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콩의 슬픈 그림자 인도차이나 - 유재현의 역사문화기행
유재현 지음 / 창비 / 200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사려고 마음을 먹었을 때 살펴본 양극을 달리는 2건의 리뷰가 흥미로웠다. 책이야 보는 사람 마음대로이겠지만 나로서는 아무래도 별 다섯을 선택하지 않을 수 없다.

동남아 여행의 경험을 여러차례 갖고 있는 나에게 이 책은 그 어느 책이나 사이트에서도 제공하지 못했던 사실들과 관점을 던져주었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저자가 바탕에 깔고 있는 인도차이나에 대한 애정과 특별한 시각이다. 이 시각은 특히 베트남에 대해서 보다 냉철하고 발전적이다. 베트남에 대해서 무조건적인 죄의식과 부채의식을 강요하는 사람들이라면 그것이 베트남과 한국에게 얼마나 해로운 것인지를 알아야 한다. 베트남을 여행하면서 내가 느꼈던 그 알 수 없는 혼란이 어디에 기초하고 있는 것인지를 나는 이 책을 통해서 어렴풋이나마 느낄 수 있었다. 배낭을 짊어지고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과 살을 부딪히며 여행해 본 사람들은 모두들 이 점에서 깊은 공감을 느낄 것이다. 우리가 베트남에 대해서 진정으로 사과하려면 베트남 정부가 아닌 베트남 민중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는 간단한 사실을 이 책은 지적하고 있다. 이 책을 폄하한 리뷰가 저자의 베트남에 대한 관점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을 수는 있지만 이 진실을 바꿀 수는 없다.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돌고돈 여행지를 답습하고 있다는 지적은 사실로 보기 힘들다. 저자는 앙코르와트가 있는 시엠립과 같은 곳에서도 사람들이 거의 또는 흔히 방문하지 않는 지역, 예를 들어 반띠아이스레이나 프놈꿀렌 그리고 베트남 기념비와 같은 곳을 힘겹게 돌아다니며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캄보디아의 프놈펜이나 캄폿이나 보꼬와 같은 곳도 그렇다. 심지어 앙코르와트 조차도 저자는 지금까지의 흔하고 흔한 관점에서 일찍 달아나고 있다. 이 책에서 언급하고 있는 나라들은 두어번씩 방문한 내게도 이 책은 내가 가보지 않았던 지역들을 답사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어디를 얼마나 돌아다녔는지가 아니다. 어떤 눈으로 보고 마음과 머리에 무엇을 담을지에 대한 좋은 여행서가 극히 드문 것이 현실이다. 이 책은 그런 점에서 찾아보기가 무척 어려운 소중한 여행서가 될 충분한 자격과 미덕을 갖추고 있다. 더욱이 저자는 어떻게 보면 이 심각하고 본질적인 이야기를 여행서로서 그야말로 재미있게 풀어내고 있다. 이 책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미덕이다.

인도차이나의 3개국을 여행할 사람들에게는 아마도 그 나라의 역사, 역사의 현재적 의미 그리고 사람들과 문화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책이 필요하다. 이 책은 그런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