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제 매도할 것인가 : 이익매도, 손절매도, 공매도, 선물매도 - 알렉산더 엘더가 알려주는 매도의 모든 것, 개정판
알렉산더 엘더 지음, 신가을 옮김, 오인석 감수 / 이레미디어 / 2022년 2월
평점 :
[서평] 언제 매도 할것 인가 -알렉산더 엘더
매도는 예술이라는 말을 실감 하고 있다
. 최근 같은 하락장에서는 매도 고민이 전략들이 적절한 매도 시기를 찾는다면 수익을 최대로 만들수 있을 것이다. 그를 위한 다양한 전략이 수록된 이책은 트레이더의 스승인 알렉산더 엘더가 출판한 명저 이다.
"" 인상 깊었던 구절 위주로 적어서 리뷰를 작성 하겠습니다. ""
"매수하기 전에 매도 계획을 수립하라. 이 간단한 규칙을 지키면 가련한 개구리처럼 서서히 삶기는 신세를 면할 수 있다. 매수하기 전에 매도 계획을 세우면 수익은 늘어나고, 손실은 줄어들며, 자산 곡선은 위를 향하게 된다.
불쾌할 때는 매매를 중단하는 편이 낫다
훌륭한 트레이더가 다른 사람보다 우위에 있다고 해도, 그 차이란 종이 한 장에 지나지 않는다. 자신의 강점을 약화시키는 것이 있다면 종류를 막론하고 힘의 균형을 불리하게 만들 수 있다. 침착하고 느긋하며 즐거운 기분은 성공하는 데 있어서 지극히 중요하다. 심한 치통 때문에 고통스럽거나 배우자와 다퉈 속이 시끄럽다면 시장에서 잠시 물러나 쉬는 게 낫다. 다른 일에 정신이 팔려 있다면 개인적인 스트레스가 해소될 때까지 잠시 매매를 멈춰라. ( 이러한 경험이 있어서 공감이 많이 되었습니다)
자금 관리의 대들보가 되는 2대 원칙은 2% 규칙과 6% 규칙이다. 이 규칙들은 트레이더의 숨통을 끊어놓는 2가지 최대 난적으로부터 계좌를 보호해준다.
계좌에 10만 달러가 있다고 하자.
2% 규칙에 따르면 1회 매매에 허용되는 최대 손실한도는 2000달러다.
40달러짜리 주식을 매수하기로 하고 38달러를 손절가격으로 설정했다면 주당 손실금액은 2달러다."
1. 진입가격과 손절가격의 차이로 주당 최대 손실금액을 결정한다.
2. 2% 규칙으로 진입 포지션의 최대 리스크를 결정한다.
3. 허용되는 최대 손실한도를 주당 손실금액으로 나누어 매매할 수 있는 최대 주식 수를 결정한다.
6% 규칙은 그 달의 누적 손실금액이 계좌 자산의 6%에 이르면 그 달이 끝날 때까지는 거래하지 않는 것이다.
사람은 일이 꼬일수록 더 밀어붙이는 경향이 있다. 손실을 보면 수렁에서 빠져나오려고 더 자주 매매한다. 사실 이럴 때는 한 걸음 뒤로 물러서서 쉬는 게 낫다. 6% 규칙으로 한 달 손실의 최대치를 정해두면 이런 일이 가능해진다.
기록 하는것을 강조 하고 , 매도 할떄 원칙을 정하고 그 원칙을 지키는 연습을 이 책을 보면서 해야 겠다.
'이 리뷰는 "출판사로 부터 책을 증정 받아 작성 하였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