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박창범 지음 / 김영사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서의 천문 기록을 컴퓨터를 통해 복원하고 실제 발생 여부를 확인해보는 실험은 대단히 흥미로운 작업이다. 저자의 전공이 천문학이었기에 가능한 발상이었을 것이다. 언제나 사료의 빈곤함 때문에 허덕이고 있는 한국 고대사 연구의 현실을 감안한다면 저자의 자연과학적 접근은 매우 신선하게 다가온다.

그러나 저자인 박창범 교수는 기본적으로 기존 사학계의 연구 성과를 전혀 반영하지 않은 듯 하다. 즉 역사학적인 이해 없이 오로지 자연과학적인 방법으로 실험에 임한 것이다. 그렇기에 그가 내놓은 실험 결과는 기존 사학계의 연구 성과와는 전혀 부합하지 않는 내용의 것이다. 박창범 교수가 책으로까지 위 실험내용을 공개했다는 것은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보다 자신이 실험을 통해 도출해낸 결과가 옳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리라.

그러나 내가 보기에 문제는 박창범 교수의 실험에 있다. 그가 제시한 실험 내용을 살펴본 결과 실험의 조건과 결과를 대단히 자의적인 기준으로, 심하게 말하자면 편파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며 내가 느낀 것은 결국 중요한 것은 실험 그 자체라기보다 실험 결과에 대한 해석의 문제라는 것이다.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자연과학의 실험이 절대적인 객관성을 보증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나도 이번에야 알았다. 박창범 교수는 처음부터 모종의 기대를 가지고 실험에 임했고 어떻게 보면 그가 결론 내린 것과는 정반대의 결론이 가능한 실험 결과물들을 자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무리하게 해석하고 있다.

가장 찜찜한 것은 이 책이 자연과학자가 저술한 것이라는 점만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책의 내용을 역사학자들의 그것보다 훨씬 객관적이고 정확하다고 믿을 것이라는 점이다. 자연과학의 권위가 인문학의 권위를 압도하고 있는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내용이 아닐 수 없다. 이 책이 자연과학에 밀려 바닥까지 추락해버린 인문학의 위상을 반영하고 있는 서글픈 결과물이라고 본다면 그저 인문학 전공자의 예민한 반응이라고만 할 일일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양이 2004-10-22 13: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연과학은 인문학과 비교하여 나름대로 객관성을 유지할수 있는 학문이겠지요. 절대성이란 표현을 사용하셨는데 그런표현이 과연 인문학과 자연과학중에 어느쪽에 더 적절한 것일까요? 이 한반도에는 과연 어떤사람들이 살았을까요? 이른바 한민족만 살았을까요? 아닙니다. 유럽인들도 상당수 살고 있었읍니다. 그냥 사실대로 보면 되는 문제 입니다. 그걸 영양상태가 아주 좋은 예외적으로 해석하는게 기존의 고고학계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