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헨리 데이비드 소로
로라 대소 월스 지음, 김한영 옮김 / 돌베개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콩코드의 학교의 교육은 훌륭하기로 유명했고, 교장 앨런은 소로의 지적시야를 넓히는데 일조했다고 한다. 그런데 소로는 교장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듯 보였다. 그의 영향이 독이 되었다는 듯이. 이때 한창 에머슨의 가르침을 배우던 시기였다고 한다. 어쩌면 에머슨의 사상이 앞으로 소로의 철학에 어떻게 녹아들었을지 궁금하다.
콩코드와 하버드의 특별한 인연으로 소로에게 하버드에서 공부할 기회가 주어졌다. 소로가 하버드에서 학습하는 과정과 더불어 학교 밖에서도 환경과 경험, 주위 친구들역시 소로가 받는 교육의 영역에 영향을 주었다.

*리딩투데이 리포터즈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헨리 데이비드 소로
로라 대소 월스 지음, 김한영 옮김 / 돌베개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헨리는 어릴 적부터 자신을 변호하는 능력이나 상상에 빠지는 등에서 비상한 면을 보였다. 게다가 자연친화적인 생활이 많았다. 높은 바위산을 기어올라 가장 먼저 비치는 아침 햇살을 맞이하고, 소를 데려다 풀을 뜯기고 우유를 짜고 소로의 내면세계를 자연으로 장식하고 구축했다. 여기서 부터였을까. 서서히 자연에 남다른 생각이 심어지는 것이. 

소로가 정착해 살았던 콩코드는 여러 직급의 사람들이 머물다 가는 장소들이 있어 마치 세계의 축소판 처럼 그곳에서 소로가 더 많을 것을 배웠을 것이다. 진지하고 예리한 관찰력으로 어릴 적 경험하고 배우는 모든 것을 흡수하고, 특히 종교와 자연에 있어서 남다른 탐구정신을 가졌다.

*리딩투데이 리포터즈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퇴근길 인문학 수업 : 관계 - 나를 바라보고 상대방을 이해하는 심리의 첫걸음 퇴근길 인문학 수업
백상경제연구원 외 지음 / 한빛비즈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대체로 가치 판단의 기준을 자신의 내면이 아닌 외부 세계에 두고 타인의 인정과 사랑을 갈구한다.

자존감에 대한 책이 부쩍 많아졌다. 집단주의, 공동체의식에서 비롯된 많은 통념들로 인해 짓눌리던 개개인의 개성과 그에 대한 존중이 중요시 되지 않았지만, 점차 개인주의가 퍼지면서 오직 '나'를 보살피는 것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그에대한 방법론들이 다양하게 소개된다. 물론 이역시도 마케팅거리 중 하나이기도 하지만.

*리딩투데이 리포터즈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지털 시대에 살면서 과거보다 편리해지고 좋은 점이 많은 것 같지만, 종종 아날로그의 감성을 그리워해서 찾는 경우가 있다. 뿐만아니라 빨라지고 쉬워진만큼 가치가 낮아지고, 보호받지 못하고, 양날의 검처럼 이득과 동시에 폐해가 존재하는 부분이 있다. 다시 아날로그 시절로 돌아갈 수는 없으니, 그시절에 우리가 보호받았던 시스템을 디지털 시대에 맞추어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 

*리딩투데이 리포터즈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공유경제 시대, 나는 여러 가지 구독을 이용하지만 아직 다른 사람과 함께 나눠써본 경험은 거의 없다. 사용한 흔적이 남는거라곤 도서관의 책, 에어비앤비 등 내가 남의 것, 공용의 것을 쓰고, 내 것을 같이 써본 적은 없다. 경제 스터디에서 나중에는 집도 구독경제에 들어올 수도 있다하는데 공유경제의 좋은점은 어느 정도 공감해도, 너무 개인의 소유개념을 부정하는 것은 회의적이다. 소로가 두려워했다는 모든 사람이 모든 것을 공유하는 시대가 이런 것인지 두고봐야겠고, 앞으로 소로에게서 배울 것, 알아갈 것이 많다.

*리딩투데이 리포터즈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