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무관심을 증오한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나는 무관심을 증오한다 - 그람시 산문선
안토니오 그람시 지음, 김종법 옮김 / 바다출판사 / 2016년 3월
평점 :
품절


 우리나라와 이탈리아는 반도라는 지리적 특성 외에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지형에 유사한 부분이 많다. 그리고 100여 년 전의 이탈리아와 현재 우리나라의 모습은 특히 닮은 꼴을 하고 있다. 물론 정도의 차이는 있겠으나, 권위주의적인 정부 체제 하에서 정치적, 경제적으로 혼란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민주주의의 주체가 되어야 할 시민 혹은 국민들은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20세기 초 가장 영향력 있었던 사상가인 안토니오 그람시의 자국을 향한 비판은 따라서 현재 대한민국을 향한 비판으로 들리기도 한다. 서문에 이른 것 처럼 본문 속의 '이탈리아', '파시즘', '프롤레타리아'를 '대한민국', '정치권력', '노동자 혹은 서민'이라고 치환시켜 읽으면 상당히 익숙한 이야기처럼 들리는 것은 바로 이때문이다.

 

 그람시는 제 2차 세계대전 직전까지 무솔리니의 파시즘 정권을 맹렬하게 비판하다가 정치적 이단으로 낙인찍힌 뒤 옥중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그는 왜 가난한 농민과 노동자가 오히려 권위주의적 파시스트 정권을 지지하는가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오랜 기간 고민해왔다. 이러한 의문 역시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하위 계층으로 분류되는 집단이 집권 보수 정당을 무조건적으로 지지하는 이상현상과 닮아있는 점이다. 그람시는 그 해답을 '무관심'이라고 밝혔다. 무관심은 무지 혹은 무의식적인 고개돌림과는 좀 다른, 그보다는 적극적인 시선거두기 혹은 한발 물러서기라고 할 수 있겠다. 다시 말하자면 '참여하기'에 대한 거부의사이다. 이는 스스로의 삶에 대한 참여기피로 이어지는데, 그람시가 증오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사람들인 것이다.  그람시의 말에 따르면, 이렇게 무관심한 사람은 대체로 불평불만을 토로한다고 한다. 오늘날 우리 중 일부가 반쯤 지나가는 이야기로 "투표도 안하는 사람들이 불평은 많아."라고 흘기는 것도 어떻게 보면 일리가 있어보이는 순간이다. 스스로의 생에 대한 무관심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태도가 집단적으로 형성될 경우 사회에 악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대중은 기득권 세력을 향해 지속적으로 주시를 하고 때로는 성토할 줄도 알아야 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다니엘 튜더나 장하성 교수의 저서의 말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결국 혼란스러운 시대일수록, 국민은 무관심한 태도를 거두고 더욱 맹렬히 위를 주시해야 한다. 시대적 배경에 따라 몇몇 단어만 바꿔넣어 상상해 읽어보면, 이 책이 더욱 현실성있게 다가오는 것이 그 이유이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