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메소포타미아에 새겨진 한국신화의 비밀
조철수 지음 / 김영사 / 2003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나에게 신화를 읽는 또 다른 관점을 가르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방의 사람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지음 / 형설출판사 / 2000년 6월
평점 :
절판


기독교에 대한 단상들을 모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작품집이다 <무녀도> 에서 보여준 김동리의 시각과는 달리 서방 기독교에 대해서도 토착신들의 우월감을 내비치는 백년전 일본 엘리트의 시선 또한 부럽지 않다면 거짓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금가지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지음, 이용대 옮김 / 한겨레출판 / 200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신화 상징 민속 무속등에 관심있는 독자라면 무조건 <황금가지 >를 제일 먼저 읽어보시길 진심으로 권해드립니다 독서에도 순서가 있다는 것을 느끼며 이제라도 완독한 것을 그나마 다행으로 여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증보 한국고대종교사상
이은봉 지음 / 집문당 / 1999년 12월
평점 :
품절


단군 건국신화를 비롯 한국의 신화와 판테온의 세계를 천지인 삼신의 계통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저자의 분류계통의 찬반은 차치하고 거의 모든 중국사서에서 한국 고대의 종교신화 관련 기사를 수집 해설한 점은 평가 받을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숨겨진 복음서, 영지주의
일레인 페이절스 지음, 하연희 옮김 / 루비박스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기원후 150년경 기독교와 불교의 교류가 있었을 것이다 기독교의 영향을 받은 불교는 인도 북부 지방에서 대승불교로 발전하고 불교의 영향을 받은 기독교는 같은 시기 근동에서 영지주의로 태어난다 이것은 한 독자의 가설에 불과하지만 아니라고 하기엔 두 종교의 사상이 너무나 비슷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