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의 역사 1 - 건국과 인민주주의의 경험 1945~1960 ㅣ 청소년과 시민을 위한 20세기 한국사 5
김성보 지음, 역사문제연구소 기획 / 역사비평사 / 2011년 10월
평점 :
남북한 분단체제가 과거와 다르게 화해와 협력의 시대로 접어들었지만, 최근 한 의류업체의 광고물에서도 보듯이 여전히 남북의 대립과 긴장은 계속되고 있다. 특히 현 정부가 들어서 남북관계는 상호 대화보다는 애써 무시하거나 적대시하는 흐름으로 이어졌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회 일각에서는 북한을 조금 길게 거론하는 것도 여전히 불온시되는 분위기도 존재한다. 백 번 양보하여 북한을 주적으로 보더라도, 적을 이기기 위해서는 적을 알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상대편 북한을 얼마나 알고 있는가?
그 물음에 대하여 최근 역사문제연구소가 기획하여 역사비평사에서 출판된 북한의 역사 두 권은 현대 북한을 알기 위해서 앞으로 필독서가 될 만하다. 적어도 북한을 알기 위해서, 그 역사를 되돌아보는 데 두 책은 친절한 안내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두 책은 북한 역사를 오랫동안 연구해왔던 두 저자에 의해 일반인들도 교양 수준에서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도록 쓰여져 있다.
한국 현대사 연구자 김성보 교수가 쓴 첫 번째 책은 현재 일반적으로 대중들이 북한에 갖고 있는 편견이나 오해를 풀어주는 데 상당한 배려가 보인다. 이 책에서는 해방 직후 초기 북한에서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은 애초부터 분단을 상정할 정도로 대립했던 것은 아니라는 점. 이북 지역은 소련군이 점령군으로서라기보다 협력자로서 역할을 했다는 점. 전쟁이 북한을 경직되게 만들었고, 인민을 기반으로 한 자력갱생적 혁명 기풍을 만들게 한 결정적인 배경이 되었다는 점. 북한사회의 경직화는 곧 북한 내의 다양한 가능성을 해소시켰다는 점 등을 역사학계에서의 논의 수준을 제시하면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 확인을 거쳐서 이 책에서 힘을 기울이고 있는 바는 북한에서의 ‘열린 가능성’을 과거로부터 찾아가는 것이다. 북한은 곧바로 사회주의를 추구했던 것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그것은 바로 ‘인민민주주의’ 형태이며, 북한은 사회주의 세력만이 아닌 통일전선 형태의 권력을 추구하였고, 개인의 경영을 인정하는 혼합경제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그러한 점들은 적어도 1950년대까지는 유지되고 있었다. 그런 점에서 오늘날 북한의 모습을 보고 과거까지 재단하는 과오를 범할 수는 없다는 점을 저자는 강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열렸던’ 가능성을 찾아가는 길은 저자의 입장에서 현재 남북한의 분단체제를 극복해가는 길의 하나이다. 저자는 북한의 체제 형성 과정에 존재했던 다양한 면모들은 여전히 잠재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겉으로 모습을 드러낼 가능성도 있을 수 있다고 반문한다. 그런 입장에서 끝으로 북한에 다시 초심으로 돌아갈 필요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이 책의 설명은 정치와 경제의 문제뿐만이 아니라 문학예술과 학술, 농민과 노동자의 삶, 여성 등 북한사회 각 분야를 고루 망라하여 기술되고 있는 점에서 흥미롭다. 또 곳곳에 함께 실린 사진들은 책 내용의 이해를 돕고 있다(사진의 출처가 명시되지 않은 점이 옥에 티이기는 하지만). 북한에 대한 오해를 풀면서, 북한의 ‘열린 가능성’이 앞으로도 가능할 수 있을지를 저자와 함께 대화해볼 것을 추천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