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발 하라리의 르네상스 전쟁 회고록 - 전쟁, 역사 그리고 나, 1450~1600
유발 하라리 지음, 김승욱 옮김, 박용진 감수 / 김영사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발 하라리의 ‘인류 3부작’인 <사피엔스>, <호모 데우스>,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은 인류의 기원부터 미래까지 지구에서 인류가 살아온 전 시간을 다루며, 앞으로 다가올 인류의 선택과 그에 따른 과제와 해법을 차례로 짚었다.
하지만 《유발하라리의 르네상스 전쟁회고록》은 그의 옥스퍼드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목처럼 르네상스 시기 전쟁에 참여한 군인들의 경험담이 바탕으로 한다. 근대가 열리던 즈음, 역사를 독점한 왕과 국가에 맞선 개인인 그들의 회고록에서 유발하라리는 무엇을 보았을까?
먼저 회고록이란 무엇인가?
르네상스 시대 군인회고록은 첫째, 회고록 집필이라는 행동은 1500년경 프랑스에서 탄생했다고 주장한다. 둘째, 대부분의 프랑스 역사가들은 적어도 르네상스 시대에는 회고록 집필이 전적으로 프랑스에서만 이루어졌고, 그 뒤에도 프랑스가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다고 주장한다. 셋째, 이것은 유발하라리가 가장 문제로 여기는 것으로 프랑스 역사가들은 르네상스 시대의 회고록들이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든, 틀림없이 자아, 정체성, 개인사가 중심축을 이루고 있다고 주장한다. 즉 회고록의 최종적인 특징이 바로 역사와 개인사의 조합이라는 점에 모든 학자들이 동의한다. 또한 대부분의 학자들은 회고록이 개인사를 역사에 종속시키는 문헌이므로 역사에 더 가까운 위치에 놓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회고록의 중요한 특징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회고록은 개인사와 역사를 조합한 글이지만, 전자가 후자에 종속된 글인지 아니면 그 반대의 경우인지에 대한 논쟁의 여지가 가장 중요하다.
이 책은 르네상스 시대 군인회고록이 자아에 대한 글이라거나, 역사와 개인사를 구분했다고 생각할 근거가 없음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즉 르네상스 시대 군인회고록의 저자들을 문헌 속의 개인으로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그들은 역사적 현실과 자신의 정체성을 분리하려는 시도를 전혀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당연히 이를 위해 자율적인 내면세계를 정체성의 바탕으로 삼지도 않았다고 한다. 대부분의 회고록 저자들은 아예 자신을 독특한 개인으로 구분하려 하지도 않았다.
그리고 저자는 르네상스 시대 군인회록의 역사적 현실을 조사하면서 이 문헌들과 20세기 군인회고록, 특히 계급이 낮은 군인들의 회고록과 서로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르네상스 시대 군인들이 왜 그토록 사실의 정확성에 매달렸는지를 밝히고 있다. 또한 이를 위해 그들이 생각했던 회고록과 역사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세기에 역사의 흐름을 구성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인과관계로 얽힌 과정이라고 한다. 따라서 역사 속의 특정한 사실과 일화는 대개 인과관계 속의 연결고리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르네상스 시대의 군인회고록은 인과관계로 연결하지 않고, 그냥 죽 나열하기만 한 것이다. 나열된 사실들 사이에 아무런 관계가 없으며, 그들이 더 커다란 그림과 연결되지도 않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전쟁에 나가는 사람은 자신의 행동이 후세에게 영향을 미칠지 여부보다는 영원히 기억에 남을지 여부에 훨씬 더 관심이 많았다. 그러나 회고록 저자들은 독자에게 교훈을 주기 위해 글을 쓰지 않았다. 자신의 자식이나 미래의 군인들에게 가르침을 주는 것이 중요한 목적 중 하나라고 노골적으로 주장한 회고록 저자들이 많다.
결론적으로 르네상스 시대 군인들의 회고록은 오늘날의 기준으로 보면 구색을 갖춘 글이라고 하기 어렵고 그저 이어진 이야기라보다 일화의 목록이다. 그것들은 독자를 이해시키려 하기보다 독자에게 기억을 새기려고 하고, 역사와 개인사를 뚜렷이 구분하기보다 둘 사이의 경계를 지워버린 뒤 기억할 만한 행위와 그렇지 않은 행위 사이의 경계선을 대신 그려 넣었다. 그래서 인과관계로 이어진 이야기라기보다 사건의 건조한 나열이다.
책속으로
p66 검을 휘두르는 사람이 펜을 들었을 때 최고의 진실한 전쟁사가 나온다.
p98 회고록 저자는 자신을 개인으로 묘사하지 않는다.
p202 고귀한 정신은 세속적인 존재보다, 재산보다, 목숨보다 명예를 더 귀하게 여기기 때문에.
p313 인류가 보기에 반드시 역사에 속하는 것, 그 무엇보다 특히 역사라고 할 수 있는 것이 하나 있다면 그것이 바로 전쟁이다. 좀더 정확히 말하자면, 전쟁 전체가 아니라 실질적인 폭력의 사용만이 항상 역사의 초점이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역사적 사건은 바로 전투이며, 무엇보다 중요한 역사적 주인공은 전사戰士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