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어째서 변하는 걸까"


'소설집 오빠가 돌아왔다' 낸 김영하씨

소설가 김영하(36)씨는 그동안 발표한 작품들에서 일부 장르문학의 기법을 차용했는가 하면, 구비문학이나 역사적 사건에서 소재를 빌려오기도 했다. 각기 따로 ‘노는’ 작품들 사이의 공통점은, 작가 자신의 말마따나, “본격문학이 다뤄선 안 될 얘기들만 골랐다는 것” 정도다. 하지만 등단 10년째를 맞은 그가 최근 내놓은 소설집 <오빠가 돌아왔다>(창비)는 새로운 이야기꺼리를 찾는 실험에서 한 발짝 비켜섰다. 소설가의 관심은 ‘사건’보다는 ‘인간의 내면’에 쏠려있다.


사건 보다 인간내면에 집착

지난 26일 만난 소설가는 이번 작품집에서 “일상에서 그저 별것 아닌 일들이 벌어질 뿐이데, 어째서 인간은 변하는가를 얘기하고 싶었다”고 말문을 뗐다. “근대초기의 지식인 윤치호는 어쩌다 친일을 긍정하게 됐는가”나 “마담 보봐리가 연애에 눈뜨고 파멸로 치닫게 되는 까닭은 무엇인가” 같은 소설의 고전적인 ‘화두’에 대해, 자신만의 답안지를 제출했다는 것이다. 그는 특히 단편 <그림자를 판 사나이>의 경우, “즐겁게 작업하는 평소 태도와 달리, 쓰면서 벅차오르는 슬픔 때문에 여러 번 호흡을 가다듬어야 했다”고 털어놓았다.

벅찬 슬픔에 글쓰기 애먹어

아델베르트 샤미소의 소설에서 제목을 빌린 이 단편은 외부세계와 격리된 채 살아가는 30대 중반 남성 소설가의 얘기다. 소설의 화자인 ‘나’는 오랜만에 옛 친구들인 바오로와 미경을 각각 만난다. 가톨릭 신부인 바오로는 ‘나’에게 자신이 얼마 전 미경과 잠자리를 함께 했음을 털어놓는다. 미경이 너무나 불쌍했고, 자신이 해줄 수 있는 게 그것밖에 없었다는 설명이 따른다. 다시 미경과 마주앉게 된 ‘나’는 미경의 남편이 제 몸에서 타오른 불길로 죽음에 이르는 ‘자연발화’로 숨졌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날 밤 ‘나’는 미경과의 결혼을 생각하면서, “거대한 새 그림자가 내 머리 위를 지나간다”고 느낀다.

<그림자를 판 사나이>는 등장인물들 마음 속의 “어떤 미묘한 흔들림”에 초점을 맞춘다. ‘자연발화’라는 ‘비상’한 사고는 사소한 장치일 따름이다. 소설가는 창공으로 까마득하게 솟구쳐 오른 새에게도 그림자가 달려있다고, 한 개인의 내면도 외부세계가 드리운 그림자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고 들려준다. 그의 이런 세계인식은 몇 십만 원짜리 가야토기가 깨지는 ‘해프닝’을 그린 <이사>나 한 살인사건을 다루면서 자신들이 저지른 일이 아닌데도 찜찜한 기분을 떨쳐버릴 수 없는 인물들을 보여주는 <크리스마스 캐롤>에도 이어진다.

반면 한 ‘콩가루’ 집안에 고양이까지 끌어들여 하나의 ‘유사가족’을 빚어낸 표제작, 보물선과 충무공 동상을 음모론적으로 엮어낸 <보물선> 등은 작가 특유의 발랄한 상상력과 경쾌한 문장을 기다린 독자들을 실망시키지 않는다.

발랄한 상상력 어디 가나요

“이젠 머신이 돼 가는 것 같아요. 작가로서 더 이상 산출하지 못할 거라는 공포에선 벗어났습니다. 매일 오후 여섯시까지 글을 쓰고, 저녁엔 맥주를 마시며 티브이를 봅니다. 외국에 오래 머물렀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에는 창작에 집중하려 해요. 원고지 3000장 분량의 두툼한 장편소설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연애나 가족해체 같은 당대의 풍경을 박물지처럼 그리되, <율리시즈>나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처럼 짧은 시간 속에 담게 될 것 같아요.”

글 임주환 기자 eyelid@hani.co.kr,사진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http://www.hani.co.kr/section-009100003/2004/02/009100003200402271848324.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