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에 숲이 있다 - 마오우쑤 사막에 나무를 심은 여자 인위쩐 이야기
이미애 지음 / 서해문집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사막’의 사전적 뜻은 다음과 같다.
강수량이 적어서 식생이 보이지 않거나 적고, 인간의 활동도 제약되는 지역.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이 책의 제목은 거짓이 아닐까?
책 표지를 넘겨보면, 인상 깊은 사진 네 장이 실려있다. 하나, 아름다운 곡선을 드러낸 사막의 전경. , 사막에 커다란 분홍색 차양 모자를 쓰고 어깨 한쪽엔 가방을 짊어진 평범한 여인의 뒷모습! , 여인을 따라 나타난 나무 한 그루 두 그루. , 숲처럼 우거진 가로수 길. 마지막 사진에 의심을 품지 않을 수 없었다. ‘설마, 이게 사막이라고? 가로수 길이 어떻게 그곳에 있겠어. 과장 아닐까…’

책을 읽어갈수록, 의심은 사라지고 그 자리에 믿음이 들어선다.
스무 살 처녀, 인위쩐을 향한 믿음...
그녀의 꿈은 우리네 꿈과 다르지 않았다. 도시로 나가 일자리를 구해 번듯하게 살아보거나, 부유한 청년을 만나 다복한 가정을 꾸리는 것처럼 소박했다. 어느 날 아침, 아버지의 말을 따라 나선 길에, 난데없이 황량한 사막에 버려지는 일만은 꿈도 꾸지 못한 현실이었다. 사막처럼 쓸쓸해 보이는 한 남자의 아내가 된 것에 한 달을 주저앉아 통곡했지만, 그녀 곁을 떠나지 않고 함께 목놓아 우는 남자의 외로움을 외면할 수 없었다. 생명체라곤 자신과 남편 외에 아무도 없다는 사실이 그녀에게 또다시 절망을 안겨줬지만, 이내 일어서 사막을 살만한 곳으로 만들겠다고 다짐한다. 그녀의 소원과 남편의 적극적인 협력이 꽃피운 ‘사막 한가운데 나무 심기’프로젝트는 그렇게 시작됐다. 부부가 키운 꿈은 날 선 사막의 메마르고 강한 모래바람에 번번히 좌절될 듯싶었다. 그러나 그들은 온몸으로 싸워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를 끝내 지켜냈다.

사막을 살기 좋게 만들고 싶었던 바램이, 마침내 풍성한 숲을 낳았다. 이제 그녀는 사막의 숲이 자신의 자녀들과 또 다른 이웃들에게 희망과 기쁨을 안겨주길 소원하며, 숲 너머의 사막을 향해 여전히 씨를 뿌린다. 연한 순처럼 소박하게 피어나는 풀 한 포기를 위해 수고하는 그녀의 어깨와 손, 팔과 다리는 얼마나 단단할까? 환경의 열악함, 헤쳐나가지 못할 모든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꿈을 바라보며 나아간 그녀의 투지야 말로 최고의 원군이 아니었을까?

인위쩐의 놀라운 인생을 책 한 권으로 들여다보기는 쉽지만, 그녀의 성품을 내 것으로 만들기는 요원해 보인다. 하지만, 나무 한 그루 한 그루에 물을 내려주는 인위쩐의 두툼한 손길은 지리적 한계를 넘어 사막처럼 쓸쓸한 내 가슴도 따뜻하게 적시며 ‘싱싱한 삶, 진정 살아있음을 누리는 인생’이 되라고 속삭여 준다. 스러져버릴 듯 연약하게 서 있는 인생 하나가 한 줌의 용기를 얻고자 마오우쑤 사막을 향해 뿌리를 내려본다. 사막같은 이 땅에 휘청거리지 않을 든든한 뿌리를 내릴 수 있을까? 숲의 나무가 들려주는 노랫소리를 응원 삼으면 힘을 얻을 것도 같은데,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