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에서 만나요
정세랑 지음 / 창비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비 사전 서평단을 통해 「옥상에서 만나요」가제본을 받게 되었습니다!)

 

저는 아직 장르와 순문학의 차이에 대해서 명확한 감을 잡을 순 없지만, 정세랑 작가님이 그 두 분야를 넘나들면서 문학과 대중의 거리감을 줄이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주변에 요새 소설 읽냐고 물어보면 대부분이 읽지 않는다고 하고, 저도 도서관에서 책을 많이 빌려보는 편은 아닌데 책 빌린 것만 보면 다들 대단하다고 해 줍니다... 그만큼 대중과 문학은 거리가 많이 멀어졌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제가 「옥상에서 만나요」를 읽고 너무 재미있어서 친구한테 말로 설명을 했어요. 말을 잘 못하는 편이라 영업 실패하겠군... 하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너무 재미있을 것 같다고 하더라고요. 설명하다가 중간에 끊었는데 뒤 이야기를 궁금해하기도 하고. 이처럼 어떤 구체적인 문장 하나하나가 아니라 전체적인 맥락을 설명했을 때에도 독자를 끌어올 수 있는 서사력이 작가님의 큰 장점이라고 생각하고( 물론 저는 화려하지는 않지만 묵직하게 누르는 문장들이 많아서 작가님의 문장도 좋아해요 ), 문단에서 비교적 젊은 편이신 작가분들도 나이가 꽤 있으셔서 그 정서에 공감하기 쉽지 않을 때가 많은데 작가님은 나이는 잘 모르겠지만 제가 생각하는 메커니즘과 비슷하게 생각하는 작가님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뭐 성격이 비슷할 것 같다 이런 말이 아니라 동시대를 살아와서 시대를 조명하는 방법이 비슷한 느낌? 그래서 작품에 더 공감하게 되는 것도 있고요. 그리고 사회적인 문제를 인식하고 그걸 소설 속에 제시하는 방법이 너무 가볍지도, 무겁지도 않아서 그런 농담 조절은 어떤 방식으로 이뤄낼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하기도 하고요.
제가  「피프티 피플」부터 「보건교사 안은영」을 거쳐 「옥상에서 만나요」까지 공통적으로 느끼는 점입니다.

다만 책 초반부에 세 언니들이 결혼이라는 방법을 통해 지옥에서 탈출했다는 건 별로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주인공은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결혼이 아닌 어떤 기이한 방법을 사용한 것에 가깝고, 모든 결정을 스스로 내리기 때문에 (사실 남편은 전개를 위한 도구에 가까우니) 결혼과 도피라는 단어에 대한 거부감만 버리면 재밌게 볼 수 있었던 여성 서사 같아요. 전반부에 여성이 사회에서 겪을 수 있는 수모들이 나오기도 하고, 보고 듣는 입장에서 공감도 많이 했고요.

그리고 이 글에서 특별히 느낀 건 어떤 '연대'의 존재?
이 글은 시작할 때 누군가한테 말을 걸듯 시작합니다. '너'라는 표현으로 청자를 지칭하기도 하고요. 글을 다 읽고 나서야 누군가에게 말을 걸었는지, 왜 이 글을 썼는지에 대해 알 수 있는데, 목적을 알고 나서 뭉클했어요. 주인공이 느낀 연민이 아닌 이상한 책임감은 사회에서 여성이 서로에게 느끼는 어떤 연대감이 아닌가 싶습니다. 저도 가끔은 그런 연대를 느끼곤 합니다. 그런 느낌으로 하루를 살아내기도 하고요. 여러분도 그러시는지 궁금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