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위한 감정 조절의 기술 어린이 자기계발기술 5
방미진 지음, 한수진 그림, 이보연 콘텐츠 / 위즈덤하우스 / 2011년 11월
평점 :
품절


나의 감정이라 하면,,,, 어떤때를 말하는거지???? 지금 내가 느끼고 있는 감정이 어떤건지 알면 컨트롤도 잘 될것 같습니다.


 

저희 아이와 저는 성격이 많이 비슷한 탓에, 함께 대처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감정조절의 기술을 배우고 싶었습니다. 화가 났을때, 주로 나타나는 반응에 대해 유심히 읽어보게 되더라구요. 우선 화가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 화는 인간이 가진 가장 기본적인 감정이라는 글이 눈에 들어왔어요.화가 나거나, 화를 내는건 당연한 일이라고 우리 아이에게 알게 해주어 다행이다 싶어요. 저희 아이는 매사에 긍정적인 생각을 많이 하는 편이라, 매번 화를 참고 혼자 풀려고만 하는것 같아 걱정이 많이 되었거든요. 제가 그런 성격이에요. 겉으로는 좋은 말로 하고, 속으론 새카맣게 타버리는 속앓이를 하는 편이지요. 예전엔, 왕따나, 이지메라는 말이 없었던 때라 오히려 친구들이 감싸주고, 착하다는 말로 친구하자며 다가오기도 하고, 어떤 친구는 이런 친구였구나 하며,,, 성인이 되어서야 얄미운 친구의 부류로 나눠지게 되기도 하지만, ..... 친구들이 감싸주고 늘 내편이 되어준 경험이 더 많았는데, 요즘엔 이런 성격이 정말로 안좋고, 위험성도 있다 여겨져 많이 걱정이 됩니다.  그래서 이 책이 너무나 절실했어요,ㅡ화가 날 수 있는 상황이지만, 때론  긍정적인 생각이 좋다는거죠...


 

저는 이제 성인이 되고, 한참후에야,,,,  결혼한뒤에 세월이 흐른뒤에..,, 화를 표출하기 시작했습니다. 부부싸움을 하게 된거죠. 학창시절에는 친구와 다투거나, 부모님께 싫은소리 한번 한적이 없었는데, 결혼하고 화를 참다참다 내 그릇에 넘쳐날때, 화를 내게 되고 부부싸움도 하게 되고 그러더라구요. 그러다보니,,,, 화가 났을때,ㅡ 하는 나의 행동이 하나 더 추가가 되었어요. 침묵과 무시하기... 신혼초에 딱 한번, 폭발행동도 보였던적도 있어요. 폭발행동은 자꾸만자꾸만 늘어나게 되는것 같더라구요. 그 행동을 아이에게 하게 되요... 나의 화났을때, 나타나는 행동을 보면,, 참기---->침묵과 무시하기-----> 폭발행동으로 위험한 수치로 올라가게 되는것 같아요. 아이에게 상처가지 않게,,, 푸는 방법을 달리 해보려고 합니다.참고 또 참고 하는 행동은 옳지 않으니,,,, 분노감정 표출게임을 해보려고 해요... 저희 아이도 함께 해볼려고 합니다... 세련되게 화를 표현하기도 배우고,,, 이제는 올바른 화 대처법을 알게 된것 같아요.


 

