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의 조건 - 절망을 이기는 철학 - 제자백가
이주희 지음, EBS MEDIA / Mid(엠아이디)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시간적인 여유가 많아져서 그런지는 몰라도 이런 저런 어찌보면 생산성 없는 생각들이 많이든다. 의자를 뒤로 젖힌 채 한 두시간 가만히 뇌를 쉬어주면 내 의지와 무관하게 하루동안의 일들이 머리를 스치듯 정리되고 또 내 머리는 그 각각의 사건마다 "왜?"라는 각주를 단다.  그 중에서도 구미가 당기는 한 가지 사건을 집요하게 나름의 이유를 대가며 "왜?"라고 물으며 추궁하다보면 어느순간 오랫동안 당연하다고 생각해왔던 관념과 가치관에대한 의심이 자연스레 들게된다. 하지만 어느정도 단계를 거치면 그 이후로 넘어가기는 그 이전 단계들보다 몇 곱절은 어려워 진다. 스스로 나름의 이유를 대기 힘들어지는 순간이 필연적으로 오게된다. 그저 자의적이든 타의적이든 자동차에 주유하듯 뇌속으로 시나브로 밀어넣어진 관념들에 대해 처음으로 반항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반항을 지속하기에 혼자만이 힘으로만은 턱없이 부족하다. 나는 이러한 순간이 올 때마다 나를 일시적으로 굴복시킨 궁금증에 관련된 책들을 찾아본다. 나에게 끝끝내 해답에 근접한 결론을 주는 서적들은 주로 철학책이었다.


 나는 생존에 조건을 읽는 과정에서 커다랗게 2가지 의미를 보았다. 나 같이 고등학교 때도 이과에 대학 전공도 공학에다 교양과목마저도 인문학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과목들만 들은, 한마디로 인문학은 따로 취미를 가지지 않는 한 인터넷의 짧은 토막글이나 티비에서 잠깐잠깐 시청한 다큐멘터리 외에는 접해본 경험이 드문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동양철학에 대한 인식은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을 것이다. 사람들은 동양철학, 그 중에서도 유교가 사회적으로 꼰대적 마인드(?)라고 불리는 현시대의 신세대들이 보기에는 다소 불합리하고 불필요한 관행들의 뿌리가 된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가령 '어디 어른 말씀하시는데 감히!' 로 시작하고 이어지는 말들같이 타당한 이유없이 권위만 내세우는 것들의 시초는 공자왈 맹자왈 하는 것들이라는 생각들 말이다. 이 책에 제일 먼저 등장하는 공자의 사상은 마치 이러한 현 새태에 대한 공자 자신의 변호같이 느껴졌다. 동양철학에 대한 배경지식이 거의 전무(?)한 나로서는 이 책을 읽는 행위는 동양철학에 대한 오해를 벗겨내는 과정이었다.


 누구나 한번쯤은 문득 이러한 생각이 든 경험이 있을 것이다. 윤리라는 것은 도대체 왜 지키는 것이 옳다고 여겨지고 그 것을 지키지 않았을 때 타인으로부터 지탄받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인가. 구체적인 예시는 의도치 않은 논란을 야기할 수 있어 언급하지는 못하겠지만 우리가 사회를 살아가면서 공식/비공식적으로 지키도록 강요받고 마음속에 양심에 찔려야만 하는, 이제까지 이유를 대지 않고 당연하게 여겨왔던 명제들에 대한 답을 찾는 실마리를 찾는 것에 생존의 조건이 큰 도움을 줄 것이다. 공자의 사상에서는 타인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는 근본을, 묵가의 사상에서는 공자의 사상보다는 더 현실적으로 와닿는 사랑인 겸애와 가진자, 높으신 분들의 관점이 아니라 일반적인 서민들의 입장에서 전쟁과 불화를 지향해야하는 이유와 그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여러 성인들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눈에 띄는 이는 다름아닌 장자였다. '현재를 살아가라', '무쓸모의 쓸모', 역사적으로 그 어떤 때보다 경쟁이 당연하게 여겨지며 강요되고 자기 자신의 가치를 타인에게 최대한 호소해야하는 현 시대와 그 시대에 순응하며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우리들에게 잠시 달리기를 멈추고 성찰해보는 기회를 주는 사상들이었다.


 당연한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나의 작은 과업을 이루는 소스를 주로 서양철학에서 찾았었다. 어찌보면 생존의 조건은 교양서적으로나마 동양철학을 접하는 첫 계기였고 글쓴이분의 특유의 부드러우면서도 분명한 필체 덕분에 그 시작이 매우 순조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