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년생 김지영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페미니즘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읽게 된 책들이 모두 국외의 비문학 도서들이었는데, 82년생 김지영은 이갈리아의 딸들에 이어 소설이라는 점, 그리고 국내 도서라는 점에서 흥미로웠다. 이 책을 2시간도 안 되어 해치우듯 읽는 동안 한 편의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이규보의 동명왕편이 당시 시대적으로 경험적 근거와 합리성을 물어 각주를 달았던 것처럼 이 소설도 군데군데 달아 놓은 각주가 소설이지만 논픽션 느낌을 준다. 하지만 허구를 통해 삶의 진실을 찾는 문학 작품답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사회생활 경험이 있는 여성이 이 책을 읽는다면 흡사 수필 같다는 느낌도 받게 된다. 아마도 82년생 김지영과 나이 차이가 나는데도 삶은 별반 다르지 않아 현실과 많이 겹치기 때문일 것이다.

82년생 김지영 씨는 전통적인 여성, 즉 순종적인 여성인 어머니를 보며 자란다. 더 이상의 딸을 낳는 것은 눈치가 보여 딸의 낙태를 감행하고 결국에 막내 아들을 어머니를 보고 자란 것이다. 그녀는 아들로 태어난 가장 나이 어린 막내에게 비 오는 날 우산, 생활하는 방 한 칸까지 모든 것을 양보했다. 하지만 82년생 김지영 씨에게는 그게 너무 당연했고, 그래서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도 몰랐다. 하지만 김지영 씨의 언니는 늘 이를 ‘부당하다’고 했다. 하지만 어른들의 세계에서 약자이자 소수자인 김지영 씨의 언니 하나로 가정 안에서 바뀌는 것은 하나도 없었다. 이를 보고 자란 김지영 씨도 맞서 싸울 생각은 하지 못했다. 그렇게 성인이 된 김지영 씨는 사회생활을 하다가 결혼을 하고 아이를 가진다. 자신의 일을 ‘하고 싶어서’ 하던 김지영 씨는 임신한 자신을 향하는 사람들의 눈초리와 그것들을 둘러싼 사회 구조에 무엇인가 부당함을 느끼기 시작한다. 하지만 이 세대에서 ‘여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이제 막 태동기였기에 그녀는 사회의 벽 앞에 무기력했다. 여성이라고 무시 받지 않으려고 배려라고 베푸는 호의도 거절하지만, 결국 그 저항은 후배들에게는 또 다른 악습이 되어 버리고 만 것이다. 결국 김지영 씨는 운영전의 ‘운영’처럼 궁녀라는 여성으로서의 실재 조건이 없어지거나 혹은 사회 구조가 변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갇힌다. 이에 중세 시대의‘운영’이 자살을 선택한 것처럼 82년생 김지영 씨는 죽음 대신 또 다른 자아를 빌려 마음 속 깊이 담아 두었던 이야기를 하는 이상 증세를 보이기 시작한다. 하지만 ‘이상 증세’로 나타난 자아로 김지영 씨가 시댁이나 남편에게 하는 말들은 전혀 이상하지 않다. 오히려 합당한 이야기를 한다는 점에서 역설적인 상황을 자아낸다.

이 책을 읽은 많은 독자들 가운데 나, 91년생인 나는 몇 백명이 다니지만 여자 부서장은 한 명인 회사에 다니고 있다. 하지만 내가 다니는 회사는 여자가 다니기에 좋은 회사라는 수식어가 늘 붙어 다니는 회사이다. 보수적인 사람인지라 요새 젊은 사람들처럼 윗사람들이 자리를 꿰어 차고 있어 우리의 자리가 없다는 논리는 지양하지만, 여자 간부 1명인 회사에 여자가 다니기 좋다는 말은 어불성설인 듯하다. 하지만 어불성설이라고 하는 내가 더 배부른 소리나 하는 ‘이상한’ 사람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는 82년생 김지영의 삶보다는 낫다고, 요새 젊은이들은 불만 투성이라고 하지만 "예전에 비하면…"이라는 논리로 지금에 감사하라며 더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 바른 방향으로 바꾸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는 어른들이 넘겨준 세상은 여전하다. 조금 나아졌다고 그것이 완벽하게 나아졌다고 할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82년생 김지영 씨와 나는9살 차이이지만 무엇이 나아진 걸까? 이제는 사회생활을 하는 여성이 늘어 결혼한 여성이 아기를 낳고 아기를 키우며 회사를 다닐 수 있는 여건이 되는 것이 좋아진 거라면, 그래서 여자 간부는 1명이지만 나의 회사가 여자가 다니기 좋은 회사라고 하면 할 말이 없다.

하지만 82년생 김지영 씨가 살던 때보다 출산율이 낮아진 점이나 독신 여성이 많아졌다는 점은 어떤가? 나와 같이 독신을 꿈꾸거나 자녀 없는 부부만으로 이루어진 가정은 출산과 육아에서는 벗어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여성들의 삶은 어떠한가? 독신의 여성이 차별을 느끼는 경우는 직장일 것이고, 자녀 없는 가정의 여성의 경우는 집안일일 것이다. 동등하게 사회생활의 기회는 주어져 있다고 하지만 직장에서는 유리천장에 갇히고, 똑같이 직장생활을 해도 집안일은 여성이 주이고, 남성이 ‘도와주는’ 형태이다.

작가는 82년생 김지영을‘김지영 씨’라고 거리를 두며 객관적인 관점에서 담담하게 서술한다. 수 많은 독자 중 한 사람으로서 91년생의 또 다른 김지영인 나는 어떤 주관도 개입되지 않은 인물 ‘김지영 씨’의 행동과 생각, 감정들 하나하나에 동감했다. 김지영 씨의 충격적인 증세마저 ‘그래, 저럴 수 있지.’라고 너무도 담담하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다. 걱정이 되는 것은 2000년생의 또 다른 김지영 씨도 이에 동감하게 될 것 같다는 점이다. 이 책을 계기로 나는 다시금 지금에 감사하라는 어른이 되지는 않겠다고 다짐한다. 이 책에 동감하는 또 다른 김지영들이 생기지 않길 바라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