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은 기억한다 - 트라우마가 남긴 흔적들
베셀 반 데어 콜크 지음, 제효영 옮김, 김현수 감수 / 을유문화사 / 2016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트라우마를 경험한 사람들이 그 경험에 어떻게 대처하고 그 일을 겪은 후

어떻게 생존하고 치유되었는지 30여년간 연구한 결실로 집필되었다.

그러나 트라우마를 경험한 사람들을 하나하나 자활하도록 돕기위해 저자가 오픈된

마음으로 그 본질을 향해서 가는 과정을 보면서 환자들 뿐 아니라 우리들의 몸과 마음이

얼마나 정교하게 연결되어 있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트라우마 환자들의 각각의 경우를 보면서 우리가 인생을 살면서 느끼는 즐거움과 상상력,

사람들과의 맺는 유대관계와 공감들이 당연한 능력이 아님을 알았다.

 

우리는 우리 각자가 보다 안정되고 예측가능한 환경에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환경도 있다고 상기시키는 트라우마에 대한 거부감은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 거부감을 극복하고 대면할 수 있는 용기를 가지는 것이

트라우마에 대한 이해의 시작임을 강조한다.

그래야 보다 사회가 우리가 함께 어우러진 곳이 건강해 질 수 있다고.

벌어진 행동에 대한 초점을 두지 않고 본질적인 문제에 대해 접근해야 한다고 말해 준다.

 

어른이나 어린이 모두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한 뒤 찾아오는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주체의식을 기반으로 한 회복 능력에서 나온다고 한다.

자신이 무엇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변화도 가능해 진다는 것이

또 그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과거는 과거일 뿐 그 과거에 얽메이지 말라고 한다.

그러나 도대체 그 과거에 얽메이지 않는 것이 무엇인지는 말해 주지않는다.

그저 얽매이는 것이 어리석은 일이라고만 말해준다.

그러나 현재에 살아가는 방법을 모르는 사람에게는 과거도 현재도 미래도

그 구분은 모호할 수 밖에 없다.

이 책이 특별한 이유는 현재를 온전히 느껴야만 그러기 위해서는 나의 감각을

온전하게 나에게 집중해야만 느껴야만 함을 가르쳐 준다.

그렇게 느끼는 내가 온전한 내가 되어야만 과거와의 분리도 가능해지고

현재를 살아갈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너무나 고통스러운 나머지 감각을 없애면 반응성은 줄일 수 있지만 그로 인해

평범함 일상에서의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고 그저 삶이 스쳐 지나가는 것을

그것이 가장 큰 상실임을 일깨워 준다.

 

일상속에서 너무나 건조하고 무감각하게 살아가고 있던것은 아닌지,

현재 지금 여기에 존재하고 있는 나 조차도 무감각하게 스쳐 지나가고 있던것은 아닌지

마음 깊은 곳에서 부터 다시 내면 밭갈이를 해보게 된다.

 

 

전기의 도움을 받으면, 물질로 이루어진 세상이 거대한 신경이 되어 눈 깜짝할 사이 수천 마일 진동할 수 있다. 이것은 과연 사실일까, 아니면 내가 꿈을 꾼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