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의 배신]이란 책..
하나하나 이야기 나누고 싶은 것이 많은데.. 시간이 없어서 지금은 조금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채식인들이 매우 좁은 시야로 채식을 하는것처럼 썼는데, 저자야말로 너무 좁은 시야로 잘못된 채식을 했던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남들은 행복하게 채식하며 건강하게 오래 사는데.. 알라딘의 유래없이 긴 소개글들 통해서는 새롭게, 놀랍게 다가오거나 공감가는 내용이 별로 없었습니다. 책 본문을 다 읽어봐야 제대로 평을 할수 있겠죠. (책을 읽어보고 제가 잘못 인식한 것이 있는지, 아니면 이 책 내용을 더 비판할 것이 있는지, 글을 다시 올리겠습니다.)
종종 말하지만 우리 몸엔 널리 믿고 있는 것과는 다르게 단백질이 그리 많이 필요하지 않아요. 현미나 채소류에 몸에 충분한 단백질이 있기 때문에, 채식한다고 콩음식도 넘 많이 먹음 과단백 진단이 나옵니다. 콜레스테롤은 자동생산되므로 일부러 먹을 필요없답니다.
다만 백미,백밀가루,설탕,소금,화학조미료 등 정제된 것, 그리고 기름 가열해 먹는 것은 안좋으니 주의하세요~ 채식으로 건강 유지 또는 회복하고 장수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있건만, 너무 무시들 하시는..^^;
채식하면 힘을 못쓴다는 오해도 있는데.. 세계 철인경기에서 6연패한 데이빗 스콧, 올림픽수영 3관왕 머레이 로즈, 세계 격투기 무제한급 챔피언 권영철 등등등 채식.. 정력,지구력 높다는 예일대 등의 연구 결과.. 우리나라에 하루에 단 1끼만 1천칼로리 전후로 완전 채식하면서도 하루 1만보를 걷고 힘이 넘치는 분 계시다요~
저만 해도 검진 결과 소프트웨어는 완벽하게 나옵니다. 철분,칼슘,단백질 등 모든 수치 정상이고 몸에 좋은 고밀도 콜레스테롤이 많다는 보고서를 받았으며, 엄마로 인한 간염 보균자였는데 항체도 생겼다고 합니다. 단지 그간 너무 오래 운동을 못하고 컴 작업을 많이 했더니 하드웨어가 엉망이 되어, 이제부터 일 줄이고 운동하며 몸 챙기려고 합니다.
그리고 작물 농사와 축산에 대해서는 책을 읽어보고 의견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얼핏 보기에 저자는 작물 농사의 문제점만 새롭게 인식하면서, 이제까지 비판하던 축산 쪽에 대한 시선은 아예 거둬버리고 서로 비교하기를 포기한것처럼 보입니다.
자연에서 매우 멀리 달려온 현대 문명은 아름답지 않지만, 이제 와서 채집과 수렵 시대로 돌아갈 수도 없습니다. 각자가 자연에 사는 동물을 사냥해 먹을 수 없다는 조건 하에서 최선을 찾아야 합니다. 다산정책은 저도 비판해왔는데, 그 이유와 대안에 대해선 다음에 정리하겠구요. 동물도 사람도 입양을 권했고 사람은 낳더라도 둘째는 입양하자는 얘기를 해왔네요..
생명윤리와 관련해 텃밭, 로컬푸드, 공동체, 생협 등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제가 '숨' 3집 [농장동물들에게 질병을 허하라]에 "공장식축산을 확대재생산하는 세계화"라는 꼭지에 포함했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