여유가 없기 때문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