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의 배신]이란 책..
하나하나 이야기 나누고 싶은 것이 많은데.. 시간이 없어서 지금은 조금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채식인들이 매우 좁은 시야로 채식을 하는것처럼 썼는데, 저자야말로 너무 좁은 시야로 잘못된 채식을 했던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남들은 행복하게 채식하며 건강하게 오래 사는데.. 알라딘의 유래없이 긴 소개글들 통해서는 새롭게, 놀랍게 다가오거나 공감가는 내용이 별로 없었습니다. 책 본문을 다 읽어봐야 제대로 평을 할수 있겠죠. (책을 읽어보고 제가 잘못 인식한 것이 있는지, 아니면 이 책 내용을 더 비판할 것이 있는지, 글을 다시 올리겠습니다.)

 

종종 말하지만 우리 몸엔 널리 믿고 있는 것과는 다르게 단백질이 그리 많이 필요하지 않아요. 현미나 채소류에 몸에 충분한 단백질이 있기 때문에, 채식한다고 콩음식도 넘 많이 먹음 과단백 진단이 나옵니다. 콜레스테롤은 자동생산되므로 일부러 먹을 필요없답니다.

다만 백미,백밀가루,설탕,소금,화학조미료 등 정제된 것, 그리고 기름 가열해 먹는 것은 안좋으니 주의하세요~ 채식으로 건강 유지 또는 회복하고 장수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있건만, 너무 무시들 하시는..^^;

 

채식하면 힘을 못쓴다는 오해도 있는데.. 세계 철인경기에서 6연패한 데이빗 스콧, 올림픽수영 3관왕 머레이 로즈, 세계 격투기 무제한급 챔피언 권영철 등등등 채식.. 정력,지구력 높다는 예일대 등의 연구 결과.. 우리나라에 하루에 단 1끼만 1천칼로리 전후로 완전 채식하면서도 하루 1만보를 걷고 힘이 넘치는 분 계시다요~

 

저만 해도 검진 결과 소프트웨어는 완벽하게 나옵니다. 철분,칼슘,단백질 등 모든 수치 정상이고 몸에 좋은 고밀도 콜레스테롤이 많다는 보고서를 받았으며, 엄마로 인한 간염 보균자였는데 항체도 생겼다고 합니다. 단지 그간 너무 오래 운동을 못하고 컴 작업을 많이 했더니 하드웨어가 엉망이 되어, 이제부터 일 줄이고 운동하며 몸 챙기려고 합니다.

 

그리고 작물 농사와 축산에 대해서는 책을 읽어보고 의견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얼핏 보기에 저자는 작물 농사의 문제점만 새롭게 인식하면서, 이제까지 비판하던 축산 쪽에 대한 시선은 아예 거둬버리고 서로 비교하기를 포기한것처럼 보입니다.

 

자연에서 매우 멀리 달려온 현대 문명은 아름답지 않지만, 이제 와서 채집과 수렵 시대로 돌아갈 수도 없습니다. 각자가 자연에 사는 동물을 사냥해 먹을 수 없다는 조건 하에서 최선을 찾아야 합니다. 다산정책은 저도 비판해왔는데, 그 이유와 대안에 대해선 다음에 정리하겠구요. 동물도 사람도 입양을 권했고 사람은 낳더라도 둘째는 입양하자는 얘기를 해왔네요..

 

생명윤리와 관련해 텃밭, 로컬푸드, 공동체, 생협 등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제가 '숨' 3집 [농장동물들에게 질병을 허하라]에 "공장식축산을 확대재생산하는 세계화"라는 꼭지에 포함했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우 2013-02-26 05: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채식의 배신^을 읽고
http://blog.naver.com/synup/10161200852 를 참고하십시요.

zzanga62 2013-03-14 00: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에서 채식이 식이장애를 일으키는 첫째 이유로 트립토판이 부족해 우울증 등이 생긴다고 말한다.

트립토판은 ‘행복 호르몬이라는 세로토닌’과 ‘숙면을 돕는 멜라토닌’을 만드는 아미노산이다. 식물성에서는 콩과 두부 외에도 견과류와 씨앗 등에 많이 들어있다. 즉 바나나, 토마토, 양배추, 호두, 콩, 땅콩, 현미, 녹두, 메밀, 아보카도, 해바라기씨, 호박씨, 참깨, 귀리, 푸른채소 등등.

트립토판은 비타민 B6, 나이아신, 마그네슘, 칼슘 등과 함께 세로토닌을 만드는데, 현미에는 그 모든 것들이 다 들어있다.
저자는 탄수화물을 적게 먹어야 한다고 하는데, 단당류, 이당류나 껍질 벗긴 곡류는 삼가야 하지만, 섬유질과 전분이 가득한 통곡물은 주식이 되어야 마땅하다. 트립토판이 뇌 안으로 들어갈 때 상당량의 포도당이 요구되어, 탄수화물 섭취를 과도하게 줄이면 트립토판이 뇌 속으로 들어가지 못한다고 한다. 또한 세로토닌은 음식을 많이 씹어 먹을 때 잘 나온다. 현대 음식은 너무 부드러워져서 잘 안씹지만, 현미는 꼭꼭 많이 씹어먹는 음식이다.

저자가 그 다음으로 꼽은 아연도 호박씨, 해바라기씨와 현미, 통밀 등의 통곡물에 많다. 그리고 채식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 사안인 비타민 B12 역시 거론하는데, 그 것도 한국의 식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해조류, 채소, 발효 식품들에 풍부해, 이들 식품을 일상적으로 섭취할 경우 권장 섭취량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시금치, 메주콩, 보리, 맥주, 카레가루, 쌀식초에도 많음)

아마존 별점이 양극단으로 나뉜 책이라는데 정말 그럴만하다. 저자는 16살부터 채식하면서 영양에 대한 다양한 공부가 부족했던 것이 아닌가 싶다. 그렇다고 수많은 채식인들이나 채식 전문가들을 인터뷰하지 않고 이런 책을 썼단 말인가. 자신이 영양이 아닌 열량을 기준으로 섭취하고 도정한 백미, 백밀 섭취가 문제였다고 하면, 그것부터 바꿔보고 말해야지. 왜 무조건 모든 채식에 대해 부정하는가? 의문스럽다..

(이후 내용 업데이트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