두려움..... 특정 공포증과 사회불안이 조금씩 내비치는것 같습니다. 불안쳥가척도를 저도 한번 해봤어요. 30점 정도 되는것 같아요.... 넉넉하게 잡으면 40점도 되겠는걸요..두려움 목록을 적어보기.... 참 좋은 아이디어입니다. 저 혼자 해결하려 했다면, 이런생각을 못했을거에요. 이래서 책의 도움이 크다는 말이지요^^남자아이라,,, 탐정이야기라하면 좋아합니다. 탐정놀이식으로 두려움을 이겨나가기... ^^저는 긴장감이 좀 높은편이에요. 어떤때보면, 나를 닮은것 같다가도, 또 어떤때보면, 긴장감이 전혀 없는 우리 남편을 닮은것 같기도 하고,,, 무대체질이라 할까요? 부끄러워하는것도 없고, 잘 하던 아이였는데, 요즘엔 컸다고 피하는 횟수가 늘어나긴 했습니다. 처음 나간 피아노콩쿨대회에 나갈때, 심장박동이 마치 기차처럼 빨리 요동을 쳤음에도 불구하고, 침착하게 아주 침착하게 피아노를 친 덕에 기대이상의 성과를 얻기도 하고,,, 웅변대회에 나가서도 좋은성적을 거둔것 보면,,, 무대체질인것도 같고....^^  저는 무대에 오르면 지나친 걱정에 제 실력을 못보여줄때가 많았던것 같거든요.... 이런것도 어른이 되면서 많이 느긋해진것도 있지만 말입니다.. 아이가 시험에 대한 공포가 생긴듯 해요. 시험을 못봤다고 혼낸적이 없는데도, 말입니다. 저희 아이가 12살 이제 곧 5학년에 올라갑니다. 유치원때부터 초등학교 2학년때까지 늘 공부에 관심이 있고, 재미를 붙이곤 했는데,,, 그래서,,, 유치원때 한자검정시험을 유치원에서 신청하고 시험을 보게 되었는데, 가장 늦게 한자를 시작하고, 집에서도 별 달리 공부 안한 아이인데도 유치원에서 홀로 100점 만점을 받아 최우수상을 받아왔더라구요. 한글도 거짓말 하나 안보태고 일주일만에 완전히 다 떼고, 숫자도 덧셈,뺄셈을 가르쳐 달라하여, 개념을 알려줬더니, 너무 재미있다하면서 하나를 가르쳐주면 몇가지를 스스로 터득하더라구요. 그러던 아이라 그런지 아빠는 은근히 기대를 많이 한것 같아요. 저는 공부가 인생의 전부라고 생각 안하기때문에 공부를 잘해야 한다는 강요는 안해요. 즐거우면 스스로 하게 되니, 너무 뒤쳐지지만 않으면 된다, 선생님의 말씀이 이해가 가고, 진도만 따라가면 걱정할것 없다고 하는데, ......제 경험으론 그렇더라구요. 저는 학창시절때 영어,한문,역사,수학,과학,체육, 음악,지리쪽 이 과목은 늘 성적이  우수했지만, 관심이 전혀 가지 않는 과목,, 가정,가사는 성적이 늘 저조했거든요....수업이 들은날도 휴~~하고 한숨이 나왔고, 좋은하는 과목의 수업시간이 기다려질뿐아니라, 수업시간이 너무 짧다 여겨질정도 였으니깐요.... 좋아하는 과목은 늘 90점 이상,,, 거의 올백 수준이지만, 가정,가사는 솔직히 60점 이상 받은적이 거의 없었던것 같아요. 그러다보니, 학교다닐때 공부와 사회생활과는 전혀 무관하다 생각이 들때가 많아요. 제가 전업주부로 살고 있으니, 그토로고 싫어하고 시험점수가 가장 최악이었던 과목의 생활을 하고, 내가 잘하고 좋아했던 일은 접고 산지 꽤 되어가니깐요.... 그래서 아이에게 다그치지 않는것 같습니다. 저희 아이가 3학년이 되어 성적이 떨어진적이 있어요. 아빠는 엄포를 놓더라구요.... 2학년때까지 잘 하던 아이였기에,,,, 걱정이 앞섰는지, 시험을 보면 성적이 잘 나올때도 안나올때도 있지 않냐며, 난 학교 다닐때 늘 성적이 좋은편은 아니었지만, 살아가는데 큰 지장은 없다고... 하자 아빠도 동감은 하더라구요.. 2학년때가지 거의 백점맞던 아이가, 3학년 들어서 공부를 안한탓이 크겠지만, 70점인가 60점인가... 맞아온적이 있어요. 아빠가, 80점 밑으로 받아오면, 매를 들겠다고 하자,, 그때부터 아이는 시험을 볼때, 지나친 걱정과 두려움을 갖게 된것 같아요. 아이의 성적은 자꾸만 떨어지는것만 같더라구요. 일년에 4번 보는 시험인데, 2학기 중간고사때는 다시 성적이 상승을 타는가보다 하더니, 기말때는 완전 망쳐서ㅡ 아이가 아빠한테 혼날것을 무서워하고 울더라구요.... 제가 남편에게 미리 말해서, 화를 내지 말라고,, 당부한덕에 다음으로 미루어 졌어요. 4학년이 되니, 아이는 공부에 흥미를 잃기 시작하는듯 하더니, 단원평가는 그런대로 예전 성적을 유지한반면, 중간고사,기말고사는 지나친 걱정과 공포때문인지 실수연발을 자꾸만 하더라구요. 아는 문제인데, 문제를 잘못읽기도 하고, 보기가 있는데,보기가 안보였다하고.... 그래서 두려움에 대한 치료도 필요하다 간절히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지요. 이 책의 도움을 많이 받게 되어 기쁩니다. ... 저도 저희 남편도 함께 읽고, 아이가 두려움에 대한 치료를 잘 해 나갈수 있게 도와주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