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당신의 조각들 - 타블로 소설집
타블로 지음 / 달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짓말의 진화> 읽으신 분들!
10월 21일(목) 전투적 책읽기 공개토론에 참여하세요.

네이버 <전투적 책읽기> 까페에서 첫번째 공개토론을 합니다.  이번 주제책은 <거짓말의 진화>이며, 토론주제는 <거짓말의 진화> 그리고 타블로 학력논란
 
 
타블로의 스탠포드 학력을 둘러싸고 끝도 없이 이어진 공방,
미디어와 경찰까지 동원된 학력증빙 그리고 집단 반발
거짓말과 진실의 대결인가 혹은 인지 부조화의 대결인가?

 
 “ 우리는 누구나 사실이 아니라고 알고 있는 것들을 믿어놓고는
나중에 그것이 잘못이라고 밝혀지면 뻔뻔하게도 자신이 옳았음을 입증하기 위해 사실을 왜곡할 수 있다. 지적으로는 이 과정이 한없이 계속 될 수도 있다. 이를 제지할 요소는 잘못된 믿음이 머지않아 부정할 수없는 진실에, 대게는 전장에서 맞딱뜨리는 것이다 - 조지오웰(1946)-

<토론의 질문들>

1. 왜 이렇게 타블로의 학력논란이 오랫동안 지속된 걸까요?
일명 <타진요(타블로에게 진실을 요구합니다)>까페로 대표되는 네트진들의  집단적이고 구체적인 학력증명 요구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일부 집단의 열등감으로 보기에는 타블로의 학력논란 문제가 너무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불거졌습니다.

2. 타블로가 스탠포드와 같은 해외명문이 아니라 일반 국내 대학에 다니면서 3년 반 만에 학.석사 취득 했어도 논란이 지금처럼 일어났을까요?

3. 대한민국에서 학력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특히나 타블로와 같은 연애인 뿐만 아니라 방송인, 사회 지도층의 학력논란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4. 이 현상들을  <거짓말의 진화>를 통해 인지부조화의 이론으로 토론해 보고, 자기 정당화의 매커니즘을 살펴 봅시다.


책을 읽으시고 주제에 관심있는 분들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http://cafe.naver.com/gatheringplus.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675
를 참고해 주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짓말의 진화 - 자기정당화의 심리학
엘리엇 애런슨.캐럴 태브리스 지음, 박웅희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거짓말의 진화> 읽으신 분들!
10월 21일(목) 전투적 책읽기 공개토론에 참여하세요.

네이버 <전투적 책읽기> 까페에서 첫번째 공개토론을 합니다.  이번 주제책은 <거짓말의 진화>이며, 토론주제는 <거짓말의 진화> 그리고 타블로 학력논란
 
 
타블로의 스탠포드 학력을 둘러싸고 끝도 없이 이어진 공방,
미디어와 경찰까지 동원된 학력증빙 그리고 집단 반발
거짓말과 진실의 대결인가 혹은 인지 부조화의 대결인가?

 
 “ 우리는 누구나 사실이 아니라고 알고 있는 것들을 믿어놓고는
나중에 그것이 잘못이라고 밝혀지면 뻔뻔하게도 자신이 옳았음을 입증하기 위해 사실을 왜곡할 수 있다. 지적으로는 이 과정이 한없이 계속 될 수도 있다. 이를 제지할 요소는 잘못된 믿음이 머지않아 부정할 수없는 진실에, 대게는 전장에서 맞딱뜨리는 것이다 - 조지오웰(1946)-

<토론의 질문들>

1. 왜 이렇게 타블로의 학력논란이 오랫동안 지속된 걸까요?
일명 <타진요(타블로에게 진실을 요구합니다)>까페로 대표되는 네트진들의  집단적이고 구체적인 학력증명 요구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일부 집단의 열등감으로 보기에는 타블로의 학력논란 문제가 너무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불거졌습니다.

2. 타블로가 스탠포드와 같은 해외명문이 아니라 일반 국내 대학에 다니면서 3년 반 만에 학.석사 취득 했어도 논란이 지금처럼 일어났을까요?

3. 대한민국에서 학력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특히나 타블로와 같은 연애인 뿐만 아니라 방송인, 사회 지도층의 학력논란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4. 이 현상들을  <거짓말의 진화>를 통해 인지부조화의 이론으로 토론해 보고, 자기 정당화의 매커니즘을 살펴 봅시다.


책을 읽으시고 주제에 관심있는 분들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http://cafe.naver.com/gatheringplus.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675
를 참고해 주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